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맥놀이 현상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nalysis on the Acoustic Beat of a Slightly Asymmetric Cylindrical Shell (미소 비대칭 원통쉘의 음향 맥놀이 해석)

  • Ahn, Sung-Jong;Kang, Yeon-June;Kim, Seock-Hyun;Park, Sung-Yo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7 no.4
    • /
    • pp.183-190
    • /
    • 2008
  • In this paper,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beating sound are analytically investigated on a slightly asymmetric cylindrical shell. The cylindrical shell isan efficient model to consider the beat characteristics of Korean bells. Slight asymmetry in Korean bells makes mode pair which has close frequency components and the interaction of each mode pair produces beating sound. Based on the analytical model, the radiated sound field is determined. Using the sound beat map, the beating sound vs. direction and distance is investigated. Finally, results of the theoretical method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boundary element method to verify the validity.

On a Study Vibration of the Divine Bell of King $S\v{o}ngd\v{o}k$ by Doppler Effect (도플러 효과에 의한 성덕대왕 신종의 맥놀이 현상에 관한 연구)

  • Ham Myungkyu;Park Won;Jang Keumyoung;Bae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61-64
    • /
    • 1999
  • 에밀레종은 771년도에 성덕대왕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34년간 주조하여 만든 세계적인 문화유산이다. 외형도 미려하지만 종소리는 천, 지, 인을 뒤흔드는 신비감을 갖추고 있다. 에밀레 종조리는 끊어질 듯 이어지는 소리, 애끓는 소리, 심금을 울리는 소리 등의 특징을 갖는데 끊어질 듯 이어지는 소리는 맥놀이 현상으로 나타난다. 지금까지 맥놀이 현상의 규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그 원인을 실험을 통해 분명히 밝히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여기에는 우리 선조들이 750년경에 이미 진자(흔들이)의 등시성 원리를 알고 있었으며, 도플러 효과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에밀레 종소리에 응용이 가능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1228년전에 완성한 우리민족의 지혜와 숨결이 스며있는 에밀레 종소리의 맥놀이 현상을 규명하고 재현함으로서 문화민족의 자부심으로 새로운 세대를 개척해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을 얻고자 한다.

  • PDF

Combustion Instability Characteristics due to the Beating Phenomenon in the Dual Swirl Gas Turbine Model Combustor (이중선회 가스터빈 모델연소기에서 맥놀이 현상으로 인한 연소불안정 특성)

  • Jang, Munseok;Lee, Keem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0 no.6
    • /
    • pp.61-69
    • /
    • 2016
  • This study is the results related to the combustion instability phenomenon with respect to combustor length and thermal power as variables in dual swirling combustor configuration. Especially, the beating phenomena having the insensitive resonance frequency of relatively constant peaks are observed when the combustor lengths increase in a lower power regime. This beating phenomenon might be occurred due to the interacting behaviors of pilot and main burners with different periods. Therefore, such insensitive response seems to be a result of the beating phenomenon with interaction between the pilot and main flames even though the combustor lengths are increased.

Acoustic Analysis of a Jing Based on Drive Point and Blow Strength (징의 타격 위치와 강도에 따른 음향 분석)

  • Cho, Sangji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4 no.4
    • /
    • pp.328-334
    • /
    • 2015
  • This paper describes an acoustic analysis of a Jing, Korean percussion instrument, according to different drive point and blow strength, and this analysis is focused on the softening and beat phenomena. Three kinds of blow strength (very strong, strong, and weak) and three locations of drive point (center, up, and right) are applied, and the spectrogram function built in Matlab is utilized to analyzing the softening and beat of target sounds. The stronger blow you drive to the center of the Jing, the more clearly softening is observed. Frequency shifting is in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blow strength and frequency and it is stand out on the harmonics in contrast with that of other partials. Beat of the Jing can be classified into the early beat and late beat. The beats by the outside driven Jing are distributed in wider frequency band than the beats by the center driven Jing. In addition, it is observed that the early beat is affected by few specific partials developed around harmonics for the center driven Jing.

A Resonance Characteristic of bronze washbasin (백천사 청동 대야의 울림 특성에 관한 연구)

  • Yi, Eun-Young;Ahn, Ik-Soo;Bae,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201-202
    • /
    • 2017
  • 공명은 외부에서 진동계를 진동시킬 수 있는 힘을 가했을 때 그 고유진동수와 외부에서 가해주는 힘의 진동수가 같으면 그 진동은 심해지고 진폭도 커진다. 진동체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양쪽 진동수가 같으면 공명에 의해 에너지를 서로 교환하는 현상이다. 본 논문에서는 경남 사천에 소재하는 백천사의 사찰 마당에 있는 청동 대야를 사람이 손잡이를 문지를 때 발생하는 파동 현상을 고찰한 연구이다. 청동 대야에서 발생하는 진동수는 3가지 성분이다. 이 음은 복합음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복합음의 기본 특성은 기본음이 배음보다 음압이 크다. 철제에서 생성되는 음압의 형태와 단조로운 순음인 경우가 많다. 청동 대야의 음압은 맥놀이 특성을 나타내고 있어 진폭변조의 포락선을 형성하고 있다.

  • PDF

Beat Maps of a Slightly Asymmetric Ring (미소 비대칭 링의 맥놀이 지도)

  • 김석현;박석균;박기영;서백수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12 no.9
    • /
    • pp.685-693
    • /
    • 2002
  • Analytical model of beat response is derived on a slightly asymmetric ring and the model is veryfied by experiment. The asymmetric ring is a simplified model used to explain the beat property of a Korean bell. The asymmetric ring has mode pairs having slight frequency difference in each radial mode. Each mode pair produces beat phenomenon by the interaction of the two close frequency components. Based on the analytical model, beat maps are first proposed and characteristics of beat on the circumference are detaily explained.

On a Analysis of the Divine Bell of King Songdok with Emotional Sound (성덕대왕 신종의 심금을 울리는 소리 분석에 관한 연구)

  • Ham Myungkyu;Bae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27-230
    • /
    • 2000
  • 에밀레종은 771년도에 성덕대왕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34년간 주조(높이 3.663m, 최대지름 2.227m, 무게 18,900kg)하여 만든 세계적인 문화유산이다. 외형도 미려하지만 종소리는 천, 지, 인을 뒤흔드는 신비감을 갖추고 있다. 에밀레 종소리는 끊어질 듯 이어지는 소리, 애끓는 소리, 심금을 울리는 소리 등의 특징을 갖는데 끊어질듯 이어지는 소리는 맥놀이 현상으로 나타난다. 지금까지 맥놀이 현상의 규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에밀레 종소리가 심금을 울리는 소리 성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밝히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여기에는 우리 선조들이 750년경에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하여 응용이 가능하였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1228년전에 완성한 우리민족의 지혜와 숨결이 스며있는 에밀레 종소리의 세 가지를 규명하고 재현함으로서 문화민족의 자부심으로 새로운 세대를 개척해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을 얻고자 한다.

  • PDF

On a Study Strongly Emotional Sound Analysis in the Exist Domestic Bell (현존하는 국내종에서 애끓는 소리 규명에 관한 연구)

  • 최성영;함명규;배명진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785-788
    • /
    • 2001
  • 에밀레종은 771년도에 성덕대왕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34년간 주조(높이 3.663m, 최대지름 2.227m, 무게 18,900kg)하여 만든 세계적인 문화유산이다. 외형도 미려하지만 종소리는 천, 지, 인을 뒤흔드는 신비감을 갖추고 있다. 에밀레 종소리는 끊어질 듯 이어지는 소리, 애끓는 소리, 심금을 울리는 소리 등의 특징을 갖는데 끊어질듯 이어지는 소리는 맥놀이 현상으로 나타난다. 지금까지 맥놀이 현상의 규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현존하는 국내의 종들과 에밀레종이 갖는 애끓는 소리에 대한 실험을 비교 분석을 통해 에밀레종의 우수성을 밝히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여기에는 우리 선조들이 750년경에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하여 응용이 가능하였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1228년 전에 완성한 우리민족의 지혜와 숨결이 스며있는 에밀레 종소리의 세 가지를 규명하고 재현함으로서 문화민족의 자부심으로 새로운 세대를 개척해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을 얻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