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이크로 이동성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6초

마이크로 이동성 위한 RSVP_Proxy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SVP_Proxy for Micro Mobility)

  • 박승균;오영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9B호
    • /
    • pp.774-782
    • /
    • 2003
  • 일반적으로 Mobile IP 기술에 있어 이동 노드에게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RSVP 사용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Mobile IP와 RSVP(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연동시 이동 노드의 핸드오프는 등록 지연, RSVP 예약 지연 및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증가시킨다. 특히 이동 노드와 대응 노드 사이의 경로에 대한 자원 예약은 핸드오프 이전과 이후 경로가 대부분 같기 때문에 중복 예약이며, 불필요한 시그널링의 생성과 자원 낭비를 초래한다. 만약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셀의 반경이 작다면 이동 노드의 핸드오프는 증가할 것이며 따라서 시그널링 오버헤드와 자원 중복 예약이 크게 증가할 것이다. 본 논문은 RSVP proxy 방안의 Cellular IP와 RSVP 통합 모델을 제안한다. Cellular IP 프로토콜은 마이크로 셀 네트워크에서 핸드오프에 의한 등록 지연, 전송 지연 및 손실을 최소화하며, RSVP proxy는 자원 중복 예약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이동 노드의 예약 주소를 사용하여 Cellular IP 외부 네트워크에서의 RSVP 세션 경로 변경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제안 방안은 셀 반경과 핸드오프율에 대해 자원 예약 실패 확률을 이용 기존 Mobile IP와 RSVP 연동 방안과 비교 평가하였다.

ILP 마이크로세서에서 메모리 주소 모호성 제거의 성능 영향 (Effect of Memory Disambiguation for ILP Microprocessors)

  • 정회목;양병선;문수묵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3)
    • /
    • pp.694-696
    • /
    • 1998
  • ILP마이크로세서를 위한 스테쥴링 과정에서 메모리 명령어가 프로그램의 임계 경로로에 존재할 경우에 이의 스케쥴링은 성능 향상에 중요한 문제 중에 하나이다. 메모리 명령어의 원활한 코드 이동을 위해서는 장애가 되는 명령어들의 메모리 주소간의 의존성의 분석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컴파일 시간에 메모리 주소간의 의존성 분석을 통한 성능 향상도를 VLIW환경 하에서 비교한다. 실험결과. 컴파일 시간에 메모리 주소 모호성 제거기를 사용한 경우 16ALU프로세서에서 정수 벤치마크 프로그램에 대해서 기하 평균으로 약 3.6%의 성능 향상이 가능하다.

  • PDF

노드 이동성을 고려한 계층적 이동 IPv6 네트워크에서의 적응적 경로 최적화 방안 (A Node Mobility-based Adaptive Route Optimization Scheme for Hierarchical Mobile IPv6 Networks)

  • 황승희;이보경;황종선;한연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0권4호
    • /
    • pp.474-483
    • /
    • 2003
  • 인터넷 관련 국제 표준화 기구인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IETF)에서는 이동 환경에서의 인터넷 사용을 위한 Mobile Ipv6 프로토콜을 제안하였으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경로 최적화를 기본 원칙으로 하는 Mobile IPv6은 최적화된 경로를 따라 이동노드로 패킷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지만 이를 위해서 이동 노드들은 이동시마다 자신의 위치를 HA(Home Agent)나 CN(Correspondent Node)에게 알려야 한다. 만일 빈번하게 이동하는 노드는 그 만큼 자주 위치갱신 및 등록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계층적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즉, 계층적 기법들은 중간 이동성 에이전트를 두어 매크로 이동성과 마이크로 이동성을 분리하여 지역성을 이용한다. 그리나 이런 계층적 기법들은 패킷 전송에 있어서 경로 최적화를 보장하지 못한다. 따라서 CN에서 이동 노드를 향하는 모든 패킷들은 반드시 중간 이동성 에이전트를 통과하여야 한다. 이는 중간 이동성 에이전트의 패킷집중과 불필요한 패킷 지연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 중간 이동성 에이전트의 패킷 집중을 완화시키고, 패킷의 지연을 줄이기 위한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계층 기법에 프로파일의 개념을 도입한다. 프로파일은 각 서브넷에서의 이동노드의 상주시간에 대한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중간 이동성 에이전트가 패킷 전송을 위해 기존의 패킷 전송 경로와 최적화된 경로중에서 이동노드에 적절한 위치정보를 CN들에게 알린다. 이렇게 함으로서 제안 기법은 최적화된 경로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중간 이동성 에이전트로의 패킷 집중을 완화시키고, 이에 따르는 불필요한 패킷 지연을 완화시킬 수 있다.

무선 ATM 망에서 이동교환기간 빠른 핸드오버를 위한 동적 경로 예약 기법 (Dynamic Path Reservation Scheme for Fast Inter-switch Handover in Wireless ATM Networks)

  • 이봉주;이남석;안계현;김영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1A호
    • /
    • pp.7-16
    • /
    • 2003
  • 무선 ATM 망은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해 셀의 크기가 작은 마이크로/피코 셀 구조를 채택하므로 단말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핸드오버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ATM 망에서 이동교환기간 핸드오버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한 동적 경로 예약 핸드오버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이동교환기간 핸드오버를 위해 최대근접공통노드로부터 인접 이동교환기까지 가상 채널을 미리 설정하므로 실제 핸드오버 시에 연결의 재라우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특히 일정 주기마다 예측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다음 주기에 발생할 핸드오버 호의 수를 예측하여 가상 채널을 예약함으로써 기존 DVCT 기법에 비하여 예약 채널 수, 예약 채널 이용률 및 시그널링 복잡성을 개선하였다.

이동형 연료전지용 마이크로 채널 개질기 제작 (Fabrication of Microchanneled Reformer for Portable Fuel Cell)

  • 유상필;임성대;이원교;김창수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350-355
    • /
    • 2005
  • 소형 PEMFC(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는 전기를 만들기 위해서 고순도의 수소를 필요로 한다. 각각의 마이크로 성형된 금속박판(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을 진공 브레이징법으로 접합하여 수소공급용 소형 개질기를 제작하였다. 마이크로 채널의 내부는 졸-겔법(스테인레스 스틸)과 양극산화법(알루미늄)으로 촉매를 지지하기 위한 다공성 $Al_2O_3$ 층을 형성시켰다. 스테인레스 스틸 박판은 에칭과 브레이징에 유리하였으나, 표면산화층 코팅을 균일하게 하여 안정적인 촉매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균일한 표면 산화층 형성이 힘들었다. 반면 알루미늄 박판은 표면 산화층 형성이 상대적으로 용이했으며, 촉매를 상하지 않는 낮은 온도에서의 적층이 가능했다.

고속 이동체를 위한 확장성 있는 실시간 위치 측정 시스템 (A Scalable Real Time Location measuring System for High Speed Moving Objects)

  • 안시영;박준석;오하령;성영락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9A권2호
    • /
    • pp.85-9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고속 이동체들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확장성 있는 실시간 위치 측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위치 서비스가 필요한 영역을 확장 시 기본 단위인 매크로셀이라고 불리는 정사각형의 격자들로 나누고, 한 매크로셀은 $N{\times}N$ 개의 마이크로셀로 나눈다. 마이크로셀의 각 꼭짓점에는 위치 기준 노드가 중앙에는 중재 노드가 설치된다. 위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이동체는 우선 중재 노드와의 통신을 통하여 위치 측정을 위한 허가를 받아야 한다. 그러므로 한 마이크로셀내에서는 오직 허가된 하나의 이동 노드만이 위치 기준 노드들과 연속적으로 통신하면서 자신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제안된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위치 측정을 위한 통신 시간이 짧고 고속 이동체의 위치를 계산할 경우 오차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지 클라우드 및 마이크로 클라우드 기반의 이동형 지능 영상감시 시스템 설계 (Design of Portable Intelligent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Edge Cloud and Micro Cloud)

  • 박선;차병래;김종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56-557
    • /
    • 2019
  • 현재의 영상감시 시스템은 3세대로서 영상장치는 저화질에서 고화질로 발전하였으며, 영상감시 솔루션은 단순형에서 지능형으로 발전함으로써 영상감시 성능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영상감시 시스템에 대한 장비 및 기술이 복잡해지고 다변화되면서 더 빠른 네트워크 속도, 안전한 전원공급 등 기반 인프라에 대한 의존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한편, 전력 및 통신과 같은 기본 인프라가 제한적인 지역에서의 영상 감시 지원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렇듯이 기본 인프라가 제한적인 지역에서 지능형 영상감시를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계층적 Mobile IPv6에서의 MAP 부하 분산 개선에 관한 분석 (Improvement of MAP Load Balancing in Hierarchical Mobile IPv6)

  • 송복섭;김정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67-75
    • /
    • 2009
  • 이동성 지원 네트워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IP 기반의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들이 제안되었다. MAP을 이용해 마이크로 이동성을 관리하는 HMIPv6는 MAP이 관리하는 도메인 내에서의 단말 이동에 대해 효율적인 이동성 지원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지만, MAP으로 트래픽이 집중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Mobile IPv6에서 MAP에 집중되는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분산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에서는 두개 이상의 MAP을 선정하고 Active MAP과 Passive MAP으로 구분한다. Active MAP과 Passive MAP간의 상태변경과 특정 MAP에서 트래픽으로 인한 부하가 일어날 경우 부하 분산을 위한 MAP간의 동작을 정의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검증을 위해 시뮬레이터를 이용해 계층적 Mobile IPv6와의 성능 비교를 하였으며, 노드의 패킷 처리량에 대한 비교에서는 본 논문의 제안 방안이 약 12%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마이크로 및 피코 셀 환경에 적합한 인증된 모바일 IPv6 바인딩 갱신 프로토콜 (Authenticated Mobile IPv6 Binding Update Protocol for Micro/Pico Cell Environments)

  • 이기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519-1523
    • /
    • 2007
  • 본 논문은 모바일 IPv6를 기반으로 하는 마이크로 및 피코 셀 환경에서 핸드오프 또는 핸드오버 시에 빠르고 안전한 바인딩 갱신을 해결하기 위한 제안이다. 기존의 주소 생성 방식과 달리 본 프로토콜에 참여하고 있는 노드나 라우터는 CGA(Cryptographically Generated Address) 방식을 통해 주소를 생성한다. 이동노드는 한정된 전력과 계산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키 생성 시에는 홈 에이전트가 이동노드를 대신하여 대응노드와 키 동의 프로토콜을 수행한다. 대응노드는 키를 생성한 후 티켓 안에 키를 포함시켜 자신의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이동노드에게 전송한다. 이는 홈 에이전트나 동작하지 않는 환경에서도 두 노드간에 직접 통신을 하기 위함이다. 성능 분석에서는 몇 가지 공격 시나리오를 통한 프로토콜의 안전성을 분석하고 기존 프로토콜과 비교함으로써 효율성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