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맞춤형 주택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5초

농촌거주 시각장애인의 주택개조사례 과정을 통해 본 맞춤형 개조 방향도출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Through the Process for a case of Visually Impaired Person in Rural Area)

  • 이연숙;안소미;김민주;현지원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55-67
    • /
    • 2018
  • There is a growing interest on and expansion of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mong them,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show high adaptation to environments in comparison to people with other types of disabilities, thus a large percentage of them live in their own houses rather than residing in a care facility. According to the housing status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he ratio of their residence in rural areas is high. In rural areas people who have disabilities often live in poor residential environments, requiring much improvement. However, such improvement is too costly for them to pay, and home modification that does not fully consider the user, may cause less efficiency and another dangerous situation to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neate empirical lessons for direction of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analysis of process of home modification including the execution as a intervention. This study used qualitative method to examine and analyzed the entire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proces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home modification measures should be derived considering the suitability of the target building for the specific condition of residents. Second, discussions with various stakeholders from the early stage during which proper home modification measure is searched are essential for realizing appropriate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the direction for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empirical data that could reduce trials and errors in the future.

수요자 맞춤형 임대주택단지의 커뮤니티 공간 평가항목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munity Space Evaluation Items of Consumer Customized Public Rental Housing in Case of Seoul)

  • 오정은;이재훈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47-58
    • /
    • 2016
  • As increasing demand for the living environment to promote social health, this study focused on consumers customized rental housing community space. Set the community spatial planning objectives and strategies shown in previous studies to the conceptual model for evaluation of community space. Based on the planning methods and standards of consumers custom community facilities, we analyzed the Seoul consumer customized public rental housing nine cases. Because almost located in the small vacant lot, they had limitations as a base for the local community. Nevertheless,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building, Child care households increase the chance of contact with the neighbors. In elderly households, welfare facilities strengthen the character of as a base for local community. 1-2 person households situated close to the cultural facilities, by installing a hobby room and gym, was judged to be able to promote the community. Consumer custom rental housing community space evaluation items presented in this study, was set up by analysis of the conceptual model for evaluation of community space and implications of the 9 cases.

이동형 충전기 사용자의 전기차 충전 패턴 분석 (A Study on Usage Patterns Analysis of Portable Electric Vehicle Charger)

  • 김태형;김홍연;이석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00-401
    • /
    • 2021
  • 최근 전기자동차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전기차 충전 인프라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전기차의 보급률에 비해 부족한 충전 인프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가정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형 충전기의 사용률도 높아지고 있다. 고속 충전소와 다르게 이동형 충전기의 경우 사용자의 특성(배터리용량, 주행량, 충전빈도, 충전시간 등)에 맞춰 충전 시간과 장소, 요금 등을 제안할 수 있는 맞춤형 부가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주택 또는 건물과 도시 수준에서의 전기차 충전을 위한 전력 부하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부가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한 이동형 충전기 사용자 데이터의 특성들을 분석한다.

수요 맞춤형 해외산업단지 조성방안 연구: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Demand-based Strategies for Overseas Industrial Complexes)

  • 정연우;이승은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1호
    • /
    • pp.17-3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수요에 기반한 해외산업단지 조성을 위해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를 대상으로 제조업 부문 투자유치 분야와 한국기업의 해외진출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산업단지 등에 입주한 국내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해외진출의향에 대한 세부사항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앞서 조사한 투자유치 분야와 해외진출 희망업종 및 기진출 업종을 상호 연계함으로써 기진출 업종과의 연계, 신규시장 개척을 위한 유치분야 진출, 국가별 특화전략 도출 등 해외산업단지 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특화전략은 중점국가를 대상으로 국내외 니즈를 반영한 해외산업단지 기업유치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공공임대주택의 유형별 주거환경 비교 분석: 최저주거기준 미달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by Public Rental Housing Type: Focusing on Failing to Meet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 이다은;오지영
    • 토지주택연구
    • /
    • 제15권1호
    • /
    • pp.23-38
    • /
    • 2024
  • 본 연구는 유형별 공공임대주택의 주거환경을 최저주거기준과 세부 기준을 중심으로 ANOVA, 다항로지스틱모형을 활용하여 미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주요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입주자뿐만 아니라 최저주거기준과 세부 기준은 공공임대주택 유형별로 특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행복주택은 최저주거기준 미달비율과 설비기준을 제외한 나머지 세부 기준의 미달비율이 높아, 전반적인 주거환경이 가장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영구임대, 국민임대, 매입/전세임대 중 영구임대의 최저주거기준과 면적·방기준이 취약하였으며, 매입/전세임대는 구조·성능·환경기준의 미달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네 번째, 매입/전세임대가 다른 공공임대 유형보다 임대 불안감이 높았고, 특히 임대료상승과 보증금 미반환에 대한 불안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임대주택 유형에 따른 맞춤형 지원을 통해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농촌거주 장애인 여성독거노인의 맞춤형 주택개조안 모색 (Exploring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Plan for Disabled Female Singl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

  • 이연숙;박지선;이학성;김윤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71-80
    • /
    • 2017
  • Korea is facing various social problems including single elderly household, increase in the number of disabled people and poverty rate and a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males to females between urban areas and rural areas along with the advent of rapid aging society. Especially, the ratio of poor households in rural areas residing in housing which falls below the minimum housing level and most of them are in the dead zone of housing welfare. In addition, if it is impossible for them to move (relocate) to new housing, the house remodeling is the only measure for improving their housing welfare. However, we don't have enough prior relevant academic and practical experience, and house remodeling requires a series of process including prior planning construction and post-occupancy evaluation, but almost no fundamental research that provides relevant insight has been carried ou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ll field situations that occur in the whole customized house remodeling process for disabled female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in a rural area. The remodeling process was classified into initial planning stage, field verification and adjustment stage and construction stage as the method to participate in the field directly, and any change in the remodeling plan and its causes at each stage were analyzed. As a result, some remodeling items were changed from the main viewpoint of participating parties before the beginning of construction and for reasons such as the deterioration level of housing site, limitation in building equipment and rearrangement of housing, etc., and the remodeling method and its details were developed. It was identified that constant change that occurred in the remodeling process resulted from 1) unique poor characteristics of existing housing and 2) physical condition of residents and their unique lifestyle characteristics that were two aspects required to be emphasized by customized remodeling.

장애인 맞춤형 주택 계획 관점에서 본 농촌지역 지체장애인 주거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Housing Condition for Physically Challenged Persons in Rural Area from the Viewpoint of Planning Customized Housing for the Disabled)

  • 이연숙;박지영;이동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154-162
    • /
    • 2015
  • As there is no case study with current status, measurements or description on the state of actual site of rural area only, the delivery of actual conditions about such an area is significantly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inpoint issues with housing conditions of low-income family with disabled members in the rural area. For such a purpose, 25 households of disabled people have been visited for interview, on-site research and survey, of which results are summed up in this paper as following: First, average monthly income of such family turned out to be KRW 480,000, most of which is from the government subsidy. High ratio of such families has resided in a house with average size of approximately 56m2 for about 24 years. Secondly the most needed maintenance work with top priority was for the toilet, and many of the interviewees expressed their discomfort about small size of their bathrooms and inconvenient facilities therein. Thirdly, most of such houses had too high thresholds that posed danger and inconvenience. Such thresholds had average height of 13cm, which can be considered as completely inconsiderate of disabled users. Fourth issue was that these people needed safety handle that will enable them to stand up or to be in the standing posture in the living room and bedroom where they spend most of their time. Fifthly, they wanted finishing materials with waterproof functionality as well as replacement of finishing materials and wallpaper which were too old and caused hygiene issues. As these issues represent, current housing for disabled people in the rural area turned out to be poor and risky space rather than the place where difficulty of individual situation can be resolved or their disability can be complemented. Thus it can be determined that now is the time to arrange the solutions for such housing difficulties and to establish customized housing plan to ensure safety and convenience.

시간영역 인공지진파 생성 (Generation of Synthetic Ground Motion in Time Domain)

  • 김현관;박두희;정창균
    • 토지주택연구
    • /
    • 제1권1호
    • /
    • pp.51-57
    • /
    • 2010
  • 국내에서 내진설계의 중요성이 점차적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설계 시 동적 지진해석의 수행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동적 지진해석을 수행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입력변수 중 한가지는 입력지진파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지진학적 검토 없이 미국, 일본 등에서 계측된 강진 기록을 입력지진파로 사용하거나 주파수영역에서 생성된 인공지진파를 사용하고 있다. 국외 계측 지진기록은 지진 규모에 따라 변화하는 지속시간과 에너지를 고려할 수 없어서 국내 지진환경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주파수 영역에서 생성되는 설계응답스펙트럼에 맞춤형 인공지진파는 실제 지진기록과 주파수 특성이 상이한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입력지진파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시간영역에서 수행되는 응답스펙트럼 맞춤형 인공지진파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입력 지진파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지진파는 계측 지진기록의 고유한 성질인 Non-stationary 특성을 보존하며 동시에 설계 응답스펙트럼과 거의 완벽한 일치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감소지역의 인구유입을 위한 정책 수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Demand for Population Inflow in Population Reduction Areas)

  • 이향미;최봉문;김종하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2호
    • /
    • pp.73-8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강원도 내 군 지역 중에서 인구감소폭이 증가하고 있는 홍천군을 대상으로 인구유입에 대한 정책수요를 실증분석하였다. 다항로짓모형을 활용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장년층과 고령층의 인구유입 정책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이하기 때문에, 기초 지자체에서는 인구유입을 위한 정책 대상(target)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업유치를 통한 인구유입에 대한 정책수요의 경우 청장년층은 강원도 거주기간이, 고령층은 정규학력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기업유치를 통해 인구유입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청장년층은 거주기간을, 고령층은 정규학력 수준을 고려해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 전형적인 농촌지역인 홍천군의 인구유입을 위해서는 세대를 구분한 맞춤형 인구유입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특징적인 것은 고령층의 경우 정규학력 수준이 기업유치 및 일자리지원 정책 수요에 긍정적인 수요를 미치고 있다. 하지만 청장년층의 경우 인구통계학적 특징보다는 일자리기회 및 소득수준 만족도가 일자리지원 수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청장년층과 고령층의 세대를 구분한 인구유입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하이브리드 에너지하베스팅 블록 개발 및 발전성능 평가 (Development of Hybrid Energy Harvesting Block and Evaluation on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 김효진;박지영;진규남;노명현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2호
    • /
    • pp.99-106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주택과 도시 시설물에 적용이 가능하고, 시설물의 수요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하이브리드형 에너지블록을 압전과 전자기 유도방식을 동시에 활용하여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에너지하베스팅 블록의 종류별 특성과 요구조건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에너지블록의 개선방향 및 적용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방안에 따라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프로토타입 에너지블록의 특성 및 성능과 이 연구에서 개발된 하이브리드 에너지블록과의 성능을 비교분석 하였다. 비교결과, 하이브리드 에너지 블록이 기존 프로토타입에 비하여 1회 가진 시 12.7배, 그리고 5회 연속가진 시 28.9배의 출력을 나타냈다. 이는 연구목적인 W급의 전기에너지 생산목적에 부합되는 것으로, 주택 및 도시시설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