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메이크업관리행동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여성 소비자의 외모만족도가 아이 메이크업 관심도 및 메이크업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Interest in Eye Makeup and Makeup care Behavior in Female Consumers)

  • 정우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48-358
    • /
    • 2022
  • 본 연구는 여성 소비자의 외모만족도가 아이 메이크업 관심도 및 메이크업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아이 메이크업 화장품 시장에서의 마케팅 전략 수립 및 화장품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지역의 20-50대 여성을 대상으로 399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모만족도, 아이 메이크업 관심도, 아이 메이크업 관리행동에서는 각 요인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나, 아이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은 자신에 대한 관리로부터 시작되며 유행을 따르는 것에 관심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외모만족도가 아이 메이크업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이목구비에 대한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아이 메이크업 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외모만족도가 아이 메이크업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피부상태에 대한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유행선도형 메이크업 관리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아이 메이크업 관심도가 높아지고 메이크업 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대생의 신체상,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강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among Body Imag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Psychosocial Health of Female Undergraduates')

  • 이인숙;양윤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01-312
    • /
    • 2015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신체상과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강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며, 2014년 9월부터 10월까지 일부 도시의 여대생 총 19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상은 5점 만점에 $3.12{\pm}1.06$점으로 조사되었다. 외모관리 행동은 5점 만점에 $2.82{\pm}1.00$점이며, 대상자들은 메이크업과 의복관리 행동을 많이 하지만 운동, 섭식 행동은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심리사회적 건강 점수는 평균 $22.90{\pm}5.96$점으로 대상자의 73.2%가 잠재적 위험군이며, 고위험군은 25.8%로 전체 대상자가 위험군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 학년, 전공, 비만도, 건강관심도 및 체중조절 의도는 주요 변수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대상자의 신체상은 외모관리 행동과 심리사회적 건강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외모관리 행동 하위 영역에서도 운동은 섭식과, 섭식은 헤어관리행동과, 헤어는 메이크업, 의복관리행동, 메이크업은 의복관리행동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심리사회적 건강은 신체상 및 헤어관리행동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신체상, 건강 관심도, 학년 순으로 대상자의 심리사회적 건강을 14.4% 설명하였다. 즉, 신체에 대한 불만족이 높을수록, 건강 관심도가 낮을수록, 학년이 낮을수록, 심리사회적 건강이 좋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자신의 건강에 대해 관심을 갖도록 하며 자신의 외모와 신체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심리사회적 건강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와 신체불만족, 메이크업관리행동 간의 연계성 (Influence of Interpersonal Problems on College Students' Body Dissatisfaction and Makeup Behavior)

  • 김해윤;조고미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72-480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correlations among interpersonal problems, body dissatisfaction, and makeup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provide basic data which are helpful for students to build health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uggest a direction for beauty care behavior.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A close correlation was identified between international problems and body dissatisfaction and body dissatisfaction and makeup behavior. In other words, college students suffering from interpersonal problems also experienced body dissatisfaction. In addition, those with body dissatisfaction have made efforts to overcome such problem through makeup behavior. This could be viewed as meaning that the greater the body dissatisfaction, the more active college students are in makeup management behavior, and the intention to resolve their physical dissatisfaction through makeup management behavior was included. Therefore, society or colleges need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counseling or treatment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suffering from interpersonal problems or body dissatisfaction and help them enter into society through diverse programs. Additionally, appearance management programs, such as the aforementioned makeup behavior, that can make them satisfied with their body should be developed. Ultimately, diverse suggestions that can help students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nhance sociality through such social efforts should be formulated.

메이크업 이미지에 나타난 영화 패왕별희(覇王別姬)와 1989년 미스코리아 당선자의 비교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Movie Farewell My Concubine and Miss Korea Elected in 1989 in The Makeup Image)

  • 박장순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27-34
    • /
    • 2020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사는 현대인에게 외모 관리와 소비 행동은 개인의 가치뿐만 아니라 인간관계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사회생활에서 막중한 역할을 담당하는 이러한 외모 관리를 위하여 메이크업은 헤어미용, 네일미용, 피부미용, 패션 등과 함께 경쟁력을 갖춘 중요수단으로 활용된다. 따라서 영화<패왕별희>에 등장하는 우희와 1989년 미스코리아 당선자들의 눈썹, 눈, 아이라인, 볼, 입술화장, 피부톤 등의 메이크업에 관하여 미용학적인 관점에서 전문적으로 비교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소 과장된 화장기법의 공통분모 속에서 다른 면들이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참신한 메이크업 패턴과 아이템 개발을 위한 다각도 모색이 가능하며, 동시에 메이크업 미용 교육의 기틀 구축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더불어 본 연구는 메이크업 시장에서의 더욱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여 경쟁력을 갖춘 실질적인 발전에도 일조하고자 한다.

미디어에 나타난 남성의 이미지와 메이크업의 사회문화적 가치 분석 (The Sociocultural Value Research of Man Image and Make-up in Media)

  • 김혜균;박명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449-45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현대 사회의 변화로 주목받고 있는 남성의 선호 이미지와 가치를 규명하고 미디어에 등장하는 인물을 통해 남성 메이크업이 현대 사회문화적 가치를 어떻게 충족시키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우선 문헌 자료와 인터넷을 중심으로 남성의 선호 이미지와 사회문화적 가치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미디어에 등장한 인물을 통해 남성 메이크업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실용적 가치는 목적 지향적인 행동을 위한 합리적 사용의 기술적, 도구적 가치이다. 실용적 가치를 강조한 메이크업은 밝고 내추럴한 피부 표현, 최대한 자제된 색조의 연출, 진한 아이브로우 색상의 사용으로 표현되었다. 둘째, 미적 가치는 순수한 미적 가치만을 추구하는 표현적, 장식적 가치이다. 셋째, 상징적 가치는 역사와 사회에서 체험되는 의지적, 의도적 가치이다. 이는 남성들의 구매행동 동기를 설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되는 선호 이미지를 이해하고 이미지 관리 형태에 대한 분석과 향후 남성들의 뷰티 트렌드를 유추하는데 실질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전북 지역 여대생의 에고노미 성향이 셀프 메이크업 및 외모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gonomy Tendency on Their Self-makeup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University Women in Jeonbuk Province)

  • 박효원;김용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6호
    • /
    • pp.1372-138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gonomy tendency on their self-makeup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university women in Jeonbuk provinc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Frequency analyses, reliability analyses, cross-tabu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actors of university women's egonomy tendency were individuality, value, luxury good, style, design, appearance, and economic feasibility. University women were classified into the egonomy retarde group(G1), the value pursuing group(G2), the economic feasibility pursuing group(G3), and the highly egonomy pursuing group(G4). G1 were indifferent to their makeup methods and appearance management, had the least experience in buying recommended cosmetics or idea cosmetics. G2 invested time and efforts in makeup and managed their appearance with cosmetics or folk remedies, had less experience in buying artist brand cosmetics. G3 performed makeup frequently, were not much interested in appearances while showing the most frequen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using cosmetics of folk remedies, and spent small amount of money to buy cosmetics. G4 showed high frequencies of all factors of self-makeup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had the most experience in buying artist brand cosmetics and spent much amounts of money to buy cosmetics. Self-makeup behavior was affected by their tendencies to pursue individuality, values, appearanc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as affected by their tendencies to pursue luxury goods, appearance, and economic feasibility.

북한이탈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North Korean Immigrant Women)

  • 이인숙;양윤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273-284
    • /
    • 2015
  • 본 연구는 북한이탈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의 관련성 및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며,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북한이탈여성 총 20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4점 만점에 2.40점으로 조사되었다. 외모관심도는 5점 만점에 3.20점이며, 외모관리 행동은 5점 만점에 2.67점으로, 대상자들은 메이크업과 의복관리 행동을 많이 하지만 운동, 섭식 행동은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심도는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외모관리행동에서는 외모관리 하위 영역별 차이는 있으나, 연령, 성형관심도, 재북시 직업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외모관심도, 외모관리행동과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외모관심도는 외모관리행동,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또한 외모관리행동은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외모관심도는 대상자의 외모관리행동을 44.7%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인 북한이탈여성들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외모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남성의 외모관리 행동과 정보탐색과의 관계 고찰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Information Search of Male Workers)

  • 김혜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484-6491
    • /
    • 2014
  • 인류역사와 함께 해온 인간의 미의식에 대한 기본적 욕구가 현대의 경제적 사회적 변화의 추이에 따라 보다 개인화 다양화 되었으며, 여성에 비해 매스미디어의 접속과 경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남성들의 경우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 획득과 공유를 미디어 상에서 빠르게 적용 및 활용해 가는 특징이 강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 남성상의 이미지와 특징을 분류 정리하였으며, 남성의 외모관리와 정보탐색의 관계를 정보매체 유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남성의 외모관리행동과 특징을 메이크업, 헤어관리, 피부관리, 손발관리, 성형수술로 구분하여 정보매체별 탐색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는 남성소비시장을 타깃으로 한 미용, 화장품, 병원 등의 산업군에서 홍보마케팅 정보로 유용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여 지며,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탬색을 위한 매체 유형 선호관계를 이해함으로써 광고마케팅 전략 수립에 가치 있는 정보로 작용하리라 본다.

Effects of women's grooming behaviors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 Yujung Jin;Kyurin Koo;Jiyoon Park;Sojin Lee;Young-jin Choi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177-185
    • /
    • 2024
  • 외모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고 관리할 수 있는 것이라는 사회문화적 인식이 확산되면서 외모 관리에 대한 요구와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외모에 대한 인식은 자신뿐만 아니라 대인관계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외모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면 심리적 안정감이 생겨 보다 적극적인 사회 참여로 이어지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본 연구는 여성의 외모관리 행동으로 채택된 화장 및 의복과 외모만족도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외모만족도를 통해 외모관리 행동이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최종 분석에는 85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데이터 분석에는 SPSS 28.0과 SmartPLS 4가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외모 관리 행동 중 화장은 외모 만족도에, 외모 만족도는 대인관계에 정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모 만족도는 외모 관리 행동 중 메이크업과 대인관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20대 중심의 표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사회 구성원 전체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지만, 외모관리 행동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라이프케어를 위한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Educational Necessity and Activation Plan of Image Making Program for Life Care)

  • 윤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29-437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전문대학의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에 관련된 교과과정의 필요성과 교육내용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취업을 앞둔 대학생들의 면접지도와 예비 직장인에게 있어서 대인 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대학 교과과정의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고, 이미지메이킹 교과목을 수강한 광주·전남지역 전문대학교 재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졸업 후 취업과 예비 직장인의 이미지 관리를 위해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과과정이 필요하고, 이미지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을 위한 적합한 강의실은 일반 강의실, 시청각 및 멀티미디어실, 전용 강의실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내용의 중요도는 태도(행동), 예절 및 인사법, 표정, 화법, 대인 관계법, 의복,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순으로 나타났고, 교육내용의 중요 요소는 표정,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태도(행동), 대인 관계법, 화법, 의복, 예절 및 인사법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의 영향력 정도는 취업에 미치는 영향력,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력, 생활에 미치는 영향력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 활성화 방안을 분석한 결과 적절한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육시점은 2학년부터이고, 교육시간은 한 학기 주 1회, 교과과정 구분은 교양이나 교양선택 과정을 희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관련 교과내용은 예절 및 인사법, 메이크업 및 코디 방법, 취업 설명회, 기능 자격 취득을 위한 교육, 국내 기업체 연수 순으로 나타나 예절 및 인사법을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관련 지도자는 전공교수를 희망하고, 교육방법은 시청각 및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매체를 희망한다.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관련 교육은 화법이나 목소리, 커뮤니케이션에 관해 분석하는 교육, 어울리는 헤어스타일 및 메이크업을 분석하고 실습할 수 있는 교육, 기업의 면접에 관한 교육, 워킹이나 자세교정에 관한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본 연구는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교과과정의 활용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