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바일 결제 앱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5초

모바일 결제 앱에서의 보안과 신뢰 : 개인의 성향과 보안 신호를 중심으로 (Security and Trust of Mobile Payment Apps : Focus on Personal Predisposition and Security Signal)

  • 김민경;최보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94-204
    • /
    • 2019
  • 최근 모바일 결제 앱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 보안과 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로 인하여 모바일 결제 앱 사용률이 서비스 제공자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결제 앱을 사용하는 개인의 성향과 결제 앱 자체의 보안 신호가 사용자들의 인지된 개인정보 유출 위험과 보안 위험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이러한 요인들이 최종적으로 어떻게 모바일 결제 앱의 신뢰에 영향을 주는지 설문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프라이버시 염려도는 인지된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증가시키고 모바일 시스템 보안 정도를 감소시키는 반면, 친숙도, 인지된 명성, 보안 마크는 인지된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감소시키고 모바일 시스템 보안 정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된 개인정보 유출 위험의 감소와 모바일 시스템 보안의 증가가 모바일 결제 앱의 신뢰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혔다.

TEE를 활용한 안전한 모바일 인앱결제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Secure Mobile In-App Payment System Based on TEE)

  • 정하규;정현수;송석화;전문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15-816
    • /
    • 2015
  • 인앱결제 시스템이란 애플리케이션(앱) 내 결제 시스템을 통한 결제행위를 말하며, 다운받은 앱은 무료일 수 있지만 앱 내에서 별도의 유료아이템 등을 구매 할 경우 유료결제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인앱결제는 한번의 등록을 거친 후 단 한번의 비밀번호 입력을 통하여 결제가 된다. 스마트폰 보급 확대에 따라 오픈마켓의 게임 등 모바일콘텐츠 거래 증가로 유료 콘텐츠 결제와 관련한 이용자 피해가 급증하며 이용자 불편, 불만(인앱결제 피해)으로 인한 피해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휴대폰 인앱결제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인앱결제로 인한 피해 예방을 하기 위한 보안서비스를 제시한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ognition of Mobile Simple Payment Service for Korean Youth)

  • 김효경;문재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191-192
    • /
    • 2020
  • 모바일 결제는 모바일 거래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요소이다. 모바일 간편 결제란 일반적으로 재화, 서비스 이용에 연관된 결제를 모바일 단말기로 처리하는 것을 말하는데. 모바일 폰의 높은 보급률과 사용자의 편리하고 즉각적인 결제에 대한 니즈에 의해 모바일 결제는 금전적 거래를 성사하는데 중요한 채널로 인식되고 있다. 모바일 간편결제 시장이 급성장세를 보이면서 카드를 갖다 대거나 인증만으로 결제하는 세상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스마트폰 제조사를 비롯해 플랫폼 및 유통업체, 결제시장의 전통 강자인 각 금융사에 이르기까지 간편결제 시장의 주도권을 놓치지 않기 위한 경쟁도 더욱 달아오를 것으로 전망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래의 잠재적 주요고객이면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청소년들에 대한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이용현황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청소년들이 모바일 간편 결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 PDF

모바일 컨텐츠 인앱 결제 우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대처 방안 (Management Plan for Mobile Contents Bypassing In App Billing Application)

  • 이상호;신미예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21-26
    • /
    • 2015
  • 모바일 컨텐츠가 성장함에 따라 모바일 컨텐츠가 있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인앱 결제가 활발하다. 하지만 이용자들 중 정당하게 돈을 지불하고 이용하지 않고 결제 모듈을 속이거나 해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유료 컨텐츠를 무료로 이용하고 있다. 이를 결제 우회라고 부른다. 결제 우회를 돕는 애플리케이션에는 프리덤(Freedom), 아이앱 크래커(IAP Cracker), 그리고 보로딘이라는 해커가 제시한 DNS 서버가 있다. 모바일 게임의 경우 결제 우회를 사용한 이용자들 때문에 유료 컨텐츠를 팔았음에도 매출 로그에 나온 결제 금액과 실제 수익으로 돌아오는 금액이 다르다. 결제 우회에 대응 방안으로 구매 번호 형태 확인, 공개 키 암호화, 영수증 검증 세 가지를 제안한다.

  • PDF

모바일 간편결제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연구 -신한FAN 앱카드와 삼성 앱카드를 중심으로- (Usability Evaluation for Simple Payment Service Based on Mobile Application -Focused on Shinhan and Samsung-)

  • 이경주;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421-426
    • /
    • 2018
  • 본 연구는 모바일 앱카드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의 편의성과 만족도 증진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1차로 앱카드 간편결제 서비스의 현황을 파악하고, 2차로 앱카드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을 위주로 피터 모빌(Peter Morvile)의 허니콤 모델을 5가지 사용성 원칙으로 재구성하여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들은 많은 부가기능보다는 앱카드 본연의 사용 목적과 주요기능에 충실하고, 사용자의 소비패턴을 고려한 개인별 맞춤 서비스를 선호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카드사들의 앱카드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경험 증대와 플랫폼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모바일 쇼핑에서 광고 유형과 앱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SNS활용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박지수;허철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3-128
    • /
    • 2019
  • 최근 스마트 기기의 발전 및 보급 확대에 따라 사용자의 범위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쇼핑 이용자들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고, 광고 또한 인터넷 기반에서 모바일 플랫폼 기반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모바일 기기의 중요성이 커지고 편의성이 증대되면서 소비자들의 구매방법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데, 정보를 탐색하고, 구매를 결정하고, 결제하는 행위 등 모바일에서 이루어지는 비중이 늘어나면서 앱을 구성하는 것 또한 중요한 마케팅 전략으로 자리잡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 역시 사용량이 급증하게 된 모바일 쇼핑에서 SNS활용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하여 광고 유형과 애플리케이션 특성이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결과를 제시하여 관련 업계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쇼핑 이용자들의 모바일 쇼핑을 통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통해 모바일 광고유형, 앱 특성에 관한 고찰과 구매의도와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쇼핑 이용자들의 모바일 쇼핑을 통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광고 유형, 앱 특성으로 구분하고 이들 변수들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변수로 SNS활용도를 도입하였다.

  • PDF

모바일게임 인앱결제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Consumer Problems of Mobile Game In-app Payment)

  • 구혜경;김민지;김수연;서도연;양소현;임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93-105
    • /
    • 2019
  • 모바일 콘텐츠 시장의 급성장과 더불어 인앱결제 관련 소비자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관점에서 모바일 게임 관련 인앱결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고자 인앱결제 관련 소비자문제 및 피해를 나타내는 3가지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2030 세대 323명이 각 상황을 통해 인앱결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평가하였다. 소비자들은 인앱결제 표시 및 가독성 문제, 앱마켓 책임 문제, 게임사 책임 문제, 소비자 책임 문제 등으로 인앱결제 문제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각 요인에 대한 평가수준에 따라 표시개선 및 앱마켓 책임 강조형, 소비자 책임 강조형, 표시개선 및 게임사 책임 강조형으로 소비자가 유형화되었다.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 다항로짓분석을 통하여 인구통계적 특성 외에 인앱결제 표시 가독성 강화를 포함한 관련 법제의 미비점 개선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높으며, 콘텐츠 개발사인 게임사 이외에 유통사인 앱마켓의 역할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가 커 소비자, 기업, 정부의 협력적 노력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보안 취약점 분석 (Security vulnerability analysis of Simple Mobile Payments Services)

  • 송진석;정명우;서승현;이상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17-82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국내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카카오페이(KakaoPay)의 보안취약점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키패드의 터치 좌표값을 추출하는 키로거 앱(key logger application)을 개발하였다. 키로거 앱을 이용해 사용자가 카카오페이 서비스의 비밀번호를 누를 때 비밀번호가 출력되는 화면 좌표값을 알아내고, 확률분석기법을 통해 추출한 화면 좌표값으로 결제용 비밀번호를 유추해냄으로써, 카카오페이 서비스의 보안 취약점을 도출하였다.

모바일 RPG 게임의 인 앱 결제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사용성 평가 : '리니지M'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the Usability of Mobile RPG Game In-App Payment Service User : Focused on the Lineage M)

  • 김승언;김영식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7-38
    • /
    • 2018
  • 본 논문은 모바일 RPG게임 내 인앱 결제 서비스 이용자들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통해 향후 국내 모바일 RPG게임 개발자 및 기획자들에게 업데이트 및 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모색하고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모바일 게임 '리니지M'의 인 앱 결제 서비스를 주로 이용하는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정량적 평가를 위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했다. 사용성 평가를 위한 도구로는 피터모빌(Peter Morville)이 정의한 'The User Experience Honeycomb'를 기준으로 설계한 설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러한 통계결과를 접근성, 가치성, 신뢰성, 매력성, 사용성 총 5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새로운 모바일 RPG게임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모바일결제 사용의도의 주요 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연령 및 모바일결제 서비스 유형에 따른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 Services: Focusing on the Types of Mobile Payment Services and Different Age Groups)

  • 정승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01-112
    • /
    • 2017
  • 본 연구는 다양한 모바일결제 서비스들을 대상으로 모바일결제 서비스의 유형과 연령에 따라 모바일결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폰 전용 페이 유형에서는 소비자 혁신성이 모바일결제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온라인 페이 유형에서는 호환성과 이미지가 모바일결제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앱 카드 유형의 경우에는 모바일결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30대와 40대의 경우에는 소비자 혁신성, '모바일결제 서비스 외의 이전 서비스에 대한 신뢰' 및 호환성이 모바일결제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50대와 60대의 소비자 그룹에서는 이미지가 모바일결제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위험이 모바일결제 사용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대와 20대의 경우에는 모바일결제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결제 서비스의 유형과 연령에 따라 모바일결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처음으로 비교 분석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모바일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목표로 하는 소비자 그룹에 모바일결제 서비스의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서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해당 그룹에 잘 맞는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