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과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6초

식품(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에 의한 물 중 $Cd^2+$, $Pb^2+$ 제거효과 (Effect of Food(Fruit and Oriental Herb's) Waste Materials on Removability of $Cd^2+$, $Pb^2+$ Ion in Water)

  • 오경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02-607
    • /
    • 1999
  • 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을 이용하여 중금속 제거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Cd, Pb 용액에서 사과껍질 모과 밤내피(밤 친껍질) 인삼, 키위껍질, 대추, 원두커피가루의 입자별, 농도별, 온도별 흡착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사과껍질을 제외한 모든폐기물에 있어서 중금속 흡착력은 증가되었고 중금속별 제거량은 Cd는 인삼폐기물이 3,506-4.659mg/g Pb은 밤 친 껍질이 9.189-9.582mg/g으로 다른 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보다 높았다 농도별 중금속 흡착력은 중금속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는데 Cd은 인삼 폐기물이 1,929-3.800mg/g. Pb은 밤 친 껍질이 0.930-9.3685mg/g으로 다른 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보다 높았다. 온도별 중금속 흡착량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여 껍질이 9.368-9.613mg/g으로 다른 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보다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물에 함유된 중금속을 제거하는데 과일 및 한약재 폐기물을 이용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 PDF

모과로부터 산성 트리테르펜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idic Triterpenes from the Fruits of Chaenomeles sinensis)

  • 노승배;장은하;임광식
    • 약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10-615
    • /
    • 1995
  • Three acidic triterpense were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the fruits of Chenomeles sinensis (Rosaceae) together with previously reported oleanolic acid and ursolic acid by repeated silica gel colunm chromatography. Their structures have been elucidated as $2{\alpha},{\;}3{\betha}-dihydroxyolean-l2-en-28-oic$ acid(l. maslinic acid), $2{\alpha},{\;}3{\alpha},{\;}19{\alpha}-trihydroxy-urs-12-en-28-oic$ acid (2, euscaphic acid), and $2{\alpha},{\;}3{\betha}-dihydroxyolean-l2-en-28-oic$ acid (3,tormentic acid),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chemical and spectral evidence.

  • PDF

모과 추출물의 항응혈 활성 (Active Effect of Antivoagulant Effects in chaenomelis Fructus Water Extract)

  • 유지현;한신희;길기정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11
    • /
    • 2009
  • Objectives : This research was investigated anticoagulant effect of the Chaenomelis Fructus extract. Methods : To examine an active effect of anticoagulation in Chaenomelis Fructus extract, the study measured Prothrombin time(PT) an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of human plasma in vitro and measured bleeding time and arterio-venous shunt model in rats in vivo. Results : Bleeding time of Chaenomelis Fructus extract in vivo had a significant increase as about 1.6 times and thrombus weight of Chaenomelis Fructus extract had a significant reduction of thrombus weight as 50%. Chaenomelis Fructus extract represented an effect of anticoagulation by operating on extrinsic pathway factor II, V, VII, X and intrinsic pathway factor VIII, IX, X, XI, XII in the coagulation system. Conclusions : Considering the above mentioned results, it is judged that a Chaenomelis Fructus extract has a control effect of thrombus creation.

키토산, 곡물아미노산, 목초액의 엽면살포가 포도(Campbell Early)의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tosan, Grain Amino Acid and Wood Vinegar Foliar Spray on the Quality and Storability of Grapes(Campbell Early))

  • 주인옥;정기태;정성수;문영훈;류정;최정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9-123
    • /
    • 2007
  • 포도 생육 중 유기농자재의 엽면살포가 포도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농약 처리와 비교하였다 포도의 과방중과 열과 발생률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키토산, 목초액, 곡물아미노산 처리에 의하여 과방중 300g이상과의 비율이 농약처리나 무처리에 비하여 높았다. 유기농자재를 처리한 포도의 당도와 환원당은 각각 $15.0\;^{\circ}Brix$, 13.0-14.5%로 농약처리 $14.5\;^{\circ}Brix$, 13.1%에 비하여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총산함량은 키토산(0.81%)과, 목초액(0.78%) 처리가 농약(0.72%)처리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성분은 칼륨 함량이 가장 높았고 유기농자재 처리(190.0-197.2mg%)에 의하여 증가하였으며 중금속은 철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키토산 처리에 의하여 철과 아연 함량이 증가하였다. 유기농자재 처리 포도를 8주간 MA 저장했을 때 수분감모율은 0.28-0.35%로 낮은 수준이었으며, 환원당 함량은 저장 전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총산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경도는 저장 4-6주까지 감소하다 이후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탈립률은 곡물아미노산과 농약 처리가 각각 10.9%, 11.8%로 가장 낮았으며, 부패율은 키토산과 곡물아미노산 처리가 각각2.2 3.7%로 농약 처리 4.8%에 비하여 낮았고, 상품성은 농약 처리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포도의 유기농재배에 있어서 병해충 방제를 목적으로 키토산, 곡물아미노산, 목초액을 엽면살포 했을 때 과실의 성분 등 품질은 농약 처리와 비교했을 때 차이가 없었으나 포도의 과방중에 의한 등급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MA저장했을 때 저장성은농약 처리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곡물아미노산이 농약처리와 가장 비슷한 수준의 저장성을 보였다. 것이다. 이렇게 하나의 교육방법에만 머무르지 않고 교육방법을 다양화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가정과교육의 영역은 더욱 넓어질 것이다.고, glutathione 함량은 증가시켰으며 지질과산화물 함량을 저하시켰다. 따라서 모과는 알코올 투여로 손상된 간조직의 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32). 이상의 실험결과 모과에탄올 추출물은 in vivo와 in vitro 연구 모두에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모과가 우수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찌는 법${\lrcorner}$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2) 견육요리의 전처리에 있어서 씻는 과정은 내장만 씻고 고기는 씻지 않는 것(52.6%)이 전부를 씻는 것(26.3%)보다 많았고, 내장을 많이(42.1%) 이용하였으며 익히는 과정에서는 거의 쪄낸 후(84.2%) 나름대로의 요리를 만들었고 삶어서 이용한 것은(9.0%) 거의 없었다. 3) 전체 견육요리에 이용된 양념은 22가지이며 그 중 많이 이용된 것은 유장(42.1%), 참깨가루(39.4%), 후추가루(36.8%), 식초(36.8%), 간장(28.9%), 고춧가루(26.3%), 참기름(23.6%), 만초가루(23.6%), 천초가루(23.6%) 등이고, 부재료는 5가지이며 그 중 많이 이용된 것은 파(파의 흰부분과 합함 34.2%)와 미나리(21.0%)이다.,\;CaCl_2$를 농도별(0.02-0.1M)로 첨가하여 pH7, $100^{\circ}C$에서 반응시켜 갈변 억제효과를 비교한 결과 0.1M을 첨가하였을 때 $Na_2SO_3$$NaHSO_3$는 76.8%, $CaCl_2$는 96.4%의 억제호과를 나타내었다.c artery variation occurred, all

HPLC와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방법의 결합에 의한 약용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Measurement of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Extract from Medicinal Plants Using an On-line HPLC-DPPH Assay)

  • 임도연;표병식;김선민;이경인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4-4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분리 및 분석에 가장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C18 column과 UV 검출기가 장착된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와 항산화 활성 측정에 사용되는 1, 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방법을 결합한 HPLC-DPPH 동시 측정법의 최적화와 유용성 확인을 약용식물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적용된 HPLC-DPPH 동시 측정법의 유용성은 갈근, 건강, 유근피, 모과, 황기 등 5종 약용식물의 열수추출물과 대조군으로서 ascorbic acid의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HPLC-DPPH 동시 측정에 앞서 추출액 중 고형분 함량을 refract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추출 수율에 따른 활성 차이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갈근, 모과, 유근피 열수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이 대조군으로 사용된 ascorbic acid와 비교하여 7.77%, 4.71%, 4.19%로서 다른 열수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측정법은 실제 활성 성분의 분리 및 분석에 있어서 불필요한 시간 및 시약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Gymnosporangium asiaticum과 G. yamadae의 형태학적 특징 및 병원성과 강우량에 의한 병발생 차이 (Gymnosporangium asiaticum and G. yamada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athogenicity and Epidemics by Rainfall)

  • 류종숙;이순구
    • 식물병연구
    • /
    • 제10권3호
    • /
    • pp.175-182
    • /
    • 2004
  • 2003∼2004년 향나무에서 Gymnosporangium ariurirem과 G.yamadae 두종의 겨울포자를 채집하여 관찰하였다. 향나무에서 채집한 G.asiaticum의 겨울포자는 막이 두꺼운 (평균 2.5 $\mu\textrm{m}$)후막겨울포자와 막이 얇은(평균 1.2 $\mu\textrm{m}$)박 막겨울포자가 관찰되었으며, G.asiaticum의 겨울포자퇴는 무딘원뿔모양으로 향나무의 잎, 가지에서 발생되었다. G.yamadae 의 겨울포자 또한 막이 두꺼운(평균 2.5 $\mu\textrm{m}$) 후막겨울포자와 막이 얇은(평균 1.2 $\mu\textrm{m}$) 박막겨울포자가 관찰되었으며, G.yamodae의 겨울포자퇴는 향나무의 잎에 주로 발생하였으며 혹모양 또는 꽃모양으로 형성되었다. G.yamodae는 G.asiaticum보다 더 둥글면서 끝은 약간 뽀족하게 돌출된 모양이었다. 또한 한 그루의 향나무에서 두 종류의 겨울포자퇴가 동시에 형성되는 것도 관찰하였다. 그러나 G.asiaticum이 G.yamodae보다 우점종이었다(류, 2004). 모과나무의 붉은별무의병은 강우량에 따라 매년 발병 양상이 달라지는데 담자포자의 형성시기인 4월 하순의 강우량이 많으면 병의 발생도 많았다. 또한 G.asiaticum의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모과나무와 배나무에서 병이 발생하였지만 아그배나무에서는 병이 발생하지 않았다.

타피오카 전분을 첨가한 모과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okwapyun Containing Various Amount of Tapioca Starch)

  • 김가현;박금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44-45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hemical properties,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which produces the mokwapyun from the tapioca starch. The mokwapyun-added tapioca starches hold higher moisture contents than mung bean starches. And, the ratios of tapioca starch indicate differences in the study (p<.001). The pH increases with the increasing amounts of tapioca starch and acidity measurement decreases as amount of tapioca starch increases. The 0% addition of tapioca starch is the highest for lightness and 20% addition of tapioca starch is the lowest. Both the redness and yellowness are being increased with increases in the addition of tapioca starc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exture, 0% addition of tapioca starch is the highest for hard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of mokwapyun which increases with additional percentages of tapioca starch. Nevertheless, it decreases the cohesiveness and brittleness due to increases in the percentage of tapioca starch. According to the result of DSC analysis, the more tapioca starch added to the mokwapyun, the higher the To, Tp, Tc temperatures becom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right contents of tapioca starch with 15% additions make positive acceptability, prepared sensory and machinery characteristics.

한국산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분류학적 연구 (VI) (Taxonomic Studies on Cercospora and Allied Genera in Korea (VI))

  • 김정동;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1호통권88호
    • /
    • pp.54-62
    • /
    • 1999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국내에서 채집하여 고려대학교 농생물학과 진균표본보관소(SMK)에 보존하고 있는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진균을 대상으로 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의 여섯 번째 보고이다. 이번 보고에서는 Cercospora 3종, Neoramularia 1종, Phaeoramularia 1종, Pseudocercospora 3종, Pseudocercosporella 1종 및 Ramularia 1종에 대한 균학적 특징을 기재, 묘사하였다. 셀러리에서 Cercospora apii, 쥐방울덩굴에서 C. aristolochiae-contortae, 아욱제비꽃, 제비꽃, 흰제비꽃, 고깔제비꽃, 뫼제비꽃 및 콩제비꽃에서 C. violae, 가막사리에서 Neoramularia bidentis, 붉은병꽃나무에서 Phaeoramularia weigelicola, 환삼정굴에서 Pseudocercospora cantuariensis, 명자꽃과 모과나무에서 P. cydoniae, 깨풀에서 P. profusa, 박새에서 Pseudocercosporella sublineolata, 그리고 질경이에서 Ramularia plantaginis를 각각 동정하였다.

  • PDF

국내산 식물의 항균활성 검색 (Screening for Antimicrobial Activity from Korean Plants)

  • 최원균;김용성;조규성;성창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00-306
    • /
    • 2002
  • 한국에서 자생하는 125종의 식물에서 추출한 141가지 메탄을 추출물들에서 식품부패미생물인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Enterobacter aerogenes 그리고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Bacillus subtilis에 대해 가장 강한 항균력을 보인 것은 오미자였으며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 대황이,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서는 산사가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금은화는 Bacillus subtilis를, 산사는 Staphylococcus aureus를, 모과와 황금은 Pseudomonas aeruginosa를, 모감주나무꽃, 밤나무꽃, 장미꽃과 파꽃은 Enterobacter aerogenes를, 오미자는 Escherichia coli를 제외한 나머지 4가지 균주에 모두 항균력이 있었다.

전남지역 한약자원식물 수집분류 및 이용체계에 관한 연구 II. 백운산의 약용식물 자원 (A Study on the Herb Plant Resources in Cheonnam Area II. Investigation of the Herb Plant Resources Mt. Baegun)

  • 이종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3-71
    • /
    • 1988
  • 전남지역의 명산중의 하나인 백운산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한약자원 식물을 수집 및 분류하여 약용작물로 재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이 지역의 한약자원 식물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백운산에 분포되어 잇는 약용자원은 60과 250종으로 분류되었다. 2. 분포수종중 과본류는 161 종 목본류 89종이 분포되어 있었다. 3.과본류는 사삼, 도라지, 쑥, 엉겅퀴, 질경이, 차조기, 쇠무릎, 반하, 하수오, 결명자, 용담초, 맥문동, 하고초, 둥글레, 참마, 칡 등이 많이 분포되어 있었고, 목본류로는 굴피나무, 가래나무, 호두나무, 후피향나무, 모란, 이팝나무, 쥐똥나무, 누리장나무, 고로쇠나무, 비자나무, 삼나모, 때죽나무, 모과나무 등이 한약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것들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