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망막색소상피세포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6초

동양달팽이의 눈에 대한 해부학적 및 미세구조적 연구 (An Anatomical and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Eye of a Land Snail, Nesiohelix samarangae)

  • 정계헌;이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8
    • /
    • 1994
  • 동양달팽이속(Nesiohelix)에 속하는 종으로 한국에서는 유일하게 서식하고 있는 종으로알려진 동양달팽이(Nesiohelix samarangae)성체의 눈에 대하여 해부학적 및 미세구조관찰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동양달팽이의 눈은 각막, 무세포성의 수정체, 망막및 신경망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가장 복잡한 구조를 보이는 부분은 망막으로서 이의상피는 2종의 원주세포로 구성되어있다. 그 하나는 광수용세포로서 세포의 상부세포질이 원추형 또는 피라미드형의 돌기를 이루었고 그 유리표면에는 긴 감간(microvilli)이 무수히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돌기를 이룬 세포질 내에는 용해소체의 활성이 높게 나타난다. 또한 광수용세포들의 상부세포질에는 이웃해 있는 색소세포들의 세포질 돌기들이 여러개 침입해 들어와 있다. 그리고 핵 주변의 세포질에는 수많은 photic vesicle들이 군집을 이루어 존재한다. 다른 한 종류의 세포는 색소세포들로서 광수용세포들과는 달리 세포의 상부에 원추형의 세포질 돌기가 없고 다만 그 유리표면을 따라 광수용세포의 것보다는 굵고 짧은 많은 감간이 존재하는데 두 종류의 세포들에서 뻗어나온 감간들은 서로 만나 때로 파상을 이루고 있다. 망막 상피세포층의 기저막 아래에는 신경망이 컵모양의 망막을 따라 존재한다.

  • PDF

망막변성질환에서의 줄기세포 기반치료 (Stem Cell Based Strategies for the Treatment of Degenerative Retinal Diseases)

  • 박정현;구승엽;조명수;이학섭;최영민;문신용;유형곤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3호
    • /
    • pp.199-206
    • /
    • 2010
  • 망막 질환에서의 줄기세포 치료는 이전까지 치료가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환자들에서 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 때문에 주목 받고 있다. 본문에서는 망막 전구세포의 분화를 위해 사용되는 태아 줄기세포, 배아줄기세포 및 성체줄기세포 등 다양한 세포 종류와, 내인적, 외인적 인자 및 이식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망막색소상피세포뿐만 아니라 시각세포 전구체로 성공적으로 분화시킨 실험적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줄기세포기반치료는 아직 한계가 있지만 망막 질환 환자에서 시력을 회복하기 위한 보다 근본적인 치료 방법으로 기대되고 있다.

망막색소상피세포에서 감초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및 apoptosis 유발의 차단 효과 (Ethanol Extract of Glycyrrhiza uralensis Protects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DNA Damage and Apoptosis in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 김소영;김정환;김성옥;박세광;정지원;김미영;이혜숙;정재훈;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73-1280
    • /
    • 2019
  • 고령층 인구에서 노인성 황반변성(AMD)은 실명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망막 항상성을 유지하는 망막색소상피(RPE)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은 AMD의 발달에 기여한다. 감초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의 다양한 질병 치료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초 중 하나이다. 비록 감초는 다양한 실험 모델에서 항산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망막색소상피세포의 손상에 대한 보호 기전은 알려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ARPE-19 인간 망막색소상피에서 과산화수소($H_2O_2$)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한 감초 에탄올 추출물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본 결과에 의하면 감초 추출물은 Nrf2 및 HO-1의 발현을 유도하면서 $H_2O_2$에 의한 ROS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차단하였다. 또한 감초 추출물은 $H_2O_2$에 의해 유도된 DNA 손상을 억제하였으며, 미토콘드리아막 전위의 소실을 약화시켰다. 그리고 감초 추출물 $H_2O_2$에 의한 caspase-3의 활성을 억제하면서 apoptosis 유도를 차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감초 추출물이 DNA 손상을 억제하고 apoptosis를 감소시킴으로써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망막색소상피세포를 보호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비록 감초 추출물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들의 분석과 Nrf2-매개 HO-1 발현의 조절에 대한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지만, 감초 추출물은 AMD의 위험을 감소시킬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시사한다.

인간 망막 색소상피 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천연 및 합성 화합물들의 세포 보호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Cytoprotective Effects of Several Natural and Synthetic Compound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Human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 김다혜;김정환;박세광;정지원;김미영;남수완;이혜숙;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6-136
    • /
    • 2021
  •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망막 색소상피 세포의 손상 및 퇴화는 시력 소실을 포함한 다양한 망막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유래 14종 단일 성분과 합성 화합물 2종을 대상으로 망막질환 개선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람 유래 망막 색소상피 세포를 대상으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16종의 후보물질 중 H2O2에 의해 유발된 세포독성을 개선시키는 효능을 보인 5종(auranofin, FK-509, hemistepsin A, honokiol 및 spermidine)을 선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H2O2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기능 손상 및 활성 저하 억제능을 평가하였으며, auranofin을 제외한 4종에서 유의한 세포 보호 효능이 관찰되었다. 더불어 H2O2에 의해 유도된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FK-506, honokiol과 spermidine이 DNA 손상을 개선시켰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5종의 후보물질이 활성 산소종의 생성에는 뚜렷한 억제 효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는 5종의 후보 물질이 ROS-비의존적 기전을 통해 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 대상 후보물질 중에서 spermidine이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망막 색소상피 세포의 보호 효능이 가장 우수한 천연물 유래 단일 물질임을 규명하였으며, 동시에 합성물질로는 FK-506이 망막 세포 보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작용 기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본 연구 결과는 spermidine과 FK-506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망막질환의 위험을 억제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Laser 조사가 망막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aser Irridation on the Ultrastructure of Retina)

  • 김덕훈;문정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5-22
    • /
    • 1996
  • 본 연구는 망막조직의 미세구조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생쥐(ICR)에 대한 Laser 조사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 정상군에서 대개의 망막층은 여러 특수한 세포들과 신경섬유로 구성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2. Laser 조사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망막의 각 세포의 층과 구조는 일정한 형태를 나타내지 못했다. 시세포 visual cell들은 심하게 이형염색질체 heterochromatin이며, 세포질은 종대되며, 핵의 모양은 불규칙적이며,일부의 세포질은 소실되었다. 망막층의 핵과 신경섬유는 매우 불규칙적이며, 소포의 형성, 각 세포간 경계의 불명확함이 있었다. 색소상피세포 pigment epithelail cell들은 정상모양이 아니며, 세포질에는 큰 공포 형성이 있으며, 핵의 응축과 불규칙한 모양 등이 있었다.

  • PDF

망막 색소상피세포에서 산화성 세포 손상과 미토콘드리아기능 저해에 미치는 NS 1619의 보호 효과 (The Ca2+-activated K+ (BK) Channel-opener NS 1619 Prevents Hydrogen Peroxide-induced Cell Death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in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 강재훈;우재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349-1356
    • /
    • 2017
  • $K^+$ 통로 개방제들은 심근, 뇌, 골격근 등에서 세포막 혹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존재하는 큰 전도성의 $Ca^{2+}$-의 존성 $K^+$ (BK) 통로 및 ATP-조절성 $K^+$ 통로(ATP-sensitive $K^+$ channels, $K_{ATP}$)에 작용하여 허혈성 혹은 산화성 세포 손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망막 색소 상피세포주인 ARPE-19 세포를 실험 모델로 하여 큰 전도성의 BK 통로 개방제인 NS 1619가 유사한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 또한 그 작용기전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AREE-19 세포를 여러 형태의 산화 스트레스에 노출시켜 세포 손상을 유발하고 그 손상의 정도 및 이에 미치는 NS 1619의 효과를 trypan blue 배출능, Tunel 염색 분석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NS 1619는 여러 형태의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괴사성 및 apoptosis에 의한 세포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였으며 그 보호 효과는 BK 통로 봉쇄제인 paxilline 의해 차단되었다. NS 1619는 $H_2O_2$에 의한 세포내 ATP 고갈을 현저히 완화시켰으며, 또한 MTT 환원능으로 측정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보호하는 효과를 보였다. 유세포형광 분석법을 이용한 실험에서 NS 1619는 $H_2O_2$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막전압의 소실을 유의하게 방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NS 1619는 망막 색소 상피세포에서 산화성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그 기전에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대한 보호 작용이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크필름에 배양한 망막색소상피세포의 거동 (Behavior of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Cultured on Silk Films)

  • 이소진;김혜윤;김슬지;양재원;이선의;박찬흠;주천기;강길선
    • 폴리머
    • /
    • 제38권3호
    • /
    • pp.364-370
    • /
    • 2014
  • 망막색소상피(RPE)는 건강한 망막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RPE의 퇴화는 많은 망막질병을 유발한다. RPE 이식은 최근 망막 퇴화에 대한 가능성 있는 치료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RPE 세포를 안전하게 이식하기 위해서는 지지체가 필요하므로 독특한 기계적 성질과 생체적합성을 갖는 실크를 사용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크필름의 FTIR, 접촉각 및 생분해성을 측정한 후, RPE 세포를 실크필름에 파종하여 그 영향을 확인하였다. MTT 분석, SEM, 면역형광염색, RT-PCR을 통해 세포의 부착, 생존도, 형태유지, 특이적 mRNA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크필름에 배양한 RPE 세포의 부착, 증식 및 표현형 유지가 뛰어남을 확인함으로써 실크필름의 망막 재생을 위한 조직 공학적 지지체로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헤스페리딘/PLGA 필름에서 망막색소상피세포의 부착과 증식거동 (Adhesion and Proliferation Behavior of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on Hesperidin/PLGA Films)

  • 이소진;강수지;김혜윤;이정환;김은영;권순용;정진화;주천기;강길선
    • 폴리머
    • /
    • 제38권1호
    • /
    • pp.24-30
    • /
    • 2014
  • 망막색소상피(retinal pigment epithelium, RPE)는 시기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RPE의 퇴화는 여러 망막변성질병을 유발한다. 현재 이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이 부족하여 세포 이식에 적합한 지지체를 제작하기 위해, 생분해성 고분자인 PLGA와 항염증, 항산화 작용 등의 기능이 있는 헤스페리딘을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ARPE-19를 파종한 후, 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세포 증식률을 확인하고, 세포의 부착 및 세포 형태를 SEM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RPE 세포의 특이적 유전자 발현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RT-PCR을 수행하였고, RPE65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AEC 면역화학적 염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헤스페리딘/PLGA 필름은 PLGA보다 RPE 세포의 부착, 증식 및 표현형 유지가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헤스페리딘/PLGA 필름의 망막재생을 위한 조직공학적 담체로써 응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Etoposide에 의한 인간 망막색소상피세포인 ARPE-19 세포의 아폽토시스 과정에서 Heme oxygenase-1의 항아폽토시스 기능에 대한 연구 (Anti-apoptotic Activity of Heme Oxygenase-1 Up-regulated by Etoposide in Human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 이상권;송주동;김강미;김종민;이상률;유영현;박영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9호통권89호
    • /
    • pp.1204-1210
    • /
    • 2007
  • Totopoisomerase II 저해제인 etoposide는 핵안에 DNA double strand breaks를 일으키므로써 세포의 DNA에 손상을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망막색소상피세포인 ARPE-19 세포에서의 세포성장 및 아폽토시스에서 etoposide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Etoposide는 세포의 성장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TUNEL에서 아폽토시스를 나타내는 DNA fragmentation의 증가를 유도하였다. 게다가, etoposide는 산화적 손상에 대해 세포나 조직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세포내 항산화효소인 heme oxygenase-1 (HO-1)의 발현을 크게 증가시켰다. Etoposide에 의한 HO-1 발현증가는 항산화물질 NAC에 의해 억제되었는데, 이는 etoposide에 의한 세포내 ROS의 증가가 HO-1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HO-1 발현을 억제하기 위하여 HO-1 siRNA 방법을 사용하였다. 흥미롭게도, HO-1 유전자의 knock-down은 etoposide에 의해 유도되는 DNA fragmentation의 정도를 증가시켰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볼 때, etoposide에 의해 자극되어진 ARPE-19 세포에서 발현증가된 HO-1은 etoposide에 의한 아폽토시스 유발과정에서 세포를 보호하는 항아폽토시스의 기능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국산 담수어류 버들붕어, Macropodus ocellatus (Pisces, Osphronemidae) 망막의 시각세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Visual Cells in the Retina of Macropodus ocellatus (Pisces, Osphronemidae) Freshwater Fish from Korea)

  • 김재구;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18-223
    • /
    • 2017
  • 한국산 담수어류 버들붕어의 눈을 관찰하고 시각을 담당하는 망막의 시각세포 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버들붕어는 구형의 수정체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각막은 노란색으로 확인하였다. 눈은 $3.5{\pm}0.2mm$의 크기였으며 두장/안경비는 $31.1{\pm}5.0$으로 비교적 큰 눈을 가지고 있었다. 버들붕어의 망막은 $158.2{\pm}10.6{\mu}m$의 두께였으며 시각세포층에는 간상세포 ($57.3{\pm}1.3$), 동형 이중원추세포($33.9{\pm}3.7$) 및 단일원추세포($27.8{\pm}1.6$)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횡단면을 확인한 결과 정방형의 모자이크 모델을 보유하고 있었다. 모든 시각세포는 내절과 외절의 구분이 뚜렷하였으며 간상세포가 원추세포보다 더 길어 원추세포들의 외절과 외절사이에 간상세포의 내절이 존재하였다. 간상세포의 외절은 망막 색소상피층 아래까지 신장되어 있었다. 전자현미경을 통해 미세구조를 확인한 결과 원추세포와 간상세포 모두 내절과 외절을 연결하는 배상극이 관찰되었으며 간상세포 및 동형 이중원추세포의 형태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시각세포의 횡단면을 관찰한 결과 짧은 단일원추세포를 기준으로 상하좌우에 동형 이중원추세포가 정방형 배열을 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