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듈

Search Result 11,79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Heat efficiency Analysis of PVT module system using CFD (CFD를 이용한 PVT 모듈 열교환기 성능 해석)

  • Kim, Yangjoon;Kim, Dongkwon;Nam, Seungbaek;Cho, Ins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112.2-112.2
    • /
    • 2011
  • PVT(Photovoltaic Thermal) 모듈은 태양광과 태양열 에너지를 동시 이용이 가능한 모듈로서 태양광전지(PV, Photovoltaic)모듈에 열교환기를 접합한 형태로 전기에너지뿐만 아니라 열에너지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기존 PV 모듈은 일사량이 많으면 전력 생산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PV모듈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발전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25^{\circ}C$이상 조건에서 모듈 온도가 $10^{\circ}C$ 증가할수록 발전효율의 약 4~5%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PVT 모듈은 기존 태양광모듈에 열교환기를 접합하여 냉각함으로써 PV모듈의 온도를 낮추어 발전효율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부가적으로 발생하는 온수를 직접이용하거나 다양한 계통의 보조 열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기법(CFD)을 활용하여 PV모듈 냉각 및 온수 발생을 위한 열교환기를 설계하였으며 다양한 형상의 열교환기에 대해 유동해석을 수행하여 최적의 열흡수효율을 갖는 열교환기의 형상을 설계하였다. 또한 최적 설계된 PVT 모듈을 제작하여 실제 태양과 유사한 광원을 갖는 인공태양조건에서의 실내 실험을 통해 PVT 모듈의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또한 실제 노상에 설치하여 ASHRAE 93-77의 실험기준과 ECN의 PVT 집열기 성능측정 가이드라인에 따라 옥외 시험평가를 하여 PVT 모듈의 성능 검증을 하였다. 최적 설계된 PVT모듈에 대한 성능평가 결과 기존 PV 모듈보다 발전효율이 약 15%(기존 발전효율 대비) 향상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 PDF

Specipication of Design S/W using Logic Theory & Logic Kit (디자인 논리설계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논리회로 설계 검증)

  • Jin, Hyun-S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a
    • /
    • pp.357-35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논리 설계를 위해서 I-ROB 3000이라는 로봇 키트를 사용하여 논리 설계를 검증하였다. 이 검증에는 iRoV-Lab 3000의 장착된 로봇 모듈인 FPA 모듈,Stepper Motor 모듈,적외선 송수신센서 모듈, 카메라 모듈,RF 모듈 LED,TEXT LCD, 7-segment를 제어하기 위한 FPGA를 사용하며,FPGA설계를 위해 Schematic Design 또는HDL에 대해 연구한다.로봇 설계 시스템의 내부구조를 이해하고 개발환경을 구축할수 있다. 로봇의 구성요소와 각각의 구성요소(Sensor 모듈,display 모듈, Stepper Motor 모듈,RF 모듈)의 동작 원리를 개발한다.

  • PDF

Design of Robort using VHDL and Verilog (VHDL과 Verilog를 이용한 FPGA 로봇설계)

  • Jin, Hyun-Soo;Chae, Gyu-S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a
    • /
    • pp.360-36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SoC 키트에 해당하는 iRoV-Lab 3000의 장착된 로봇 모듈인 FPA 모듈, Stepper Motor 모듈, 적외선 송수신 센서 모듈, 카메라 모듈, RF 모듈 LED, TEXT LCD, 7-segment를 제어하기 위한 FPGA를 사용하며, FPGA설계를 위해 Schematic Design 또는 HDL에 대해 연구한다. FPGA의 내부구조를 이해하고 개발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로봇의 구성요소와 각각의 구성요소(Sensor 모듈, display 모듈, Stepper Motor 모듈, RF 모듈)의 동작 원리를 개발한다.

  • PDF

사용후핵연료봉 인출 핵심장치 디지털 목업 검증

  • Kim, Yeong-Hwan;Jo, Yong-Jun;Lee, Yeong-Sun;Lee, Do-Yeon;An, Do-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177-178
    • /
    • 2016
  • 전처리 공정장치 구축에 앞서 정확한 설계와 검증이 선행되어야 한다. 우선 디지털 목업 기술을 통해 설계검증을 철저히 함으로써 공정의 품질을 높이고 공정하자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전처리 공정 중 사용후핵연료봉 인출 핵심장치의 유지보수를 쉽게 하고, 원격제어 효율을 높이기 위한 모듈화와 그에 대한 모듈화 방안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해 전처리 디지털 목업 시스템 검증 대상과 사용 후핵연료봉 인출 핵심장치 주요모듈을 선정하였으며, 주요 모듈의 모듈화 방안 과 모듈 탈착 시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용후핵연료봉 인출 핵심장치에서는 5개의 주요 모듈로 구성하였으며, 모듈 탈착 시간 검증에서 작업시간은 클램프모듈이 약 190초, 언볼팅, 푸셔 모듈이 140초, 인출 모듈이 160초, 연료봉 밀집 모듈이 80초 소요될 것 분석되었다. 향후 전처리장치별 모듈 분석과 LAYOUT 운영을 포함해서 MSM 시뮬레이터의 디바이스 및 시뮬레이터 시스템 구축을 수행할 것이다.

  • PDF

A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n a Harvest Module for Global Repository Information Data (글로벌 리포지터리 정보 수집모듈 개발 및 검증)

  • Kim, Suntae;Choi, My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5-1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리포지터리의 현황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모듈을 개발하고 이의 완전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OpenDOAR와 ROAR 레지스트리에 등록되어 있는 리포지터리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각각의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API와 웹페이지에 대한 분석을 진행 하였다. 개발 모듈로는 대륙별 국가정보 수집모듈, 리포지터리 소프트웨어 정보 수집모듈, 리포지터리 주제 정보 수집모듈, 리포지터리 상세정보 수집모듈을 개발하였다. 수집모듈로 수집된 리포지터리 정보를 대상 정보원의 데이터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모듈의 완전성을 검증하였다.

  • PDF

XML Document Selection and Query Expansion Modules (XML 문서선별과 질의확장을 위한 자동화 모듈 개발)

  • 김명숙;권혁돈;공용해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455-458
    • /
    • 2004
  • 본 연구는 다양한 형식을 가지는 XML 문서의 효율적인 정보검색을 위한 다음과 같은 자동화 모듈들을 개발하였다 구현된 모듈은 XML 문서를 획득하는 문서추출 모듈, 온톨로지를 이용한 포괄적 DTD 생성 모듈 생성된 포괄적 DTD와 XML 파서를 이용하여 정보검색 대상 XML 문서를 사전에 선별하는 문서여과 모듈, XML 질의를 확장하는 질의확장 모듈, JDOM의 XPath를 이용한 질의엔진 모듈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현한 모듈들을 샘플 XML 문서에 적용하여 XML 문서추출, DTD 생성, 문서여과, 질의확장, 질의엔진의 효과를 실험하였다.

  • PDF

PV모듈의 전면 유리 두께 변화에 따른 기계강도 특성

  • Choe, Ju-Ho;Jeong, Tae-Hui;Gang, Gi-Hwan;Jang, Hy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297.1-297.1
    • /
    • 2013
  • PV모듈은 다수의 태양전지를 상호 연결한 후 라미네이션(Lamination)공정을 통해 오랜 시간 견딜 수 있는 하나의 구조물로 만든 것이다. 외부환경 노출되어 장시간 발전하는 PV모듈은 설하중 풍하중 등 다양한 응력을 받는다. 이러한 외부 응력은 PV모듈 내부의 태양전지를 파손시켜 발전 출력의 감소를 발생 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계적 신뢰성을 보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PV모듈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V모듈의 기계적, 물리적 변형을 최소화 하고자 PV모듈 전면에 사용되는 강화유리의 두께를 증가시켜 기계하중 시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K SC IEC 61215의 PV모듈 인증시험 기준에서 제시하는 기계강도 시험과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실시 하였으며, 전면유리 두께가 3.2 mm, 4 mm, 5 mm인 PV모듈을 사용하여 하중에 대한 최대변형과 출력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EL (electroluminescence) 측정을 통하여 기계강도 실험전 후의 모듈 내부 태양전지 파손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PV모듈에 대한 내풍압 및 적설하중 등 Field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물리적 내구성능을 분석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 PDF

Modularization of Automotive Product Architecture: Evidence from Passenger Car (자동차 아키텍처의 모듈화: 승용차 사례를 중심으로)

  • Kwak, Kiho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7 no.2
    • /
    • pp.37-71
    • /
    • 2019
  • How has the passenger car's architecture evolved? In the meantime, the discussions on the car architecture have been mixed, i.e., integral, modular, and the coexistence of two typ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 to develop two indices can measure the degree of modularization of passenger car and its all modules using global trade data. By applying the indices to the framework of architecture positioning that reflects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a product, we examined that the degree of modularization of the passenger car architecture has been enhanced. Meanwhile, the degree of modularization differs across the modules that make up the car. Specifically, we observed the higher degree of modularization in front-end, cockpit and seat modules. Whereas, we found that body module had a relatively low degree of modularization. In particular, we observed that the platform of passenger car has notably modularized due to carmakers' efforts to achieve model diversification and reduction of cost and period in new product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Interestingly, we showed that three modules, i.e., engine, chassis (relatively less modularized), and transmission (relatively highly modularized), had a different level of modularization, even if they commonly make up the platform. We contribute to the suggestion for analytical approaches that examine the degree of modularization and its progress longitudinally. In addition, we propose the necessity of decomposition of a system into elements in a study of product architecture, considering the possibly distinctive progress of modularization across the elements.

A New Modular Multiplication Algorithm for Fast Modular Exponentiation (모듈라 멱승 연산의 빠른 수행을 위한 새로운 모듈라 곱셈 알고리즘)

  • 홍성민;오상엽;윤현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1995.11a
    • /
    • pp.173-182
    • /
    • 1995
  • 모듈라 멱승(modular exponentiation) 연산은 암호학에서 기본적이고 중요한 연산이다. 그러나, 이는 다정도 정수(multiple precision integer)들을 다루기 때문에 그 연산시 간이 무척 많이 걸리므로 이를 단축시킬 필요가 있다. 모듈라 멱승 연산은 모듈라 곱셈(modular multiplication)의 반복으로서, 전체 연산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모듈라 곱셈의 수행시간을 단축시키거나, 모듈라 곱셈의 반복횟수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모듈라 곱셈을 빠르게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 두 개를 제안한다. 하나는 서로 다른 두 수의 모듈라 곱셈 알고리즘이고, 다른 하나는 모듈라 제곱을 빠르게 수행하는 알고리즘이다. 이 둘은 기존의 모듈라 곱셈 알고리즘들에 비해 각각 절반과, l/3가량의 단정도 곱셈(single-precision multiplication)만을 필요로 한다. 실제로 PC상에서 구현한 결과 각각 100%와 30%의 속도향상을 보인다.

  • PDF

PV모듈 전.후면 재료별 PID에 의한 출력 변화

  • Kim, Han-Byeol;Jeong, Tae-Hui;Gang, Gi-Hwan;Jang, Hy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312.1-312.1
    • /
    • 2013
  • PID (Potential Induced Degradation)는 높은 시스템 전압을 갖는 PV모듈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PV모듈의 출력을 급격하게 감소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PV시스템의 높은 전압은 태양전지와 PV모듈의 프레임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하여 누설전류가 흐르게 된다. 누설전류는 태양전지 표면에 전하를 축적 시켜 발전 효율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누설전류는 온도와 습도가 높을수록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PV모듈을 구성하는 재료가 PID에 의한 출력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ID가 쉽게 발생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PV모듈을 제작 할 때 사용되는 전 후면 재료를 이용하여 각각의 출력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V모듈의 전 후면 재료를 각각 다르게 하여 이에 따른 PID 발생 정도를 출력 변화로 확인하였으며 PID의 원인이 되는 누설전류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 분석하였다. PV모듈의 후면 재료는 PV모듈 내부로의 수분 침투와 관련하여 PID 발생에 영향을 주고 전면재료인 저철분 강화유리는 PV모듈 내부에 전하를 공급하여 누설전류가 발생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