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하이브리드 에너지하베스팅 블록 개발 및 발전성능 평가

Development of Hybrid Energy Harvesting Block and Evaluation on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 김효진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박지영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진규남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노명현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강구조연구소)
  • 투고 : 2014.04.11
  • 심사 : 2014.04.28
  • 발행 : 2014.04.30

초록

이 연구에서는 주택과 도시 시설물에 적용이 가능하고, 시설물의 수요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하이브리드형 에너지블록을 압전과 전자기 유도방식을 동시에 활용하여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에너지하베스팅 블록의 종류별 특성과 요구조건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에너지블록의 개선방향 및 적용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방안에 따라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프로토타입 에너지블록의 특성 및 성능과 이 연구에서 개발된 하이브리드 에너지블록과의 성능을 비교분석 하였다. 비교결과, 하이브리드 에너지 블록이 기존 프로토타입에 비하여 1회 가진 시 12.7배, 그리고 5회 연속가진 시 28.9배의 출력을 나타냈다. 이는 연구목적인 W급의 전기에너지 생산목적에 부합되는 것으로, 주택 및 도시시설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hybrid energy blocks with piezoelectric and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developed energy block is able to be applied to the housing and facilities in the city and is suitable to adjust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To develop the hybrid energy block,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various energy block types and drew improvement and application method to develop energy block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the prototype energy blocks and the developed hybrid energy blocks. According to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analysis, the developed energy block shows higher performance of 12.7 times for adding one vibration and 28.9 times for five consecutive vibrations than that of a existing prototype energy block. This is consistent with research purposes for W-level electrical energy production. Thus, the new energy block will likely be possible to apply to the housing and urban fac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영진, 진규남, 이상훈, 박선규, 윤정방, 박승희(2011), 상시계측 시스템과 보수/보강 신기술에 의한 교량의 성능평가 및 유지관리 기법 개발, 토지주택연구원.
  2. 김창일 등(2012), "압전캔틸레버 구조를 이용한 도로용 에너지하베스터의 개발 및 평가",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25(7) : 511-515.
  3. 김효진, 진규남, 박지영(2013), 에너지하베스팅 기술의 주택.도시 적용을 위한 기초 및 실용화 방안 연구(1), 토지주택연구원.
  4. 노명현, 김효진, 박지영, 이상열, 조영봉(2012), "도시. 주택 적용 미관용 에너지 블록의 발전성능 평가", LHI Journal, 3(2) : 187-193.
  5. 류경일, 정귀상(2011), "스프링이 없는 진동형 전자기식 에너지 하베스터의 제작과 그 특성",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20(4) : 249-253. https://doi.org/10.5369/JSST.2011.20.4.249
  6. 비즈오션(2011), 에너지하베스팅 최신기술 동향 및 전망 세미나 자료집.
  7. 송병택(2012), 압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8. (주)센불(2011), 에너지하베스팅 프로토타입 발전특성평가.
  9. 최경규, 박홍근(2003), "불균형모멘트를 받는 플랫 플레이트의 변형능력", 한국콘크리트학회논문집, 15(3) : 482-493.
  10. 포항산업과학연구원(2010), 신재생에너지 융합 교량용 모듈기술 개발전략 수립.
  11. 포항산업과학연구원(2012), 진동기반 교량용 하이브리드 에너지하베스팅 프로토타입 개발.
  12. Harrop, P. and R. Das (2009), Energy Harvesting and Storage for Electronic Devices 2009-2019, IDTechEx.
  13. Spreemann, D. and Y. Manoli (2012), Electromagnetic Vibration Energy Harvesting Devices : Architecture, Design, Modeling and Optimization, Spri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