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매개시설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32초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간관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Human Relations of Employees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on Turnover Int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이병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631-638
    • /
    • 2020
  •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간관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남 및 대전시 소재 장애인복지관 종사자 367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대해 인간관계는 부적 방향으로, 직무만족은 부적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이 영향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이직을 예방하거나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 농업에서 곤충 화분매개 서비스를 통한 식량 생산 증진 기능 평가 (Evaluation of Crop Production Increase through Insect Pollination Service in Korean Agriculture)

  • 정철의;신종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229-238
    • /
    • 2022
  • 동물 화분매개는 대부분 벌과 파리 등의 곤충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매우 중요한 생태계 서비스 중 하나이다. 농업생산성의 유지와 영양분의 안정적 공급은 인류 복지의 근간이 된다. 이 연구는 한국 농업에서 화분매개가 식량 생산 증진에 미치는 기능을 평가하였다. 2015년 농업총조사, 농촌진흥청 농업 소득자료집, 기타 시장가격 자료 등의 농작물 재배와 생산액에 대한 자료에 화분매개 의존도를 반영하였다. 12개의 식량작물, 19개 과수, 18개 노지 채소와 13개 시설 채소 그리고 9개의 특용작물 등 71개 작물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전체 작물의 화분매개 의존도는 평균 29.2%이었으며, 식량작물이 가장 낮은 7.5%로 나타났다. 화분매개 의존량은 전체 농작물의 17.8%이었으며 그 경제적 가치는 6조 8.5천억원(65.1-71.9천억원)으로 추정되었다. 화분매개 의존 생산량은 시설 과채류에서 49.2%로 가장 높았고 과수가 42%, 특용작물이 35.9%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곤충 화분매개는 한국 농업 생산에서 핵심적 과정이며 식량-영양안보적 관점에서 보호증진해야 하는 과정임이 분명해졌다. 농업에서 화분매개자를 보호하고 화분매개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는 관리 전략으로 병해충-화분매개 통합관리(IPPM)개념과 추진 전략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논의하였다.

Water Management Analysis Module 모형을 이용한 투수성포장시설의 설계 및 계획 매개변수 도출 (Derivation of design and planning parameters for permeable pavement using Water Management Analysis Module)

  • 송재열;정은성;송영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6호
    • /
    • pp.491-501
    • /
    • 2018
  • 본 연구는 도시 유역의 물 순환을 개선시키기 위해 최근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시설의 설계 및 계획 매개변수를 선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때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모형의 LID 시설 모의 기능을 활용하여 다양한 매개변수에 대해 민감도 분석 및 다양한 시나리오를 자동으로 수행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개발된 Water Management Analysis Module (WMAM)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는 서울의 한 유역에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LID 중 하나인 투수성포장 시설이 없는 경우와 임의로 결정된 설계 및 계획 시나리오 보다 본 방법을 통해 도출된 시나리오가 총유출량 및 첨두유량 감소와 침투량 증가에 더 좋은 효과를 보였다. 향후 경제성을 고려한 방법을 개발한다면 실무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Government Star-up Support Project on Business Performan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Start-up Satisfaction)

  • 황균정;경성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85-90
    • /
    • 2021
  • 본 연구는 정부 주관 창업지원사업을 시설지원, 자금지원, 교육지원, 멘토링지원 등 4가지 분야에 초점을 맞춰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창업만족의 매개효과에 대해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검증하기 위해 광주·전남 지역에서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원하는 창업지원사업을 수행한 창업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창업지원사업의 시설, 교육, 자금 및 멘토링 지원은 창업자들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창업지원사업과 경영성과간의 관계에 있어서 창업만족의 부분매개 역할도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 주관 창업지원사업에서 시설, 교육, 자금, 멘토링과 같은 지원프로그램이 창업자들의 경영성과를 향상시킬 수는 있는 적합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여가인식과 활용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Leisure Recognition and Leisure Use)

  • 황현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575-584
    • /
    • 2018
  • 소득이 높아지는 현대사회에서의 여가는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과거와는 다르게 여가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여가 활용에 대한 욕구는 점점 가속화될 전망이다. 또한 현대 사회인들은 여가를 통해 삶에 대한 만족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누구나 즐길 수 있도록 여가에 대한 올바른 정책이 필요하고 여가활동을 할 수 있는 시설 또한 여가활동에 중요한 요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가정책이 여가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여가정책이 민간 여가시설 만족과 공공 여가시설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였으며 나아가 변화된 여가인식과 여가활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을 수립한 후 관련 설문지 문항을 통해 탐색적 요인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가정책은 공공시설과 민간시설에 대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여가인식과 여가활용에, 민간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여가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변인 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변인들이 매개를 통해 여가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가 가지는 함의를 결론과 함께 제시하였다.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한 건강불평등: 심리사회적 기제들의 매개효과 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Inequality in Later Life: The Mediation Effects of Psycho-social Mechanisms)

  • 장수지;김수영
    • 한국노년학
    • /
    • 제36권3호
    • /
    • pp.611-632
    • /
    • 2016
  • 노년기 건강문제는 의료적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지위와 같은 사회적 조건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해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노인의 건강불평등에 이르는 메커니즘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사회경제적 지위(소득 및 교육)와 신체적 건강의 세 차원(의료적 건강/기능적 건강/주관적 건강) 간의 사이에서의 중간기제로서 건강행동, 의료시설 접근성, 사회참여,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2014년에 실시된 전국노인실태조사 데이터를 2차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65세 이상 남녀 노인 10,451명으로, 매개모형 검증을 위해 Baron & Kenny(1986)가 제안하는 절차에 따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의 건강에 대한 효과가 동일하지는 않았고 건강의 하위차원에 따라서도 다소 다른 결과가 도출되기는 했지만, 전반적인 결과의 방향은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건강격차를 야기하고 있었으며, 그 메커니즘은 건강행동, 의료시설 접근성, 사회참여, 사회적 관계망을 매개한다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교육은 소득보다도 건강에 대한 보다 강력한 효과를 나타내었다는 점, 사회참여와 같은 사회통합요인의 효과가 부각되었다는 점, 거주지역을 통제한 이후에도 잔존한 의료시설 접근성의 유의미한 매개효과 등은 본 연구의 결과 중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경제적 조건으로 인한 건강불평등의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유역 일유출량 산정 및 물순환 개선 평가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integrated platform for daily streamflow prediction and assessment of hydrologic cycle improvement)

  • 김현준;장철희;;박상현;김승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35-35
    • /
    • 2017
  • 유역 물순환 개선 기술은 기후변화 및 토지이용변화가 진행 중에 있거나 예상되는 지역에 대하여 강우-유출수를 지연, 저류, 침투시켜 지속가능한 물순환체계를 유지?회복하도록 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기후변화 및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고, 지속가능한 유역 물순환체계를 구축하여 적응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기 위해서는 물순환 개선 기술의 정립 및 개발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 유역 물순환 개선기술은 일부 시가화 지역에 국한되어 있어 유역 규모의 개선 전략을 수립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물순환계의 변화량을 평가하기 위한 모형화 기법 역시 해외에서 개발된 기술을 여과 없이 도입하여 국내의 환경을 충분히 반영하기는 어렵다. 개발된 유역 물순환 개선 및 평가시스템은 기존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개발되고 사업화에 성공한 바 있는 유역 물순환 평가 모형인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을 수정 및 개선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고 적응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실무적인 소프트웨어이다. 침투트렌치, 식생침투트렌치, 습지, 저류지, 빗물탱크 등의 물순환개선시설에 대한 효과를 평가할 수 있도록 개별시설의 제원에 따른 물순환개선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제시한다. 기후변화에 따른 장기간의 유역 물순환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매개변수 기반의 수문해석 보다는 단순환된 개념적 매개변수 기반의 집중형 장기유출 해석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국내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장기 일유출 모형(GR4J, GSM, HBV, SYMHYD, TANK, TPHM 등)을 유역 물순환 개선 평가 플랫폼에 탑재함으로써 소유역의 특성을 반영한 기후변화 적응 일유출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각 모형들의 매개변수는 수동보정 외에도 SCE-UA를 이용한 자동보정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으로 구축하였다. 개발된 유역물순환 개선 및 평가시스템은 실무적 차원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 물순환 개선 기술을 적용하고 평가하는데 있어서 매개변수 입력자료 구축에 따른 자원 소요 시간 및 시스템 개발 비용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켰으며 국외 의존도가 높은 수문 해석모형을 국내 기술로 개발함으로써 기술자립도를 높이고 국내 및 해외의 유역의 성공적인 적용을 통하여 성능을 입증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의 재평가, 개선시설의 정량적 평가 및 하천유역의 수자원관리 실무에 적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여객자동차 터미널 이동편의시설 BF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Status of Barrier Free Certification & Improvement Strategies)

  • 박신원;조영태
    • 토지주택연구
    • /
    • 제7권4호
    • /
    • pp.225-237
    • /
    • 2016
  • 본 연구는 지난 2007년 도입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인증제도의 확산과 정착을 위하여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로써 인증제도의 확산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여객자동차 터미널을 대상으로 편의시설 실태를 파악하고, 인증가능성을 평가하여 인증 확산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전국 여객자동차 터미널 349개소에 대하여 편의시설 설치 수준 현황조사를 시행하였다. 현황조사 결과 인증가능시설이 217개소, 인증불가시설이 58개소로 평가되었고, 인증가능성이 높은 29개 시설은 소규모 리모델링 공사를 통하여 인증을 획득할 수 있는 시설로 평가되었다. 실태조사 결과, 여객자동차 터미널의 BF수준은 40~55% 수준이며, 평가분야별로는 내부시설이 90% 이상으로 수준높은 반면, 매개시설, 위생시설, 안내시설 등은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객자동차 터미널의 편의시설 수준제고를 위해서 BF 인증 시범사업을 제안하였다. 인증가능성이 높고, 지자체 지원의지와 사업주의 편의시설 개선의지가 높은 시설을 대상으로 시범사업대상으로 선정하고 편의시설개선을 추진하여 BF인증을 추진하고 모니터링하는 방안이다.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기능장애와 자아통합감, 우울과의 관계 (The Effect of Functional Disability on Ego Integrity and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the Residential Care Facility)

  • 이현지;남현주
    • 재활복지
    • /
    • 제21권3호
    • /
    • pp.49-63
    • /
    • 2017
  •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기능장애가 자아통합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기능장애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D지역과 K지역에 위치한 장기요양시설 거주 노인 2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일상생활수행장애와 도구적 일상생활수행장애는 우울과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반면, 자아통합감과는 부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연령, 경제수준, 요양등급을 통제한 후, 기능장애가 자아통합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능장애는 자아통합감과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으며, 자아통합감은 기능장애와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바탕으로,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기능장애와 자아통합감과 관련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함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장애학생을 위한 대학캠퍼스 옥외매개시설의 실태에 관한 조사 분석 (The Survey Analysis on the Exterior Connection Facility Conditions of University Campuses for Handicapped Students)

  • 최장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21-28
    • /
    • 2012
  • Campus facilities were recently remodeled to provide the substantial learning rights of handicapped students in many campus to embody the dignity and value as man. So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xterior connection facilities for handicapped students of S and D campuses. The summari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Installations of even crossing area(1.5mx1.5m) per 50m and even rest area(1.5mx1.5m) per 30m in walking or access ramp. Improving in accordance with exterior connection facility repairing master plan in S campus. Bringing down an angle degrees of the inclined walking or access ramp in D campus. Installation of exterior braille guide sign for blind students. All handicapped students must be guaranteed the same learning rights as normal men to remove obstacles as the upper mentioned imperfections in using exterior campus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