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델 쥐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31초

당뇨병 쥐에서 혈관내피 성장인자 수용체-1 차단 펩타이드를 이용한 신내막 형성과 혈관평활근세포 이동의 억제 (Inhibition of Neointima Formation and Migr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by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1 (Flt-4) Peptide in Diabetic Rats)

  • 조민섭;유기동;박찬범;조덕곤;조규도;진웅;문건웅;김철민;왕영필;이선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4호
    • /
    • pp.264-272
    • /
    • 2007
  • 배경: 혈관내피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는 혈관평활근세포(vascular smooth muscle cell)의 증식과 이동을 촉진함으로써 혈관신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당뇨병은 VEGF의 발현과 연관되어 정상 혈당상태에서 보다 세포의 증식을 더욱 촉진시킨다. 당뇨병쥐에서 VEGF 수용체의 선택적 차단이 손상된 혈관에서 신내막 형성과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대상 뜻 방법: 당뇨병 쥐의 경동맥 풍선손상 모델에서 위약을 투여하거나, 혈관내피 성장 인자 수용체-1(VEGFR-1)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항-Flt-1 펩타이드(anti-Flt-1 peptide; Gly-Asn-Gln-Trp-Phe-Ile)를 풍선손상 2일 전부터 0.5mg/kg의 용량으로 2주간 매일 투여한 군으로 나누어 Hematoxylin-Eosin 염색을 하여 신내막의 형성정도와 혈관내강의 협착정도를 비교하였으며, proliferative cell nuclear antigen (PCNA)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시행하여 세포의 증식정도를 관찰하였다. 혈관평활근세포를 고혈당환경에서 배양하고 transwell assay를 시행하여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였다. 고혈당 환경에서 자라고 있는 혈관평활근세포에 50ng/mL의 VEGF를 단독 또는 3ug/mL의 항-Flt-1 펩타이드와 함께 처리하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 matrigel filter를 통과한 세포를 세어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은 세포가 이동한 정도와 비교하였다. 또한, 혈관평활근세포에 세포이동 정도 측정 시와 같은 처리를 한 후, RNA를 분리하고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시행하여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nase, MMP)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다. 결과: 신내막의 면적은 위약 투여 쥐는 $0.24{\pm}0.03 mm^2$이었으나, 항-Flt-1 펩타이드의 처리에 의해 $0.15{\pm}0.04 mm^2$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1), 신내막 형성에 따른 내강의 협착 정도도 위약 투여 쥐는 $61.85{\pm}5.11%$, 항-Flt-1 펩타이드 투여 쥐는 $36.03{\pm}3.78%$로 항-Flt-1 펩타이드 투여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신내막의 전체 세포수에 대한 PCNA(+)인 세포를 백분율로 구하였으며, 위약 투여 쥐와 항- Flt-1 펩타이드 투여 쥐에서 각각 $52.82{\pm}4.20%,\;38.11{\pm}6.89%$로 나타나 항-Flt-1 펩타이드를 투여한 쥐에서 PCNA(+)인 세포가 유의하게 적음을 보이고 있다(p<0.05).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 정도 측정에서는 항-Flt-1 펩타이드 처리에 의하여 VEGF에 의한 혈관평활근 세포의 이동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또한, 항-Flt-1 펩타이드 처리에 의하여 VEGF에 의한 MMP-3와 MMP-9 mRNA의 발현 증가가 억제되었다. 결론: 항-Flt-1 펩타이드는 당뇨병쥐의 경동맥손상모델에서 신내막 형성을 억제하였으며, 고혈당 환경에서 배양된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과, MMP-3와 MMP-9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수면장애 모델 쥐의 뇌기능과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n Brain Function and Sleep Disorder of Sleep Disturbance Rats)

  • 김동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69-76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수면장애 모델 쥐의 수면장애 개선과 뇌기능 기억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신경생리학적 접근을 통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수면장애 모델 쥐 16마리에게 동물실험실에서 제작된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4일간 실시하였다. 실시 후 뇌기능은 해마의 BDNF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수면의 변화는 혈액 중의 멜라토닌의 농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첫째, 복합운동프로그램의 뇌기능에 대한 영향은 실험군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p<0.01). 둘째, 복합운동프로그램의 수면장애에 대한 영향은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p<0.01) (p<0.05). 결론 : 지역사회의 노인증가율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의 수면장애는 이러한 노인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수면장애로 인한 이차적인 기억력 저하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수면장애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경제적, 공간적으로 부담이 되지 않는 복합운동만으로도 수면과 기억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음을 실험동물을 통하여 과학적으로 증명하였다.

뇌유래신경영양인자 발현 중간엽 줄기세포의 하부요로증상 개선 효과 (Transplantation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Expressing Mesenchymal Stem Cells Improves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 a Rat Model)

  • 전승환;박미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17-424
    • /
    • 2020
  • 이 연구는 신경인성 방광 쥐 모델에서 줄기세포에 의해 발현된 뇌유래신경영양인자가 하부요로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48마리의 Sprague-Dawley 쥐를 정상군, 하부요로증상군, 하부요로증상+imMSC군 및 하부요로증상+BDNF-eMSC군으로 무작위 선정하였다. 하부요로증상모델은 골반신경절 손상에 의해 유도되었으며 방광 기능평가는 마취 하에 실시하였고, 수축성 검사 및 웨스턴 블롯 분석을 위해 방광 조직을 절제하였다. 뇌유래신경영양인자 발현 중간엽줄기세포 치료가 하부요로증상에 미치는 영향도 평가되었으며 뇌유래신경영양인자 발현 중간엽줄기세포는 방광 조직의 섬유화를 억제하였고 Caspase-3 발현을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뇌유래신경영양인자 발현 중간엽줄기세포는 하부요로증상 쥐 모델에서 세포 사멸의 억제와 함께 방광의 기능 및 수축성의 회복을 가져왔다.

양성자 자기공명분광법을 이용한 우울증 동물모델에서의 항우울제 약물 효능 평가 (Evaluation of Antidepressant Drug Effect in a Depressive Animal Model by Proton MR Spectroscopy)

  • 김상영;최치봉;이성호;우동철;윤성익;홍관수;이현승;정재준;지보근;홍승탁;김휘율;최보영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9권2호
    • /
    • pp.95-101
    • /
    • 2008
  • 본 기초연구에서는 강제수영검사(forced swimming test, FST)에 의해 우울증이 유발된 쥐의 해마(hippocampus) 부위에서 뇌 대사물질(brain metabolites)중에 choline 신호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증이 유발된 쥐에 항우울제인 desipramine-HCl을 투여하여 정상 쥐와 약물을 투여한 쥐 사이의 뇌 대사물질의 차이를 자기공명분광법(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RS)을 통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실험대상으로는 6주령의 SD rat을 사용하였으며 우울증을 유발시키고 항우울제의 약물평가를 위한 모델링 방법으로 강제수영검사를 시행하였다. 자기공명분광법을 시행하기 위한 localization 방법으로는 PRESS 펄스시퀀스를 사용하였다(TR: 2,500 ms, TE: 144 ms, averaging: 512, complex data point: 2048, scan time: 25 min). 정상 쥐 그룹과 우울증을 유발시킨 뒤 항우울제를 투여한 쥐 그룹 모두 양쪽 해마부위에서의 NAA/Cr, Cho/Cr 비율(ratio)은 차이가 나지 않았다. 또한 왼쪽 해마에서 정상 쥐와 항우울제를 투여한 쥐 사이에서 NAA/Cr, Cho/Cr 비율도 차이가 나지 않았고, 오른쪽 해마부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anti-immobility효과를 나타내는 항우울제를 투여함으로써 choline 신호가 정상 쥐와 비슷하게 회복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앞으로의 항우울제 약물 평가에 있어 자기공명분광법을 도입함으로써 기존의 주관적인 판단을 배제할 수 없었던 행동변화분석만으로 항우울제의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에 비해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분석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주 유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 PDF

쥐의 Collagen 유발 관절염의 활액에서 단백분해효소의 활성 및 유리기 손상에 미치는 봉독약침의 억제효과 (The Effect of Bee Venom Acupuncture on Protease Activity and Free Radical Damage in Synovial Fluid from Collagen-induced Arthritis in Rats)

  • 김민정;박상동;이아람;장준혁;김경호;김갑성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9권5호
    • /
    • pp.161-175
    • /
    • 2002
  • 봉독은 거풍습(祛風濕), 지통(止痛), 해경평천(解痙平喘), 소종강압(消腫降壓)의 효능으로 오랫동안 통증과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이용되어져 왔는데 최근에는 면역관련질환치료에 응용하여 좋은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Rheumatoid arthritis와 유사한 형태의 대표적 실험모델로 알려진 실험용 쥐의 Type II collagen 유발 관절염(Type II collagen induced arthritis : CIA)의 활액에서 봉독약침이 단백분해효소와 유리기 손상에 미치는 면역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행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CIA가 유발된 실험용 쥐에 봉독약침($5{\mu}l/kg$)을 처리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서 CIA 유발 쥐에 생리식염수를 처리한 군(CIA군), 정상적인 쥐에 생리식염수로 처리한 군(정상군)으로 구분하여 각 군들의 일련의 표본에서 세포질, 리소좀, 간질성 단백분해효소의 활성과 유리기로 인한 단백질 손상정도를 (carbonyl 유도체를 측정하여)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각 군의 활액표본에서는 많은 종 류의 단백분해효소가 정산군보다 CIA군에서 유의하게 활성이 높았으며, 봉독약침($5{\mu}l/kg$)을 처리한 군에서 효소들의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각 군들의 혈장표본에서는 이 효소들의 활성은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혈장속의 면역반응과 연관되리라고 추측되는 단백분해효소들의 활성변화는 병인적 측면에서 RA와 같은 염증성관절 질환과는 큰 상관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Carbonyl 유도체 측정으로 평가한 유리기 손상은 활액과 현장표본에서 모두 봉독약침($5{\mu}l/kg$)을 처리한 군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단백분해효소와 유리기의 활성은 RA의 병인학적 측면에서 모두 잠재적인 중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향후 새로운 RA치료법은 이들 단백분해효소의 활성저해와 유리기의 소거능을 포함해야 한다고 사료되며 봉독약침은 이러한 2가지 효능을 포함한 효과적인 치료라고 평가된다.

  • PDF

쥐 모델에 있어 내독소에 의한 실험적인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 (Experimental Endotoxin-Induced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in Rat Model)

  • Seok- Cheol Choi;Jai-Young Kim;Jin-Bog Koh;Won-Jae L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3-88
    • /
    • 1997
  •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은 패혈증 환자들에 있어 빈번히 발생하며 여러 가지 위급한 질병 상태에 관계하는 병리학적 상황이다.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은 기존의 복잡한 임상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들어서 높은 사망률의 원인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병인적 기전들은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의 발생에 관여하는 병인적 기전들의 이해를 위해 전향적으로 계획되었다. 15마리의 쥐를 대상으로 해서 연구목적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었다:I 군은 대조군으로서 내독소를 투여하지 않은 쥐들이고 (n=5), II 군은 내독소 투여 후 12시간이 경과한 쥐들이며 (n=5), III군은 내독소 투여 후 24시간이 경과한 쥐들이었다 (n=5). 실험적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은 일정량의 내 독소를 한번에 투여하여 유도하였다 (1mg/kg, E. coli serotype 055:B5). 실험대상 쥐들의 심장으로부터 직접 채혈하여 혈소판수, 섬유소원 농도, plasminogen 농도, 항트롬빈 III 농도, D-dimer, 보체성분 (C3 및 C4)을 측정하였다. 내독소를 투여한 II 군과 III 군에 있어 혈소판수, 섬유소원 (III 군의 경우는 오히려 증가), plasminogen, 항트롬빈 III, 그리고 C3등의 혈중 농도들이 대체로 감소하였고 D-dimer 농도는 증가함으로써 명백한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들은 내독소에 의해 응고계, 섬유소용해계, 그리고 보체계와 같은 여러경로의 활성화가 유도될 수 있으며, 이로해서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 및 이차적인 중복 장기기능 부전이 발생하리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결국, 이와같은 실험적인 내독소 유도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에 있어 응고계 및 섬유소 용해계의 활성을 일으키는 다양한 기전에 관한 축척된 지식들은 그와 같은 질병의 예방 혹은 치료방법을 제공해 줄 것이다.

  • PDF

Streptozotocin-유도 당뇨모델을 이용한 배양인삼 분말의 혈당 강하 및 지질대사의 개선효과 (Effects of Tissue Cultured Ginseng on Blood Glucose and Lipid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이인선;이승욱;이인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80-28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streptozotocin-유도 당뇨쥐를 이용하여 배양인삼의 첨가식이가 혈당강하 및 지질대사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대조군과 당뇨대조군, 5% 및 10% 배야인삼첨가군 등 모두 4군으로 나누어 해당식이로 2주간 사육하였다. 배양인삼은 당뇨쥐의 체중증가와 혈당저하에 효과를 나타냈으며, 수분 및 사료 섭취량도 줄여 당뇨병 증세의 개선효과를 보였다. 또한 당뇨쥐의 지질대사를 개선하여 혈장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및 동맥경화지수를 저하시키고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을 증가시켰다. AST 및 ALT의 활성은 5% 첨가군에서만 당뇨대조군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으며, 10% 첨가군에서는 오히려 높은 값을 보였다. Creatinine의 함량은 모든 첨가군에서 당뇨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낮은 값을 보였다.

LP-BM5 Leukemia Retrovirus 감염으로 유발된 Murine AIDS에서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의 Th1/Th2 Cytokines의 발현 조절 및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 연구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Inhibited Immune Dysfunction Induced by LP-BM5 Leukemia Retrovirus Infection through Regulating Th1/Th2 Type Cytokine mRNA Expression and Oxidative Stress in Murine AIDS Model)

  • 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329-1335
    • /
    • 2006
  • AIDS로의 진행과정은 단순히 몇몇 기작에 의한 것이 아니라 여러 경로를 거쳐 발생하며 그 진행속도도 개개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쥐 AIDS 모델을 이용하여 항산화호르몬으로 알려진 DHEAS의 면역조절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DHEAS의 투여는 LP-BM5 retrovirus 감염으로 인한 T와 B 임파구의 mitogenesis를 증가시켰으며 Th1/Th2 type cytokines의 발현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주로 전사수준에서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retrovirus 감염으로 인한 간조직의 지질과산화 유발을 억제하여 조직 내의 항산화제인 vitamin E의 함량을 유지시킴으로 NF-kB의 활성화를 통한 retrovirus의 복제를 억제시켜 Th1/Th2 type cytokines의 불균형적인 발현을 저해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쥐 AIDS모델에 있어서 DHEAS의 면역조절 효과를 확인한 본 연구는 향후 HIV감염 이후 AIDS로의 진행 과정 시 항산화제의 역할과 기작 규명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알츠하이머병 쥐 모델에서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의 효용성 검토 (Review : Effectivenes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rodent models of Alzheimer's disease)

  • 김지은;박예은;정진형;이상식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403-412
    • /
    • 2021
  •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원인 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서, 아직은 증상을 개선시키는 정도의 약물적 치료가 주를 이룬다. 이러한 경구약제의 치료적 한계성 및 신약개발의 어려움에 직면하여 임상에서는 비약물적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경두개 직류전기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는 낮은 강도의 직류전류를 이용한 비침습적 뇌조절술의 한 종류로서, 그 안전성에 대해서는 이미 널리 입증받은 바 있다. 본 종설에서는 알츠하이머병 쥐 모델에게 tDCS를 적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행동학적, 신경생리학적, 뇌조직학적 회복에 대한 객관적 근거들을 살펴봄으로써, 인간 대상 tDCS연구의 배경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담관결찰 쥐 모델에서 태반유래중간엽줄기세포 이식에 의한 miRNA 표적 인테그린 변화의 간재생 효과 (Alteration of MicroRNAs Targeted Integrins by PD-MSCs Transplantation Is Involved in Hepatic Regeneration in a Rat Model with BDL)

  • 박소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710-718
    • /
    • 2021
  • 태반유래 중간엽줄기세포(PD-MSCs)는 재생의학에서 세포기반치료제로 잘 알려진 세포군이다. PD-MSCs의 손상된 부위로의 이동과 호밍 기능은 MSC 생착의 중요한 특성이다. miRNA는 최근 MSC의 증식, 생존 이동과 같은 중요한 기능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담관결찰(BDL) 쥐 모델에서 PD-MSCs 호밍에 관련된 miRNA 및 표적 유전자를 동정하는 것으로,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이용하여 PD-MSCs 호밍에 관여하는 유전자 표적 miRNA를 선별하였다. BDL 쥐모델에 PD-MSCs을 이식한 일주일 후 간 조직에서 PD-MSCs 생착여 부는 면역형광분석법과 qRT-PCR에 의한 인간 Alu유전자 발현으로 확인되었다. 저산소 및 정상조건(Hyp/Nor)에서 이동한 PD-MSC에 비하여, PD-MSCs 이식한 BDL군 간 조직에서 miRNAs 발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PD-MSCs 호밍 관련 miRNA와 표적유전자를 검증하였다. miR199a-5p 및 miR-148a-3p에 대한 표적 유전자 인테그린 α4 (ITGA4)와 α5 (ITGA5)의 발현은 이식(Tx)그룹에서(p<0.05) 유의하게 상향 조절되었다. 또한 인테그린 β1 (ITGB1)과 β8 (ITGB8)의 발현은 miR-183-5p 및 miR-145-5p억제에 의하여 크게 증가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BDL에 의해 손상된 쥐간에서 PD-MSCs가 호밍효과을 위해 인테그린 그룹과 관련된 miRNA 발현 조절에 관여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miRNA에 의한 인테그린 그룹 조절기능이 BDL에 의해 유도된 간섬유증 쥐모델에서 PD-MSCs의 치료효과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