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마팅게일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효율적 시장가설과 서브마팅게일의 검증

  • Ok, Gi-Yul;Song, Yeong-Hyo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4 no.1
    • /
    • pp.207-217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 시장가설을 검증할 때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주가의 로그변환방법은 마팅게일과 서브마팅게일을 구분할 수 없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보여주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로그변환없이 일차 차분을 한 시계열 데이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마팅게일과 서브마팅게일의 구분하기 위해서는 주가 차분 시계열 데이타의 공분산이라는 검정통계량을 이용하는데, 이 공분산이라는 검정통계량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검증을 하기 위해서는 이 통계량의 분포를 알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bootstrap방법론을 이용하여 이 공분산의 분포를 구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 PDF

Simple Estimation in Proportional Odds Model under Censoring

  • Kim, Ju-Sung;Seo, Min-Ja;Won, Dong-Yu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16 no.4
    • /
    • pp.889-898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estimator of relative odds ratio in the two-sample case of proportional odds model under censorship. Also, we show that the estimator consistent and asymptotically normal by using martingale-representation.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is assessed through a simulation study.

  • PDF

Estimation in a Two-Sample Proportional Odds Model

  • Kim, Ju-Sung;Seo, Min-Ja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16 no.2
    • /
    • pp.327-334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estimator of relative odds ratio in the two-sample case of proportional odds model. Also, we show that the estimator is consistent and asymptotically normal.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is assessed through a simulation study.

  • PDF

Analysis of a Ruin Model with Surplus Following a Brownian Motion (브라운 운동을 이용한 보험 상품의 파산 모형 연구)

  • Han, Soo-Hee;Lee, Eui-Yo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9 no.3
    • /
    • pp.579-585
    • /
    • 2006
  • We consider a ruin model where the surplus process is formed by a Brownian motion. If the level of surplus exceeds V, then we assume that a insurer invests an amount of S to other place. In this paper, we apply martingale methods to the surplus process and obtain the expectation of period T, time from origin to the point where the level of surplus reaches either V or 0. As a consequence, we finally derive the total and average amount of surplus during T.

Estimation of Odds Ratio in Proportional Odds Model

  • Seo, Min-Ja;Kim, Ju-S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17 no.4
    • /
    • pp.1067-1076
    • /
    • 2006
  • Although the proportional hazards model is the most common approach used for studying the relationship of event times and covariates, alternative models are needed for occasions when it does not fit data. In the two-sample case, proportional odds models are useful for fitting data whose hazard rates converge asymptotically. In this thesis, we propose a new estimator of the relative odds ratio of the proportional odds model when two independent random samples are observed under uncensorship. We prove the asymptotic normality and consistency of the estimator by using martingale-representation.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is assessed through a simulation study.

  • PDF

주가시계열에 대한 확률미분방정식(確率微分方程式)의 모수(母數) 추정(推定)과 자본시장의 운동법칙(運動法則)

  • Lee, Il-G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5 no.2
    • /
    • pp.279-337
    • /
    • 1998
  • 이 논문에서는 주가가 확률과정, 즉 확률미분방정식에 의하여 생성되는가를 검정하고 주가의 운동법칙을 규명한다. 일별종합주가지수가 양수의 완전시계열상관을 갖고 있으며, 더욱이 3년 정도의 시차까지 의미있는 시계열상관을 갖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수익률과 가격변화의 시계열상관도 존재하고 시계열은 정상성(定常性)을 갖고 있다. 마팅게일에 의하여 주가가 생성되고있지 않음이 밝혀졌다. 한국증권거래소에서 계산하고 있는 일별 종합주가지수를 포함한 41개 산업별 지수를 사용하여 자본시장의 운동법칙을 규명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세개의 확률미분방정식을 검정하였다. 각 주가지수들이 온스타인 울렌벡 브라운 운동과정과 평균회귀과정을 따르지 않고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주가가 편류를 갖는 일반 기하 브라운 운동과정에 의하여 생성되고 있음이 검정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평균회귀과정에 의하여 주가가 생성되지 않는다는 발견은 의외라 할 수 있다. 주가가 온스타인 울렌벡 과정을 따르지 않는다는 것은 주가가 제 1계 정상적 자기회귀과정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일별종합주가지수는 제 4계 자기회귀과정에 의하여 생성된다. 가격변화와 수익률의 생성함수는 제 4계 자기회귀과정이다. 종합주가지수의 제 1계 시계열상관계수는 1이다. 상당히 큰 시차를 갖을 때까지 시계열상관이 대략적으로 1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지수가 마팅게일을 따르고 있지 않다. 이 점은 가격변화와 수익률에 있어서도 유사하다. 가격변화, 수익률, 대수수익률의 제 1계 시계열상관이 0.1로 유의적이다. 따라서 수익도 마팅게일 과정을 따르고 있지 않다. 증권가격은 세 번에 걸쳐 구조의 번화가 발생하였다. 구조의 변화가 발생할 때마다 평균가격이 상승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장기적 기대가격이 미지일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는다. 단기적 기대 주가가 알려진 반면 장기적 기대 주가가 미지라면 평균회귀과정은 장기적 기대주가로 회귀하고 있는 과정이므로 장기기대 주가의 미지성이 평균회귀 과정의 기각을 유도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투자자들은 무위험자산과 위험을 동시에 고려하여 투자활동을 전개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선형의 효용함수를 갖는 위험중립적 태도의 투자자가 아니다. 위험기피형 효용함수 아래에서 투자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합리적 투자자들이라 할 수 있다. 뿐 만 아니라 자신의 평생에 걸친 소비를 소비가 이루어지는 각 기마다 가급적 일정하게 하는 소비행동을 목표로 삼고 소비와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리고 있음이 실증분석을 통하여 밝혀졌다. 투자자들은 무위험 자산과 위험성 자산을 동시에 고려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투자활동을 행동에 옮기고 있다.

  • PDF

Review on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diagnostics based on residuas (잔차에 기초한 비례위험모형의 회귀진단법 고찰 - PBC 자료를 통한 응용 연구)

  • 이성임;박성현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5 no.2
    • /
    • pp.233-250
    • /
    • 2002
  •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is highly-used for the regression analysis of survival data in various fields. Regression diagnostics for the proportional hazards model, however, is not as well-known as the diagnostics for the classical linear models and so these diagnostic methods are not used widely in our practical data analyses. For this reason, we review the residuals proposed by several authors, and investigate how to use them in assessing the model. We also provide the results and interpretation with the analysis of PBC data using S-plus 2000 program.

Option Pricing with Leptokurtic Feature (급첨 분포와 옵션 가격 결정)

  • Ki, Ho-Sam;Lee, Mi-Young;Choi, Byung-Wook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1 no.2
    • /
    • pp.211-233
    • /
    • 2004
  • This purpose of paper is to propose a European option pricing formula when the rate of return follows the leptokurtic distribution instead of normal. This distribution explains well the volatility smile and furthermore the option prices calculated under the leptokurtic distribution are shown to be closer to the market prices than those of Black-Scholes model. We make an estimation of the implied volatility and kurtosis to verify the fitness of the pricing formula that we propose here.

  • PDF

Further study on the risk model with a continuous type investment (연속적으로 투자가 이루어지는 보험상품 리스크 모형의 추가 연구)

  • Choi, Seung Kyoung;Lee, Eui Yo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1 no.6
    • /
    • pp.751-759
    • /
    • 2018
  • Cho et al.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23, 423-432, 2016) introduced a risk model with a continuous type investment and studied the stationary distribution of the surplus process. In this paper, we extend the earlier analysis by assuming that additional instant investment is made when the surplus process reaches a certain sufficient level. We obtain the explicit form of the stationary distribution of the surplus process. The case is shown as an example, when the amount of claim is exponentially distributed.

An optimal management policy for the surplus process with investments (재투자가 있는 잉여금 과정의 최적 운용정책)

  • Lim, Se-Jin;Choi, Seungkyoung;Lee, Eui-Yo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9 no.7
    • /
    • pp.1165-1172
    • /
    • 2016
  • In this paper, a surplus process with investments is introduced. Whenever the level of the surplus reaches a target value V > 0, amount S($0{\leq}S{\leq}V$) is invested into other business. After assigning three costs to the surplus process, a reward per unit amount of the investment, a penalty of the surplus being empty and the keeping (opportunity) cost per unit amount of the surplus per unit time, we obtain the long-run average cost per unit time to manage the surplus. We prove that there exists a unique value of S minimizing the long-run average cost per unit time for a given value of V, and also that there exists a unique value of V minimizing the long-run average cost per unit time for a given value of S. These two facts show that an optimal investment policy of the surplus exists when we manage the surplus in the long-r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