• 제목/요약/키워드: 모유수유 지식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19초

한국과 태국의 일부 간호사의 모유수유에 관한 지식 및 실천정도 (Nurses 'Practices and Knowledge of Breast feeding in Korea and Thailand)

  • 이혜경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02-215
    • /
    • 1996
  • 모유가 인공유보다 아기에게 신체적, 정신적으로 바람직하다는 것은 강조할 필요가 없다. 모유수유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는 간호사들이 아기어머니에게 모유수유와 관련된 지식을 전달하여, 모유수유를 실천할 수 있게 적극적으로 도와주어야 한다. 이 연구는 신생아나 산모와 함께 일하는 한국의 간호사 60명, 태국의 간호사 50명을 대상으로 모유수유에 관한 지식과 이 지식을 얼마나 어머니에게 전달하는지를 비교 조사한 것이다. 연구결과 한국 간호사보다 태국 간호사가 모유수유에 관한 정보를 어머니에게 더 제공하고 있었고, 더 적극적으로 모유수유를 할 수 있게 도와주고 있었다. 또한 태국병원의 체계도 모자동실을 실시하는 등 어머니가 아기를 낳은 직후부터 모자수유를 할 수 있게 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유수유에 관한 지식정도를 비교한 결과 한국의 간호사가 태국의 간호사보다 더 정확한 지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의 모성간호사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어머니가 모유를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한국병원의 체계도 모유를 수유하기 쉽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야 함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태국의 간호사와 한국의 모성간호사는 모유수유에 관한 최근의 지식을 정확하게 알아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었다.

  • PDF

모유수유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지식 및 태도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Knowledge and Attitude for Breastfeeding of Nursing Students)

  • 임재란;이주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223-232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파악하여 모유수유율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간호대학생 1, 2, 3, 4학년 5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버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유수유 지식은 일반적 특성 중 성별, 학년, 대상자의 성장기 수유형태, 모유수유 관찰 경험, 모유수유 교육받은 경험, 바람직한 정보제공자, 교육요구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다. 모유수유 태도는 성별, 학년, 모유수유 관찰 경험, 모유수유 교육받은 경험, 교육요구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다.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과 태도 간(r=.237, p<.001)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을 위한 체계적이며 다양한 모유수유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간호활동 (Breastfeeding Knowledge, Attitude, and Nursing Practice of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 라진숙;채선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76-84
    • /
    • 201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간호활동을 파악하고,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모유수유 특성에 따른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활동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자가보고식 설문조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서울과 대전, 대구의 총7개 대학병원의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 153명으로 자료수집 하였다. 결과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은 59.3%의 정답율을 나타냈다. 그리고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는 5점 척도에서 평점 $3.70{\pm}0.41$으로 다소 긍정적으로 확인되었다. 모유수유 간호활동은 중간정도로, 평점 $3.26{\pm}0.74$이었다. 모유수유 지식은 모유수유 태도(r=.554, p<.001) 및 모유수유 간호활동(r=.203, p=.002)과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모유수유 태도와 간호활동도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243, p=.002).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모유수유 지식과 태도, 간호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를 위한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지지한다.

일부 고교생의 모유수유 지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 최경숙;이희정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비만ㆍ다이어트 박람회
    • /
    • pp.111-111
    • /
    • 2003
  • 모유를 아기에게 수유하는 것은 아기에게 영양ㆍ면역ㆍ위생ㆍ심리학적 등의 이점을 줄 수 있고 또, 아기의 부모에게는 경제적인 이점을 줄 수 있으며 수유방법 중 가장 바람직한 수유방법이다. 우리나라의 모유수유율은 2001년 국민건강ㆍ영양조사결과 생후 6개월까지 모유수유비율은 전체의 9.8%로 모유수유의 권장운동에도 불구하고 매우 낮은 실정으로 모유수유 영양교육이 꼭 필요하다고 하겠다. (중략)

  • PDF

모유수유클리닉 이용군과 비이용군의 모유수유 문제, 지식 및 적응 비교 (Comparison of Lactation Problems, Knowledge, and Adaptation on Breastfeeding between Users and Non-Users of Lactation Clinic)

  • 윤명희;신혜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0권2호
    • /
    • pp.112-120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lactation problems, knowledge, and adaptation of breastfeeding between users and non-users of a lactation clinic. Methods: The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tiliz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446 breastfeeding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lactation clinics, postpartum care centers, mother's culture centers, public health centers, pediatrics and obstetrics & gynaecology outpatient clinic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Chungcheongnam province from August 20 to September 30, 2011. The questionnaires to measure lactation problems, knowledge and adaptation of breastfeeding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18.0 for Windows. Result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reast feeding problems(t=5.71, p<.001) and breastfeeding knowledge(t=2.87, p=.004) between users and non-users of a lactation clinic.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a foundation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for mothers in breastfeeding, and an evidence to expand the role of nurses as breastfeeding specialists.

미숙아 모유수유 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모유수유 지식정도 및 실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Breastfeeding Program for Premature Infants on Maternal Stress, Knowledge, and Breastfeeding Behaviors)

  • 오진아;최미향;김현희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1-132
    • /
    • 200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breast feeding program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The program was applied and its effect was evaluated on stress, knowledge and breastfeeding behaviors of premature infant mothers. Method: This study employed a one group pre- and 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7 participants from August 15 to October 24, 2004, at a N1CU at D University Medical Center located in Susan, Korea.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SD, and t-test using SPSS version 10. Result: After the program, participants significantly showed a greater level of knowledge than before the program (t=-5.750, p=.000).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level scores were found (t=1.453, p=.153). The breastfeeding practice rate was 94.1%: Conclusion: This educational program using a handbook and video had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knowledge and practice of breastfeeding among premature infant mothers. It is suggested that this study be replicated with a larger sample size to compare group responses.

  • PDF

모유수유(母乳授乳) 권장교육(勸?敎育)이 모유수유(母乳授乳) 실천(實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Education for Encouraging Breastfeeding on Practice of Breastfeeding)

  • 서인숙;정문숙;서영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632-642
    • /
    • 2000
  • 본 연구는 산후 모유수유 권장교육이 초산모의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대구 시내에 소재한 3차병원, 2차병원 및 1차병원에서 1999년 10월 25일부터 12월 25일 까지 분만하고, 분만 후 모유수유를 계획한 미 취업 초산모로 실험군 83명, 대조군 88명으로 총 171명이었다. 연구절차는 연구대상자에게 분만 후 3일 이내에 일반적 특성, 산과적 및 수유 관련 특성과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모유에 대한 태도를 자가 보고식 설문지로 사전조사 하였다. 사전 설문지 조사 후 대조군에게는 일반간호만 실시하였고, 실험군에게는 모유수유 권장교육을 실시하였다. 사후조사는 산후 2주, 4주, 8주, 12주, 16주, 20주에 모유수유 지속 유, 무 및 모유수유 중단 시 그 이유에 대해 전화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유수유 지속정도는 산후 2주, 4주 8주, 12주에서는 실험군의 모유수유 실천율이 대조군 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산후 16주, 20주에서는 모유수유 실천율은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모유수유 완전 중단시점은 산후 2주, 4주, 8주, 12주, 16주, 20주 모든 시점에서 실험군의 모유수유 중단율이 대조군 보다 낮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산후 4주에서의 모유수유 중단율이 실험군 25.5%, 대조군 36.8%로 두군 모두 가장 높았다. 3) 모유수유 중단 이유 중 가장 많은 것은 모유량 부족으로 실험군 65.5%, 대조군 50.7%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산후 초산모에게 제공한 모유수유 권장 교육이 모유수유실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영아에게 적정 기간까지 모유수유를 성공적으로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산후 모유수유 교육 뿐 만아니라 산전을 포함하여 퇴원 후에도 지속적인 모유수유 강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산후 3-4주 사이에 재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교육 시 이를 반영해야 할 것이다. 둘째, 모유수유 중단 요인으로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모유량 부족에 대한 연구가 더욱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중재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간호사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정도와 모유수유간호활동 수행정도 (Nurse's Knowledge to Breast-Feeding and Nursing Activities related to Breast-Feeding)

  • 성미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58-268
    • /
    • 2000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nurses 'knowledge of breast-feeding and their ability to provide care to breast-feeding mothers and their children. From Nov. 1 to 30, 1999, 105 nurses of the obstetric ward, delivery room, OPDs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nurseries of three general hospitals from Seoul and Pusan were evalu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Mean score of nurse's knowledge to breast-feeding was 12.76. Mean score of performance of nursing activities was 109.80. 2.General characteristics and feeding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nurse's knowledge to breast-feeding and performance of nursing activities related to breast-feeding. Nurse's knowledge about breast-feed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ge, working ward, clinical experience, rank of position, experience of breast-feeding and experience education on breast-feeding. Performance of nursing activities for breast- feed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ge, working ward, experience in other ward,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on breast-feeding. 3.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rse's know-ledge to breast-feeding and performance of nursing activities related to breast-feed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r=.381, P<0.05).

  • PDF

산모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수준정도와 산모가 인지한 간호사의 모유수유 관련 간호활동 정도 (Study on Mother′s knowledge level of Breast feeding and Nursing Activities related to Breast feeding perceived by Mother)

  • 성미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78-8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ther's knowledge level of breast feeding and nursing activities related to breast feeding perceived by mothers. The subjects were 77 mothers who within 3 days after child birth in 2 Obstetric Clinic in Seoul and P city from Dec 1 to 31, 1999. Data were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developed Jung et al.(1994). This study was statis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Frequency, t-test and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 The majority of subjects were aged 30-34 years(44.2%), high school & college graduate(93.6%), had one child(51.9%), had no religion(42.9%), jobless(72.7%) and had no experience of breast feeding(59.7%). 2) Mean score of mother's knowledge level of breast feeding was ranged from 7-16. Mean score of breast feeding was 11.56 points out of possible 20 points meaned that it was a low level. 3)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other's knowledge level of breast feeding as follow : age(F= 3.99, P < 0.001) and religion(F= 4.30, P < 0.05). 4) Mean score of nursing activities related to breast feeding by mothers was ranged from 30-146. Mean score of nursing activities related to breast feeding perceived by mothers was 100.05 points out of 150 points meant that it was a high level.

  • PDF

철 결핍 빈혈 영.유아의 수유 형태 및 이유 지식 평가 (Weaning Food Practice and Assessment in Children with Iron Deficiency Anemia)

  • 김부영;최은혜;강성길;전용훈;홍영진;김순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2권2호
    • /
    • pp.215-220
    • /
    • 2009
  • 목 적: 최근 모유수유의 장점이 알려지며 모유수유 아들이 늘고 있다. 이유기 영유아의 가장 흔한 영양장애인 IDA (Iron deficiency anemia)가 모유수유아와 다른 형태의 수유아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알아보고 IDA와 대조군의 이유식 진행 상황 및 이유지식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 법: 2006년 3월부터 2009년 1월까지 인하대병원에 내원한 6~24개월의 영유아 중 IDA를 진단받은 70명과 IDA가 없는 140명의 보호자에게 수유 형태, 이유식 진행 상황 및 이유지식을 묻는 설문을 시행하였다. IDA군의 자료와 함께 IDA가 없는 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IDA군은 IDA가 없는 군에 비해 이유식을 늦게 시작하며 IDA군에의 모유수유아 비율이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모유수유군은 다른 형태의 수유군에 비해 의미 있게 늦은 6.4개월에 이유식을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식을 완성하기 까지 58.1%가 1개월 정도 걸렸으며 4개월 이상 걸린 경우도 19.8%나 되었다. 이유 지식 정도에서 두 군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2). 결 론: 생후 6개월경에 체내 저장철이 떨어지며 철의 요구량이 급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영유아가 이유식에 익숙해지기까지 시간이 걸리고, 초기 이유식 내에는 철분 함량이 적으므로 이 시기 철분 필요량을 충분히 공급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IDA 또는 철결핍을 예방하기 위해 이유식을 좀 더 일찍 권장 해 6개월에는 체내 필요량만큼의 철분이 공급될 수 있게 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