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맞춤형 식단 추천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IoT 기반의 융합 맞춤형 식단추천시스템 프레임워크 (A Framework for IoT-Based Convergence Personalized Menu Recommendation System)

  • 조영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47-153
    • /
    • 2014
  • 개인 식단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고려 사항들이 있다. 개인 식단은 질병에 대한 식이요법, 체중에 따른 다이어트 등에 따라 다르다. 또한 음식의 선호도와 계절, 날씨, 기분에 따라 선택하는 식단이 달라진다. 개인은 건강관리를 위해 영양상태의 균형을 바로잡는 식단 추천을 기대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개인 맞춤형 식단추천시스템 구축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식단을 추천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은 개인의 신체상황, 식품 재료 상황, 환경 상황, 심리 및 감정 상황 등의 정보를 입력으로 받고, 다른 외부의 응용시스템으로부터 생성된 식단 작성 관련 온톨로지를 이용해 추론함으로써 식단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물인터넷(IoT) 환경이 토대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oneM2M 공통 서비스 플랫폼을 갖고 있는 IoT 표준화 환경에서의 개인 맞춤형 식단추천시스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Hypernetwork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식단추천 방법 (Personalized Menu Recommendation Algorithm using Hypernetwork)

  • 임병권;장병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B)
    • /
    • pp.393-395
    • /
    • 2012
  • 많은 현대인들은 체중 관리를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식단을 관리하는데 많은 힘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이 자신이 먹은 식단을 분석하고 어떤 음식을 먹을지 계획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hypernetwork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식단 추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개발된 식단 추천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식단 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성에 맞고 적절한 칼로리를 지닌 식단을 구성하여 추천한다. 특히, 식품 정보 DB 이외에 다른 추가 정보가 필요하지 않으며, 개인의 작은 식단 로그 데이터만으로도 동작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개발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개인 체중 관리 어플리케이션인 DietAdvisor를 제작하였으며,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제 식단 추천 및 그 외의 체중관리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협업필터링과 개인 식단 선호도를 이용한 다이어트 식단 추천 시스템 (Diet menu recommendation system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and personal menu preference)

  • 장태훈;박두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96-499
    • /
    • 2018
  •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국내 비만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했고 이에 따라서 다이어트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하지만 현재 출시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단지 식단을 선택하도록 목록을 보여주는 것에 그친다. 최근 추천 시스템은 데이터 서비스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고 사용자가 직접 선택에 대한 고민 할 것 없이 개인에게 맞춤된 식단을 제공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FatSeceret Open-API를 사용하여 추출한 식품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식단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그래서 식단 선호도와 협업 필터링 기법을 R을 이용하여 개인 맞춤형 다이어트 식단을 추천해 주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내용 기반 및 식품 교환 표를 이용한 맞춤형 건강식단 추천 기법 (A Customized Healthy Menu Recommendation Method Using Content-Based and Food Substitution Table)

  • 오유리;김윤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6권3호
    • /
    • pp.161-166
    • /
    • 2017
  • 최근 현대인들은 풍족해진 먹을거리에도 불구하고, 특정 영양소의 과잉 및 부족 섭취로 영양불균형의 문제로 겪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 및 식단조절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다양한 모바일시스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들이 등장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들은 섭취한 식단을 기록하고 단순한 통계를 보여주는데 그치는 수준이며 건강 식단을 위한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건강에 관심 있는 사용자에게는 실질적으로 본인의 음식 선호를 반영하거나 맞춤형 권장 정보를 제공하는 추천서비스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신체 및 활동조건에 따른 권장섭취열량에 대해 식품군별 교환단위수를 부여하고, 과거 섭취이력을 활용하여 음식 선호를 분석하여 식품군별 권장섭취 단위수를 만족하는 식단추천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실험을 통하여 사용자의 선호만을 고려한 경우, 권장교환단위만을 고려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정밀도, 재현율, 건강지수, 그리고 3지표의 조화평균을 도출하고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증명하였다. 해당 기법을 활용하여 사용자는 본인의 선호를 반영하는 맞춤형 건강식단을 추천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건강한 식습관 개선 및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방 8체질과 신체 정보를 활용한 맞춤 음식과 식단 추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Database System for Personalized Food and Diet Recommendation Based on 8-Oriental Body Constitution and Physical Information)

  • 이정훈;이상덕;정예원;이유정;문유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1호
    • /
    • pp.187-188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한방 8체질 및 신체정보 관련 데이터셋을 바탕으로 개인 맞춤 식품 및 식단을 추천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설계·구축을 수행한다. 또한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추천된 식품(식단)과 희망하는 지역을 입력했을 때 선별된 음식점 정보를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 생성 프로세스와 수집한 데이터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설계, 데이터 수집, 생산 및 처리 예제, 데이터베이스 활용 등에 대해 다양한 방법을 제공한다. 일상생활에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이 시스템은 한의원 또는 전문채널을 통해 알 수 있었던 맞춤 식단 정보를 대중에 공개되어 정보 진입장벽을 낮추고 편의성을 도모한다. 이로써 오늘날 고령 사회에 진입한 대한민국에서 국민들이 건강한 식생활을 지원하여 궁극적으로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한다.

  • PDF

비만 관련 SNP genotype-phenotype 정보기반의 맞춤 식단옴 추천 (Personalized Dietary SikdanOme Recommendation based on Obesity Related SNP Genotype and Phenotype)

  • 신가희;이상민;강병철;장대자;권대영;김민정;김리랑;김진희;양혜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435-442
    • /
    • 2016
  • 전 세계적으로 비만인구의 증가로 인해 경제적 부담이 확대되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 육체적 활동의 감소 및 식이관리의 실패가 손꼽히고 있다. 영양성분 및 칼로리를 기반으로 한 맞춤 식단정보 제공 시스템과는 차별적으로 본 연구는 개인 맞춤형 기능성 식품을 추천하기 위해 비만 관련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정보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GWAS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분석을 수행하여 한국인 특이적인 비만 관련 SNP을 발굴하고, 이를 활용하여 유전적 정보를 입력하여 SNP genoype-phenoype 정보에 따른 맞춤 식단옴을 추천하였다. 또한 USDA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식품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식품 통합 Database를 구축하여 식단 추천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표현형 정보 BMI (Body Mass Index)는 정상 수치를 가지고 있으나, 비만 관련 SNP 정보를 가지고 있는 샘플은 유전적 비만 위험도를 나타내어 식이관리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확인하였으며, 관련 식품 정보를 제공하였다. 따라서 표현형에 따른 비만에 관한 정보와 유전형 정보가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표현형적 정보만을 이용한 비만 관리 식이 추천에는 한계가 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결과는 비만외 다른 성인병들에도 적용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표현형-유전적 통합정보를 기반 한 맞춤식이 추천이 필요함을 나타내었다.

음식 군집분석을 통한 개인맞춤형 식이 코칭 기법 (A Personalized Dietary Coaching Method Using Food Clustering Analysis)

  • 오유리;최지은;김윤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6호
    • /
    • pp.289-294
    • /
    • 2016
  • 현대인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다양한 만성질환을 야기하는 식습관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여러가지 모바일 및 웹시스템을 이용한 식단 관리 방법이 등장하고 있지만 이는 실제로 적용하기 어렵고 사용자의 상황을 반영하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개인의 신체정보 및 상황을 반영하고 음식을 분석하여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섭취 가능한 맞춤형 식단관리 및 추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자기조직화지도를 이용하여 음식을 분석하고 이를 군집화하여 음식에 대한 데이터를 준비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상황을 고려한 개인 맞춤형 기준을 반영하여 섭취하고 싶은 음식에 대한 피드백 및 대체음식 추천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실험을 통하여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한 추천된 음식결과와 비교하여 제안된 방법의 입력 음식과 추천 음식의 거리가 짧다는 것을 통하여 영양적으로 유사한 음식이 추천됨을 증명하였다.

당뇨병 환자의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식단 추천 시스템 (Die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Life Log Data of Diabetic Patients)

  • 김선아;황만수;김능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199-208
    • /
    • 2023
  •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불규칙한 식습관, 스트레스, 운동 부족 등의 요인으로 젊은 당뇨 환자가 2017년 대비 2021년에 3,564,059명으로 24.3% 증가 추세를 보였다. 모든 연령층에서 증가 중인 당뇨병은 약물치료, 규칙적인 운동, 식사요법 관리가 필요하다. 이 중 식사요법은 적절한 열량 및 균형 잡힌 3대 영양소 섭취를 필요로 하므로 매우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현재 당뇨 식단 추천은 개인 정보, 건강 정보, 사회적, 문화적 측면을 고려하여 식단을 제안하지만, 건강 정보에 대한 다중 변수를 고려하지 않은 부분이 미흡하다. 이에 본 논문은 당뇨병 환자의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식단 추천 시스템을 제안하여 데이터 다중 변수를 고려해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른 맞춤형 식단을 추천하고자 한다.

식단 기반 개인 맞춤형 영양제 추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iet-based personalized nutritional supplement recommendation system)

  • 홍성준;이민희;장재리;정하은;홍유리;이지항;김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59-361
    • /
    • 2022
  • 최근 현대인의 영양불균형이 점점 심화됨에 따라 영양결핍과 비만의 위험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일반인들의 건강기능식품 소비가 증가하고 있지만, 적정섭취량에 비해 영양소를 과도하게 섭취 중이거나 영양제를 먹지만 정작 필요한 영양소를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7 일간 사용자가 섭취한 식단을 기반으로 부족한 영양소를 수치상으로 계산하여 개인 맞춤 영양제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유헬스케어 개인화 서비스를 위한 식단 처방 시스템 (A Diet Prescription System for U-Healthcare Personalized Services)

  • 김종훈;박지송;정은영;박동균;이영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11-119
    • /
    • 2010
  • 유헬스케어는 언제 어디서나 예방, 진단, 치료, 사후 관리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궁극적인 목표는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유헬스케어 서비스는 사용자 개개인의 상황에 맞는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헬스케어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유헬스케어 개인화 서비스를 정의하고 건강관리 모델을 제안한다. 개인화 서비스를 위한 식단 처방 시스템은 맞춤형 열량 및 영양소 비율을 도출하고 개인의 식품류별 선호도를 통하여 개인화된 식단 처방이 가능하다. 본 시스템은 사용자의 식단 선택 행위를 모니터링 하여 개인의 선호도를 변경하고 자바 기반의 OSGi 미들웨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센서 및 디바이스와 상호 운용되도록 설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