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리

검색결과 2,251건 처리시간 0.027초

2012~2017년 강원지역에서 채집된 모기의 계절적 발생소장과 플라비바이러스 감염률 (Mosquito Prevalence and Flavivirus Infection Rates in Gangwon-do, Republic of Korea)

  • 정세진;고석현;고은미;임은주;김영수;이욱교;이동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89-99
    • /
    • 2019
  • 2012~2017년까지 강원도 3개 시 군(춘천시, 강릉시, 횡성군)에서 채집된 모기는 총 6속 13종, 654,362마리가 채집되었다. 채집된 모기는 분류하여 얼룩날개모기속을 제외하고 종별, 채집일, 채집 장소에 따라 최대 50마리를 1개 실험군으로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염기서열 분석방법으로 플라비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조사하였다. 채집모기 276,224마리에 대해 7,721개 실험군을 검사한 결과 68개 실험군(0.9%)에서 플라비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검출된 플라비바이러스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4개 실험군은 일본뇌염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 64개 실험군은 차오양바이러스(Chaoyang virus)로 확인되었다. 일본뇌염바이러스는 2012년 춘천시에서 채집된 2,728마리의 빨간집모기 중 1개 실험군, 2013년 횡성군에서 채집된 19마리의 동양집모기 중 1개 실험군, 2017년 춘천시에서 채집된 1,111마리의 빨간집모기 중 1개 실험군, 강릉시에서 채집된 빨간집모기 724마리 중 1개 실험군에서 검출되었다. 검출된 일본뇌염바이러스의 유전형은 모두 V형 바이러스였다. 차오양바이러스는 강원도 내에서 6년간 채집된 금빛숲모기 232,871마리, 5,055개 실험군을 대상으로 검사한 결과 63개 실험군에서 검출되었으며, 춘천지역에서 채집된 빨간집모기 585개 실험군 중 1개 실험군에서 검출되었다. 채집지역별 금빛숲모기의 차오양바이러스 감염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MIR (최소감염률) 0.32, MLE (최대우도법) 0.33 (CI 0.23~0.46) 감염률을 보인 춘천시였다. 그 뒤로 횡성군 MIR 0.30, MLE 0.30 (CI 0.16~0.52)과 강릉시 MIR 0.21, MLE 0.21 (CI 0.13~0.31)순이었다. 월별 금빛숲모기의 차오양바이러스 감염률은 10월에 MIR 0.38, MLE 0.38 (CI 0.07~1.25)로 가장 높은 감염률을 나타내었다.

소나무뿔나무좀(Orthotomicus angulatus) (딱정벌레목 : 나무좀과)에서 발견된 천적선충 신종과 기생율 (Parasitylenchus orthotomici sp. n. (Tylenchida: Allantonematidae) from Orthotomicus angulatus (Coleoptera: Scolytidae), with Note on Parasitism)

  • 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
    • /
    • 1989
  • 나무좀인 Orthotomicus angulatus에서 천적기생선충인 Parasitylenchus orthotomici가 신종으로 기술되었으며, 적송에서 채집된 170마리의 표본에서 51.8%가 선충에 기생되어 있었다. 한 마리의 나무좀에서 발견된 선충수는 1~97마리였다. {TEX}$F_{1}${/TEX}세대의 기생율도 43.2%~52%로 높았으며 양지쪽과 음지쪽의 서식나무간좀에는 기생율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 PDF

당근혹선충이 고추와 토마토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ot-knot Nematode, Meliodogyne hapla, on Growth and Yield of Pepper and Tomato)

  • 조현제;한상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20
    • /
    • 1983
  • 당근혹선충의 피해 정도와 경제적 피해 수준을 결정하고자 폿트 시험으로 실시한 결과 선충 접종 8주후까지는 고추, 토마토 모두 생육에 차이가 없었으나 12주 이후 주당 10,000마리 이상 접종구에서는 현저하게 떨어졌고 저밀도 접종일 때 생장 촉진 효과는 작물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선충 접종 밀도와 고추, 토마토 수량과의 관계는 주당 7,500마리 이하 접종에서는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나 10,000마리 이상에서는 고추 $15\%$, 토마토 $14\%$ 이상 감수되었다.

  • PDF

긴이형흡충과 여러 종의 장흡충에 혼합감염된 인체감염 1례 (One human case of natural infection by Heterophyopsis continua and three other species of intestinal trematodes)

  • 홍성종;정창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1호
    • /
    • pp.87-90
    • /
    • 1996
  • 긴이형흡충(Heterophyopsis continua)에 의한 인체감염 1례를 보고한다. 이 사람은 53세 남자로 경상남도 진주시에 거주하였으며 수년 동안 반염수어와 민물고기를 즐겨 생식했다고 하였다. 대변 겁사에서 간흡충 요코가와흡충. 극구흡충의 충란이 검출되어 이 사람에게 praziquantel을 투여하였다. 치료 후 설사변에서 긴이형흡충 2마리, 유해이형흡충 12마리, 요코가와흡충 2,329마리와 호르텐스극구흡충 2따리를 수집하였다. 이 사람의 임상증상은 소화불량 상복부불쾌감, 식욕부진, 피로감 등이었다. 이 증상은 소수의 긴이형흡충, 유해이형흡충과 호르텐스극구흡충 감염보다는 많은 수의 요코가와흡충 감염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 증례는 문헌상 긴이형흡충 인체감염례의 국내 제3례에 해당된다.

  • PDF

진돗개에서 발생한 부루셀라병 (Canine Brucellosis in the Jindo)

  • 장지훈;이정치;이채용;김상기;이정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21-326
    • /
    • 2000
  • 전라남도 진도군 내에서 사육되는 진돗개에서 발생한 유산의 일부가 Brucell canis 에 의하여 유발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1997년 7월에서 1998년 6월 사이에 발생한 진돗개의 유산을 설문조사로 확인하였던 바 발생률이 18.5%에 달했다. 이어서 설문조사에 포함된 지역에서 사육되는 진돗개를 대상으로 신시한 혈청학적 조사에서는 25%가 양성을 보였으며, 수캐의 양성률은 암캐의 거의 두 배에 달했다. 다음으로 균 분리와 치료시험을 실시하기 위하여 유산 병력을 기치고 있으면서 혈청검사에서 양성을 나타낸 암캐 다섯 마리를 현지에서 구입하였다. 그 중 세 마리는 안락사 시킨 후 부검하여 자궁을 검사하고 균 분리를 시도한 바 세 미리 모두에서 B. canis가 분리되었다. 그러나 육안적 및 조직학적 변화 는 현저하지 않았다. 나머지 두 마리는 minocycline과 streptolmycin으로 치료하였는데, 치료를 끝낸 후 8주에 실시한 혈청검사에서 음성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개 부루셀라병이 진돗개를 사육하는 농가에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음을 나타내준다. 아울러 대부분의 진돗개가 방사되고 있으며, 그렇게 사육된 개들이 전국적으로 팔려나가고 있기 때문에 진돗개가 개 부루셀리병의 전파원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나타내준다 천연기념물인 진돗개의 보 호와 농가의 소득 그리고 공중위생학적인 면에서 진품개의 부루셀라병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반려동물 비문 인식을 위한 특징점 지역 기술자 연구 (A study on the Feature Local Descriptor for Recognition of Pet's Nose-print)

  • 김형오;홍상범;홍창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56-557
    • /
    • 2018
  • 전국 350여개의 보호소는 매년 약 10만 마리의 유기동물이 거쳐간다. 입양희망자에게 입양되지 않으면 보호소에 들어온 지 20일만에 4마리 중 1마리 꼴로 안락사를 당한다. 따라서 유기동물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손쉽게 반려동물을 등록하고 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비문 등록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람의 지문처럼 반려동물을 식별할 수 있는 비문을 통한 인식 기술을 개발 하기 위해 비문 영상에서 특징점을 기술 할 수 있는 지역 기술자에 대해 제안 했으며 시물레이션을 통해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 PDF

뱀장어 유어(Anguilla anguilla)에 있어서 말라카이트 그린의 잔류성

  • Bergwerff, Aldert A.;Kuiper, Raoul V.;Scherpenisse, Peter
    • 한국양식
    • /
    • 제19권1호
    • /
    • pp.43-51
    • /
    • 2007
  • 말라카이트그린(MG) 및 L-말라카이트그린(LMG)의 소멸은 뱀장어 Anguilla anguilla 유생에서 100일정도 걸린다. 실뱀장어(평균체중: 4.1 g)가 $23.0-26.5^{\circ}C$의 다양한 수온범위에 24시간동안 아주 낮은 농도(0.1 mg/l MG)에 약욕을 실시하였다. 처리한 후 실뱀장어는 말라카이트그린이 없는 깨끗한 물이 들어 있는 수조로 옮겼다. 뱀장어가 수용된 수조에는 순환여과 된 사육수를 공급하였다.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집된 10마리의 뱀장어 및 사육수의 샘플은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으로 분석하였다. 말라카이트그린의 가장 높은 농도는 $435{\pm}59\;{\mu}g/kg(mean{\pm}S.D.)$로서 처리시작 후 6시간에서 나타났다. L-말라카이트그린(LMG) 대사물의 농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100\;{\mu}g/kg$), 처리시작 후 6시간 및 처리종료 후 1500시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나타났고 최대농도는 $831{\pm}231\;{\mu}g/kg$이었다. 비록 뱀장어는 체중이 증가하지는 않았지만 노출 후 24시간 후에도 L-말라카이트그린(LMG)은 여전히 전어체 kg당 $15{\pm}12\;{\mu}g/kg$ 함량이 존재하였다. 말라카이트 그린은 처리 이후 1920 및 2400시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생물적 여과사육수와 순환여과시스템에서는 말라카이트그린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부가적으로 빠르게 성장하여 11개월 된 뱀장어 두 마리를 샘플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두 마리의 뱀장어는 실뱀장어기(0.3g)일 때 $0.15\;mg\;l^{-1}$ 농도의 말라카이트그린이 처리되었었다. 뱀장어의 근육조직에서는 지질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광도계분석에 의해 말라카이트그린과 L-말라카이트그린이 측정 가능한 양으로 함유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0.2\;{\mu}g\;kg^{-1}$).

  • PDF

하절기 사육수온 및 밀도가 터봇 Scophthalmus maximus 미성어의 성장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Temperature and Culture Density on Growth and Survival of Juvenile Turbot Scophthalmus maximus during Summer Season)

  • 이배익;남명모;변순규;김이청;이종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65-271
    • /
    • 2008
  • 유럽과 중국에서 양식 대상종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터봇 Scophthalmus maximus의 하계 국내 사육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사육수온과 밀도에 대한 성장 특성을 비교하였다. 수온별 실험 결과 성장은 $20^{\circ}C$에서 가장 빨랐으며, 생존율은 $20^{\circ}C$$23^{\circ}C$ 모두 98.4%, 비만도는 $3.96{\sim}4.14$, 사료계수는 $0.84{\sim}0.89$로 차이가 없어 $23^{\circ}C$에서도 사육이 양호하였다. 수온 $26^{\circ}C$에서는 20일까지 일간성장률이 양호하였으며 50일 이후 폐사개체가 증가하여 60일에는 60.9%를 나타내었다. $29^{\circ}C$에서는 실험시작 7일 후에 전개체가 폐사되었다. 밀도별 사육실험 결과 생존율은 200마리/$m^2$ 실험구가 99.4%, 160 마리/ 실험구가 100%, 120 마리/실험구가 97.9%, 80 마리/$m^2$ 실험구가 98.4%로 각 실험구 모두 양호한 생존율을 보였다. 사육실험 결과 200 마리/$m^2$ 실험구는 다른 저밀도 실험 실험구와 비만도, 일간성장률, 사료계수의 차이가 없었고, 최종사육밀도는 $10\;kg/m^2$로 넙치보다 고밀도로 사육이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하절기에 $25^{\circ}C$ 이상의 수온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울진 이북 동해안 지역은 터봇을 사육하는데 적합한 수온 조건을 지니고 있으며, 수온 $26^{\circ}C$가 20일 이내인 지역이라면 터봇 종묘를 양성하는데 지장이 없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헤어리베치 재배과원에서 해충과 천적의 발생 (Occurrence of Insect Pests and Natural Enemies in Pear Orchard with Hairy Vetch)

  • 최용석;황인수;박덕기;최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48-453
    • /
    • 2013
  • 배 과원에 심겨진 헤어리베치가 배의 주요해충인 4종 나방류(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사과무늬잎말이나방, 애모무늬잎말이나방), 조팝나무진딧물 및 점박이응애의 발생과 천적인 기생봉류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헤어리베치가 심겨진 배 과원과 바랭이가 주요 초종인 일반과원에서 4종 나방류의 발생에는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조팝나무진딧물은 6월 20일 헤어리베치구에서 신초 당 95마리가 1회 확인되었을 뿐 전체적으로 발생되지 않았다. 배 잎의 점박이응애 밀도는 헤어리베치가 심겨진 배 과원에서 월등히 낮았다. 2012년과 2013년에 조사된 기생봉류의 발생은 헤어리베치의 개화시기에 각각 398마리와 798마리로 일반초생구의 9마리와 22마리보다 월등히 높았고, 하고시기에도 헤어리베치구가 114, 172마리로 일반초생구 8, 5마리보다 월등히 많았다. 헤어리베치는 4종 나방류, 조팝나무진딧물, 점박이응애 발생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오히려 천적인 기생봉류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배 과원의 피복 및 녹비작물로써 이용가능성이 높으므로, 천적에 저독성 농약선발을 통해 농약방제 체계를 개선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해충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상추를 먹이로 공급할 때 싸리수염진딧물 성충의 수명과 생명표 (Longevity and Life Table of the Foxglove Aphid (Aulacorthum solani K.) Adults on Lettuce (Lactuca sativa L.))

  • 이상계;김형환;김태흥;박길준;김광호;김지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65-368
    • /
    • 2008
  • 싸리수염진딧물(Aulacorthum solani Kaltenbach)의 성충 수명과 산자수를 $12.5{\sim}25^{\circ}C$, 상대습도 $60{\sim}70%$, 광주기 16L:8D 조건에서 조사하여 생명표를 작성하였다. 싸리수염진딧물 성충은 $12.5{\sim}25^{\circ}C$에서의 수명이 $34.3{\sim}10.5$일로 온도의 상승에 따라 성충기간이 짧아졌다. 산자수는 $15^{\circ}C$에서 74.1마리로 최고치를 보였으며, $15{\sim}25^{\circ}C$에서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산자수가 감소하였으나, $12.5^{\circ}C$에서는 47.0마리로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산자수가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싸리수염진딧물 성충의 일일 산자수는 $20^{\circ}C$에서 2.9마리였고, $12.5^{\circ}C$에서 1.4마리와 $30^{\circ}C$에서 1.3마리로 온도가 높거나 낮아지면 일일산자수가 적어졌다. 싸리수염진딧물 약충 발육시 사망률과 성충 수명, 산자수를 이용하여 생명표를 작성하였는데 싸리수염진딧물은 순증가율(Ro)이 $15^{\circ}C$에서 58.7, 내적자연증가율($r_m$)은 $20^{\circ}C$에서 0.27, 기간증가율(${\lambda}$)은 $20^{\circ}C$에서 1.32이었으며, 배수기간(Dt)은 $20^{\circ}C$에서 2.52, 세대기간(T)은 $22.5^{\circ}C$에서 10.99로 가장 짧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