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마르텐사이트

Search Result 22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ffects of carbon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sliding wear resistance in austenitic Fe-10Cr-10Ni-xC alloys

  • Sin, Gyeong-Su;Kim, Seon-Ji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11a
    • /
    • pp.35.1-35.1
    • /
    • 2009
  • 오스테나이트계 Fe-10Cr-10Ni-xC(x=0.2, 0.5, 0.6and 0.7wt.%)합금에서 변형유기마르텐사이트상변태가 Sliding 마모저항성에 미치는영향을 탄소 및 온도에 따라 조사하였다. 변형유기마르텐사이트상변태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석출물적고 grain의 크기가 비슷한 합금내에서 조사하였다. 변형유기마르텐사이트상변태가 일어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변형률-응력 곡선을 통해 구할 수 있으며, 이를 임계변형에너지라 규명했다. 그 결과, 상온에서 Carbon 함량에 따라 변형유기마르텐사이트상변태가 일어나는데 필요한 임계변형에너지는 증가하였으며, Sliding 마모저항성은 저하되었다. 이는 carbon이 오스테나이트 안정화원소(austenite stabilityelement)이므로 carbon 함량이 증가할수록 변형유기마르텐사이트상변태가 유발하기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low C에 비해 high C의 마모저항성이 저하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변형유기마르텐사이트상변태가 고온 Sliding 마모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Fe-Cr-Ni-xC(x=0.2, 0.5, 0.6 and 0.7wt.%)합금을 온도별(25, 100, $300^{\circ}C$)로 조사하였다.

  • PDF

The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Martensitic Transformation Temperature of Shape Memory Alloy (형상기억합금의 열처리가 마르텐사이트 변태 온도에 미치는 영향)

  • Park, Seong-Geun;Yu, Byeong-Gil;Jin, Gwang-Su;Kim, Gi-Wan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7 no.7
    • /
    • pp.571-575
    • /
    • 1997
  • 급냉온도에 따른 전기 저항 측정으로 Cu-17, 25Zn-15AI 및 Cu-17.25Zn-15AI-1Ag형상기억합금의 열처리에 의한 마르텐사이트 변태온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DSC 측정으로 고온 모상에서의 상전이 온도롸 종류를 구별하였고 XRD측정으로 구조 변화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열처리에 의한 온도 변화의 원인을 연구하였17.25Zn-15AI 합금에서 고온 모상의 규칙-불규칙 전이온도인 $T_{2}$, $T_{L21}$은 각각 809K와 610K였다. CuZnAI의 경우 $T_{2}$근방에서의 급냉은 마르텐사이트 변태온도를 높이지만 $T_{L21}$ 근방에서의 급냉은 마르텐사이트 변태온도를 낮춘다. 실험결과 열처리에 따른 상전이온도 변화의 원인은 석출물의 형성이라기 보다는 급냉전의 모상의 구조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받는다.

  • PDF

The Martensitic Phase Transformation and Texture Development in Hadfield's Steels (Hadfield강에서의 마르텐사이트 상변태와 결정방위조직과의 관계 연구)

  • Kim, Taik-Nam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5 no.7
    • /
    • pp.858-868
    • /
    • 1995
  • Texture development and martensitic phase transformation, on rolling, are compared in two Hadfield's steels, one having low carbon content(0.65wt% C), the other high carbon content(1.35wt%). In spite of small difference in stacking fault energy(about 2 mJm$^{-2}$ ) between two Hadfield's steels, the differences in texture development are observed. In low carbon steel, the textures developed are similar to those of low stacking fault energy metals in low strain range. However, the abnormal textures such as {111} , {110} <001> are strongly developed at high strain, which are due to the disturbance of u martensite in the development of textures formed at the packets of shear bands or at the grain boundaries. In contrast to low carbon Hadfield's steel( LCHS), the texture development of high carbon Hadfield's steel(HCHS) is simitar to those of low stacking fault energy metals in the whole strain range.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 amount of deformation induced martensite was small, as observed by A.C. magnetic susceptibility and iron particle tests.

  • PDF

The Influence of Vanadium Addition on Fracture Behavior and Martensite Substructure in a Ni-36.5at.%Al Alloy (Ni-36.5at.%Al 합금에서 V 첨가가 파괴거동 및 마르텐사이트 내부조직에 미치는 영향)

  • Kim, Young Do;Choi, Ju;Wayman, C. Marvin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5 no.2
    • /
    • pp.203-211
    • /
    • 1992
  • Fracture behavior and martensite substructure of Ni-36.5at.%Al alloy were investigated with the addition of vanadium which is known as scavenging element of grain boundary. The fracture surfaces were exa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he EDX spectrometer was applied for composition analysis of fracture surfaces. The substructure of martensite was studi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By addition of vanadium, fracture surfaces show mixed modes of intergranular and transgranular fracture and more Al content is found on the grain boundaries. For Ni-36.5at.%Al alloy, the planar faults observed in the martensite plates are the internal twins. By increasing the vanadium content, the modulated structure with stacking faults and dislocations dominates while the twinned martensite disappears. The stacking fault is determined to be extrinsic due to the substitution of V for Al. It is concluded that the segregation of sulfur on the high-energy state stacking fault area suppresses the intergranular fracture.

  • PDF

11CrMoVNb 페라이트계 내열강의 크리프 파단 시간에 따른 미세조직의 변화

  • Lee, Gyu-Ho;Heo, Ju-Yeol;Jeong, U-Sang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5a
    • /
    • pp.57.2-57.2
    • /
    • 2011
  • MX 석출물 형성 원소인 V과 Nb을 첨가한 11Cr-1Mo-VNb 페라이트계 내열강의 각각의 시험 온도에서 파단 시간에 따른 미세조직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초기 조직은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갖고 있었으며, 고온 강도를 저하시키는 ${\delta}$-페라이트는 존재하지 않았다. 주 석출상은 $M_{23}C_6$와 MX로 확인되었다. 또한, 모든 크리프 파단재에서 응력을 받은 게이지 부분이 응력을 받지 않은 그립 부분보다 석출물 및 마르텐사이트 래스 폭의 성장이 가속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크리프 변형 중 응력 집중에 의해 래스 경계를 따라 전위가 집적되고, 이에 따른 용질원자의 확산 속도가 증가하여 석출물의 성장에 따른 래스 경계의 이동이 일어나 게이지 부분이 그립 부분보다 마르텐사이트 회복이 가속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저방사화 Fe-Cr-Mn계 스테인리스강의 미세 조직 특성 및 부식 저항성에 미치는 Mn 및 W의 영향

  • 이정훈;박용수;김영식;류우석;홍준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335-340
    • /
    • 1996
  • 핵융합로 제1벽 재료의 후보재로 고려되는 Fe-Cr-Mn계 스테인리스강을 진공 용해하여 이 합금의 미세 조직 및 기계적 성질 그리고 부식 특성에 미치는 Mn, W의 첨가 효과 및 소둔 열처리 온도의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미세 조직 분석은 광학 현미경 관찰, XRD분석 등으로 행하였으며, 기계적 시험으로는 상온 인장 시험, 경도 시험 및 충격 시험을 행하였다. 그리고 부식 시험으로는 부식 환경을 염산과 황산으로 나누어 각 환경에서의 양극 분극 시험을 행하였다. Mn함량이 증가할수록 오스테나이트상이 증가하고 있으나, $\alpha$'마르텐사이트는 급격히 감소하는 대신$\varepsilon$마르텐사이트는 Mn함량이 20%일 때 최대간을 보인 뒤 감소하고 있다. Mn함량이 증가할 수록 또한 소둔 온도가 상승할수록 항복 강도, 인장 강도 및 경도는 감소하였으며 연신율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합금 중의 오스테나이트 및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함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합금 중의 Mn함량이 증가할수록 부식 환경에 관계없이 부식 저항성의 변화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W함량이 증가하면 환경에 관계없이 임계 전류 밀도를 감소시키나, 부동태 전류 밀도는 HCI환경에서는 감소시키고 H$_2$SO$_4$환경에서는 오히려 증가시키는 상반된 효과가 나타났다.

  • PDF

Turning Characteristics of Martensitic Heat Resisting Steel (마르텐사이트계 내열강의 선삭 가동 특성에 관한 연구)

  • 채왕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chine Tool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0a
    • /
    • pp.171-176
    • /
    • 1997
  • In this paper, We have analyzed dynamic characteristics of cutting force. Test materials are used martensitic heat resisting steel, STS420J2.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Cutting force is smaller make small feed when feed speed make a change. 2. Principal cutting force is smaller make small cutting speed when feed speed make a change.

  • PDF

Ti-50.lat.% Ni 합금의 변태거동에 미치는 시효처리의 영향

  • 박성범;류부형;우흥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07-112
    • /
    • 2003
  •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SMA)은 소성가공을 통하여 원하는 형태로 변형시킨 이후에도(현재로서는 최대 10%미만의 변형) 일정조건의 열을 가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합금을 말한다. 형상기억효과는 고상(solid state)에서의 금속조직이 오스테나이트(austenite: 이하 A 또는 B2상)로부터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이하 M 또는 B19'상)로, 다시 역으로 마르텐사이트에서 오스테나이트로의 변태에 기인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이러한 변태는 온도유기변태(temperature induced transformation)와 응력유기변태(stress induced transformation)로 분류할 수 있다.(중략)

  • PDF

Heating Process for Electrolytic Plasma Technology (수중플라즈마의 열처리 공정)

  • Kim, Jong-Ryul;Lee, Wan-Ho;Kim, Sang-Gwon;Kim, Seo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5a
    • /
    • pp.233-233
    • /
    • 2009
  • 기존 표면열처리기술에 단점인 대면적, 신속열처리를 위해 수중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하여 표면경화와 경화 깊이층 제어를 실시였다. 수중플라즈마의 전원장치에 전압과 주기적인 전압과 시간을 달리하여 각각의 시편의 경도변화와 미세조직변화를 관찰하였다. 300V이상의 전압에서는 마르텐사이트가 관찰되었으며, 300V이하에서는 초석페라이트와 펄라이트가 혼합된상의 구조를 관찰할 수 있었다. 주기적인 전압과 시간을 달리하여 표면에서부터 $300{\mu}m$ 깊이만의 마르텐사이트로 형성시켜 경화 깊이층 제어가 가능하였다.

  • PDF

형상기억합금의 결정구조가 인장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여동진;윤성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93-93
    • /
    • 2004
  • 형상기억합금은 2원 또는 3원 합금에 의해 외력과 온도 변화에 따라 오스테나이트 상과 마르텐사이트 상으로의 상변환을 유발한다. 이와 같은 형상기억합금은 두 가지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최근에는 의학용 기구나 소형 액츄에이트 및 여러 분야에서 적용되어지고 있다. 이때 형상기억합금의 고유한 특성은 모상인 오스테나이트 상의 형상을 기억하여 외력에 의해 마르텐사이트 상으로 변형된 후에도 오스테나이트 종료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게 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형상기억 효과와 오스테나이트 종료온도 이상에서 넓은 탄성 영역을 가지는 초탄성 효과 등이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