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영진, 진규남, 이상훈, 박선규, 윤정방, 박승희(2011), 상시계측 시스템과 보수/보강 신기술에 의한 교량의 성능평가 및 유지관리 기법 개발, 토지주택연구원.
|
2 |
김창일 등(2012), "압전캔틸레버 구조를 이용한 도로용 에너지하베스터의 개발 및 평가",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25(7) : 511-515.
|
3 |
김효진, 진규남, 박지영(2013), 에너지하베스팅 기술의 주택.도시 적용을 위한 기초 및 실용화 방안 연구(1), 토지주택연구원.
|
4 |
노명현, 김효진, 박지영, 이상열, 조영봉(2012), "도시. 주택 적용 미관용 에너지 블록의 발전성능 평가", LHI Journal, 3(2) : 187-193.
|
5 |
류경일, 정귀상(2011), "스프링이 없는 진동형 전자기식 에너지 하베스터의 제작과 그 특성",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20(4) : 249-253.
DOI
|
6 |
송병택(2012), 압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7 |
(주)센불(2011), 에너지하베스팅 프로토타입 발전특성평가.
|
8 |
최경규, 박홍근(2003), "불균형모멘트를 받는 플랫 플레이트의 변형능력", 한국콘크리트학회논문집, 15(3) : 482-493.
|
9 |
포항산업과학연구원(2010), 신재생에너지 융합 교량용 모듈기술 개발전략 수립.
|
10 |
포항산업과학연구원(2012), 진동기반 교량용 하이브리드 에너지하베스팅 프로토타입 개발.
|
11 |
Harrop, P. and R. Das (2009), Energy Harvesting and Storage for Electronic Devices 2009-2019, IDTechEx.
|
12 |
Spreemann, D. and Y. Manoli (2012), Electromagnetic Vibration Energy Harvesting Devices : Architecture, Design, Modeling and Optimization, Springer.
|
13 |
비즈오션(2011), 에너지하베스팅 최신기술 동향 및 전망 세미나 자료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