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ymnosporangium asiaticum and G. yamada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athogenicity and Epidemics by Rainfall

Gymnosporangium asiaticum과 G. yamadae의 형태학적 특징 및 병원성과 강우량에 의한 병발생 차이

  • 류종숙 (안동시농업기술센터) ;
  • 이순구 (안동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Teliospores of two species of Gymnosporangium asiaticum and G.yamadae collected and identified from Juniperus chinensis, J.chinensis L.var.kaizuka. G.asiaticum was identified as the thick membraned (cell-walled) teliospores (avr 2.5 ${\mu}{\textrm}{m}$) and thin membraned teliospores (avr 1.2 ${\mu}{\textrm}{m}$), and the telia of G.asiaticum was bluntly conical shaped and occured on the leaves and branches of Chinese junipers. G.yamadae was identified as the thick membraned (cell-walled) teliospores (avr 2.5 ${\mu}{\textrm}{m}$) and thin membraned teliospores (avr 1.2 ${\mu}{\textrm}{m}$), and the telia of G. yamadae was gall or floral shaped and occured on the leaves and branches of Chinese junipers. Both of the telia of the two species of Gymnosporangium were occurred in a same tree of Juniperus chinensis L. var. kaizuka at the same time. But the dominant species is G. asiaticum. The more rainfall in the late of April (the season of forming basidiospore), the more rust diseases in Chaenomeles sinensis. C. sinensis, and Pyrus pyrifolia var. culta were infected by G. asiaticum (basidiospores) but Malus siebodii was not infected by G.asiaticum.

2003∼2004년 향나무에서 Gymnosporangium ariurirem과 G.yamadae 두종의 겨울포자를 채집하여 관찰하였다. 향나무에서 채집한 G.asiaticum의 겨울포자는 막이 두꺼운 (평균 2.5 $\mu\textrm{m}$)후막겨울포자와 막이 얇은(평균 1.2 $\mu\textrm{m}$)박 막겨울포자가 관찰되었으며, G.asiaticum의 겨울포자퇴는 무딘원뿔모양으로 향나무의 잎, 가지에서 발생되었다. G.yamadae 의 겨울포자 또한 막이 두꺼운(평균 2.5 $\mu\textrm{m}$) 후막겨울포자와 막이 얇은(평균 1.2 $\mu\textrm{m}$) 박막겨울포자가 관찰되었으며, G.yamodae의 겨울포자퇴는 향나무의 잎에 주로 발생하였으며 혹모양 또는 꽃모양으로 형성되었다. G.yamodae는 G.asiaticum보다 더 둥글면서 끝은 약간 뽀족하게 돌출된 모양이었다. 또한 한 그루의 향나무에서 두 종류의 겨울포자퇴가 동시에 형성되는 것도 관찰하였다. 그러나 G.asiaticum이 G.yamodae보다 우점종이었다(류, 2004). 모과나무의 붉은별무의병은 강우량에 따라 매년 발병 양상이 달라지는데 담자포자의 형성시기인 4월 하순의 강우량이 많으면 병의 발생도 많았다. 또한 G.asiaticum의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모과나무와 배나무에서 병이 발생하였지만 아그배나무에서는 병이 발생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Agrios, George N. 1997. Plant pathology, Academic press, 635pp
  2. Ainsworth, Sparrow and Sussman. 1973. The Fungi, Academic press, 504pp
  3. 사과시험장. 2004. 사과병해충 예찰회의 자료, 4pp
  4. 박희문,신현동,오덕철,윤권상,이종규.2000.기초균류학. 월드사이언스. 581pp(E.Moore-Landecker. 2000. Fundamentals of the Fungi 번역 )
  5. 北島博. 1989. 果樹病害各論. 養賢堂. 581pp
  6. 정기채, 박소득, 윤재탁, 박선도, 최대웅. 1993. 기상요인이 사과나무 붉은별무늬병균의 겨울포자 성숙 및 병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물병리학회지 9(2): 123-127
  7. Alexopoulos, C. J., Mims, C. W. and Blackwell, M. 1996. Introductori mycology, fourth edition. John wiley and sons. inc. 869pp
  8. Cummins, George B, and Hiratsuka, Y. 2003. Illustrated Genera of Rust Fungi, Third Edition. APS. 225pp
  9. 고영진, 신현동, 안경구, 이순구, 이종규, 차병진, 차재순. 1998. 아그리오스 식물병리학, 제4판. 월드사이언스. 667pp
  10. 한국식물병리학회. 1997. 사과,배의 병 진단과 방제. 한국식물병리학회 . 227pp
  11. Hiratsuka, N. 1983. Rust Diseases and their Causal Fungi. 한국식물보호학회지 22(2): 49-51
  12. 김성환.2001.韓國産 녹병균의 分類學的 硏究. 인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36pp
  13. Lee, S. K. and Kakishima, M. 1999. Aeciospore surface structures of Gyrmnosporangium and Roestelia (Uredinales). Mycoscience 40: 109-120 https://doi.org/10.1007/BF02464289
  14. Lee, S. K. and Kakishima, M. 1999. Surface structures of peridial cells of Gymnosporangium and Roestelia (Uredinales). Mycoscience 40: 121-131 https://doi.org/10.1007/BF02464290
  15. 이태수. 2001. 푹시니아과(녹병균목) Pucciniaceae of Korea (Uredinales),식물병원체 모노그랩 6,농업과학기술원. 130pp
  16. 류종숙. 2004. 식물의 녹병에 관한 연구(Gymnosporangium과 Puccinia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7pp
  17. Yun, H. Y., Lee, S. K. and Lee, K. J. 2003. Gymnosporangium species causing cedar-apple rust in Korea (Abstract). 133-134pp. 한국식물병리학회 학회발표 초록집 . 151pp
  18. Yun, H. Y, Lee, S. K. and Lee, K. J. 2003. Verification of aecial host ranges of four Gymnosporangium species based on artificial inoculation (Abstract). 134p.한국식물병리학회 학회발표 초록집. 151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