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 모델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velopment of Co-Interaction Model for Bus Auto-Payment with Beacon based on MDD (모델 주도 개발(MDD) 기반 비콘 사용 버스 요금 자동 결제를 위한 상호작용 모델 개발)

  • Oh, Jung Won;Kim, Hangkon
    • Smart Media Journal
    • /
    • v.5 no.3
    • /
    • pp.42-48
    • /
    • 2016
  • Recently, most of the modern people used a second mobile device(two degree mobile device). Mobile devices are affecting all areas of human life, consumer electronics,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and finance. O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driven development based interaction model that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mobile payment system, which is the latest buzzword pins of the various application fields of mobile devices Tech (Fin-Tech) sector. Using a model-driven development based models do not depend on the Platforms (PIM), we propose a model for interaction between devices which can be reused when developing mobile billing app. A model-driven development based mobile applications use the reusable of interaction models development program analyzed the bus fees automatic payment application by a beacon.

M3L : Multimedia Library for Mobile Device (M3L : 모바일 장치를 위한 멀티미디어 라이브러리)

  • 도창욱;김정숙;오세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631-633
    • /
    • 2002
  • 모바일 장치의 기능 향상과 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달로 유선 인터넷 서비스를 모바일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 모델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장치의 한계성으로 인해 컨텐츠의 표현을 정적인 형태에 의존하였던 초기와는 달리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멀티미디어 형태의 표현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모바일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기능 구현은 플랫폼 종속적이므로, 다른 모바일 플랫폼으로 이식하는 데는 많은 부분을 다시 작성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모바일 장치에서 동일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응용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라이브러리를 개발하였다. 라이브러리의 개발을 위해 이전 라이브러리 기능 분류를 통해 모바일 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정의하였고, 다른 환경으로 쉽게 이식할 수 있도록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는 플랫폼 독립적인 멀티미디어 라이브러리를 개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Multimedia Library for Mobile Devices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라이브러리의 개발)

  • Doh, Chang-Wook;Lee, Ya-Ri;Oh, Se-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1005-1008
    • /
    • 2002
  • 모바일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유선 인터넷 서비스의 많은 부분을 무선 인터넷으로 지원하기 위한 모바일 응용프로그램과 다양한 지원 모델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정적으로 지원되었던 기존의 표현 방법에서 동적인 멀티미디어 표현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기술의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고 있지는 않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라이브러리를 설계하고 개발한다. 제안된 라이브러리는 라이브러리 카테고리를 통해 기본 기능을 정의하고, 계층적인 구조를 통해 이식성을 확보할 수 있어 이기종 간에 멀티미디어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고, 다양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응용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게 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mediate Code for Mobile GIS (모바일GIS를 위한 중간코드의 설계 및 구현)

  • 신홍섭;오세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154-156
    • /
    • 2003
  • 모바일 기술의 발달로 인해 모바일 장치를 위한 다양한 지원 모델과 응용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다. GIS분야에서도 모바일 기술이 접목되어 모바일GIS가 등장하게 되었으며, 모바일GIS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서비스되고 있다. 기존의 모바일GIS는 국립지리원에서 제공하는 DXF형식의 국가기본수치지도를 원시 데이터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모바일GIS에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적응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DXF형식의 GIS데이터를 OGC(Open Gis Consortium)에서 제안한 GML(Geography Markup Language)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기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DXF를 GML로 변환하기 위한 DXF2GML변환기의 효율적인 번역을 위해, DXF와 GML의 의미적 차이를 해결하고 효율적인 변환과정을 구현하기 위한 DXF2GML변환기의 중간코드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제안된 중간코드를 적용하여 DXF2GML변환기의 Front-End인 중간코드 생성기와 Back-End인 GML문서 생성기를 구현하고자 한다.

  • PDF

A Design of Analyzing effects of Distance between a mobile device and Cloudlet (모바일 장치와 구름을 사이에 거리의 효과 분석설계)

  • Eric, Niyonsaba;Jang, Jong-Wo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11
    • /
    • pp.2671-2676
    • /
    • 2015
  • Nowadays, Mobile devices are now capable of supporting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Unfortunately, some of applications demand an ever increasing computational power and mobile devices have limited resources due to their constraints, such as low processing power, limited memory, unpredictable connectivity, and limited battery life. To deal with mobile devices' constraints, researchers envision extending cloud computing services to mobile devices using virtualization techniques to shift the workload from mobile devices to a powerful computational infrastructure. Those techniques consist of migrating resource-intensive computations from a mobile device to the resource-rich cloud, or server (called nearby infrastructure). In this paper, we want to highlight on cloudlet architecture (nearby infrastructure with mobile devices), its functioning and in our future work, analyze effects of distance between cloudlet and mobile device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lan Execution Model for Android Mobile Applications (Android 모바일 응용을 위한 계획 실행 모델의 설계 및 구현)

  • Oh, Hui-Kyung;Jung, Jong-Geun;Park, Chan-Young;Kim, 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502-50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환경에서 개인 사용자 편의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가 되는 작업 계획 모델 및 실행 모델을 제시하고, 이 모델을 활용하여 Android 플랫폼에서 개발된 자동 작업 실행 체계인 Smart Script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대해 소개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active Mobile AR Contents Builder (인터랙티브 모바일 AR 콘텐츠 빌더의 설계 및 구현)

  • Jeon, Ji Young;Chun, JiYoon;Choi, Yoo-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474-477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AR 프로그래밍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용자가 쉽게 모바일 AR 콘텐츠 제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커와 가상모델 그리고 인터랙션의 형태와 가상모델의 반응형태를 인터랙티브하게 연결하는 인터랙티브 모바일 AR 콘텐츠 빌더 프로토타입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우선, 모바일 AR 콘텐츠에서 인터랙션과 반응형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AR 앱들을 수집하여 앱의 특성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사용되는 인터랙션의 종류 및 반응형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사용되는 모바일 AR 콘텐츠 빌더에 포함시킬 인터랙션의 종류 및 반응형태의 메뉴항목들을 설계하였고, 단위 AR 객체를 정의하기 위한 클래스와 이를 저장할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설계하였다. 또한, 정의된 단위 AR 객체의 내용을 다른 응용 프로그램들에서 쉽게 읽고, 가시화 시킬 수 있는 모바일 AR 가시화 클래스를 포함한 모바일 AR 콘텐츠 빌더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The Analysis and Design of Thread Model for Java Virtual Machine (자바가상머신 쓰레드 모델 분석 및 설계)

  • 유용선;박윤미;류현수;이철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625-627
    • /
    • 2004
  • 최근 들어 인터넷의 발달과 더불어 PDA, 핸드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다양한 정보가전용 기기들에 네트워크 기반의 자바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바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플랫폼 독립성 이식성, 보안성, 이동성 둥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자바로 작성된 응용프로그램은 C, C++로 작성된 응용프로그램 보다 수행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바가상머신의 성능향상이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메모리 관리를 위한 가비지 컬렉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이용한 바이트 코드 변환, 인라인캐시(inline-cache)를 사용한 접근 속도 향상 등 많은 부분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KVM(kilo-virtual machine)의 성능향상을 위한 쓰레드 구조를 분석하고 설계한다.

  • PDF

The Analysis of Mobile Agent System for the Wide Distributed Processing (광역 분산 처리 환경에서의 모바일 에이전트 시스템 분석)

  • 방정원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8 no.4
    • /
    • pp.132-137
    • /
    • 2003
  • Due to the advances of the Internet technologies and web-based applications, the demand for wide distributed processing is increased. Mobile Agents have been proposed as a model to meet with the requirement for such environment. But current mobile agent system has the technical restriction. The requirement of mobile agent for the wide distributed processing is analysed in mobile agent system architecture, programming paradigm and technologies.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Auction System Based on Android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경매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Jung, Hyoung-Yong;Kim, Tae-Hun;Choi, Jong-Chan;Lee, J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401-404
    • /
    • 2010
  •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안드로이드 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안드로이드기반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그 응용에 보안이 추가된 전자경매응용프로그램은 아직 개선여지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실시간 경매정보제공과 모바일 경매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다. 또한 웹과 함께 온라인 서비스를 연동하여 지원하기 위해서 xml 과 Json 을 이용하여 서버와 모바일간에 적절한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이 시스템은 전자상품 경매 뿐만이 아닌 실시간 경매를 필요로하는 경매시스템에 모델이 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확장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