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로즈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2초

cis-Diamminedichloroplatinum(II)에 의한 pBR322 DNA의 변성과 구조 변화 (cis-Diamminedichloroplatinum (II) induces denaturation and conformational changes in pBR322 DNA)

  • 구자춘;임창수;한태룡;양재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4호
    • /
    • pp.343-348
    • /
    • 1990
  • CDDP를 처리한 pBR322 DNA로 형질변환된 대장균 LE392를 ampicillin이 포함된 한천평판배지위에 도말시켰다. Ampicillin을 함유하고 있는 평판배지위에 형성된 집락수는 13.3 ${\mu}M$의 CDDP를 처리한 뒤에는 검출되지 않을 정도로 감소하였다. CDDP를 처리한 pBR322 DNA는 외가닥 DNA에 특이성이 있는 S1 핵산분해호소에 의해 전달되었고 아가로즈 겔 전기영동상에서 이동 유형이 변했다. 이러한 결과에 의하면 CDDP가 pBR322 DNA에 반응하여 이증나선의 변성과 궁극적으로는 ampicillin 저항성 유전자를 불활성화시키는 구조변화를 일으키는 것 같다.

  • PDF

Guanidine기반 이산화탄소 건식 흡착제 합성 및 흡착 특성 (Synthesis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Guanidine-based CO2 Adsorbent)

  • 로즈말디 파시아;표성원;고영수
    • 공업화학
    • /
    • 제28권4호
    • /
    • pp.473-47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guanidine화합물인 1,5,7-triazabicyclo[4.4.0]dec-5-ene (TBD)를 세 종류의 실리카 기공에 함침하여 $CO_2$ 흡착제를 제조하고 $CO_2$ 흡착성능과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때 실리카 내 TBD 함침량을 변화시켜 흡착능과 흡착제 특성도 살펴보았다. TBD를 함침시킨 담체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질소 흡/탈착 실험, FT-IR, 원소분석, 열중량분석을 이용하였다. TBD를 담체에 함침시킨 전후를 비교하면 표면적과 기공의 부피, 크기가 감소하고 함침시킨 TBD 몰 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폭은 증가하였다. $CO_2$ 흡착능은 TBD 6 mmol/g일 때 7.3 wt%로 가장 높았으며 그 이상 TBD의 함침 몰 수가 증가하면 블로킹 현상 등으로 흡착능이 감소하였다.

상이동 촉매 기법(phase transfer catalyst)을 이용한 rose bengal 시약의 최적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Composition of Rose Bengal Reagent using Phase Transfer Catalyst)

  • 오수진;차원진;최다운;홍성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45-252
    • /
    • 2018
  • 상이동 촉매기법을 기반으로 한 rose bengal 시약은 중성이나 염기성 용액에서 녹지 않는 난용성 염을 형성하는 칼슘을 타겟팅하는 시약으로, 물에 젖은 검체에서 잠재지문 현출시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어 최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 선행연구에서는 rose bengal 시약으로 현출된 지문의 형광 특성을 관찰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제시된 시약의 제조법 또한 최적 현출 조건인지 검토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rose bengal 염료의 최대방출형광을 바탕으로 rose bengal염료와 상이동촉매제(Tetrabutylammonium)의 농도를 달리하여 최적의 시약 조성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rose bengal과 상이동촉매제의 농도가 각 0.01 M: 0.008 M일 때 가장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꼬시래기 유래 아가로즈와 블루베리 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용 에멀젼 개발 (Development of Cosmetic Emulsion Using Blueberry Fruit Extract and Agarose from Gracilaria verrucosa)

  • 최문희;김용운;김미숙;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256-262
    • /
    • 2016
  • The need for natural cosmetic ingredients has been increasing over the world nowadays. Agarose, a natural polymer from red seaweeds, has high hydrophilic character and a function of scaffolder. As skin moisturizer, agarose is adequate for percutaneous absorption. While, blueberry fruits extract possesses rich procyanidins and anthocyanins which show health benefits, anti-oxidant effect, anti-aging and anti-melanogenesis. Stability, sensory preference, skin trouble of the emulsion formula are important for cosmetic product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manufactured an emulsion formula for skin moisturizers using the two ingredients and tested emulsion stability and skin trouble. Total phenolic contents of the blueberry fruits extract were evaluated as well as tyrosinase inhibitory and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ies. $IC_{50}$ values of blueberry fruits extract for anti-tyrosinase and anti-collagenase activities were 168 and $112{\mu}g/mL$, respectively using gallic acid as a control ($64.8{\mu}g/mL$). The stability (pH and viscosity) of the formula containing 2% blueberry fruits extracts and 0.1% agarose was measured at five different temperatures (room temp., $25^{\circ}C$, $55^{\circ}C$, $45^{\circ}C$, $55^{\circ}C$) under the sun light at 2 day intervals for 12 days. There has been little pH change at the different temperatures. According to the sensory evalu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flavor, discoloration and physical changes of the formula at $25-65^{\circ}C$.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ulsion formula containing blueberry extract and agarose could be used as a candidate for lotion and essence products.

패션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패션 전시에 관한 연구 -2012 노라 노 <라 비 엥 로즈>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Fashion Exhibition as Fashion Communication Media -Focus on the 2012 Nora Noh La Vie en Rose Exhibition-)

  • 한수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966-978
    • /
    • 2012
  • Fashion exhibitions in museums and galleries is a form of fashion communication media. This thesis examines the messages, objects, and space of fashion exhibitions as fashion communication media as well as analyzes the method of fashion communication. This thesis first provides a theoretical study on fashion exhibition and conducts a case study of the 2012 Nora Noh Retro Exhibition La Vie en Rose (2012/5/23-6/2, Horim GNB Gallery, Seoul), dedicated to the first Korean female fashion designer. The message of the exhibition was the fashion philosophy and the fashion style of the designer as well as the intention of the curator. The objects presented were the dresses kept by the loyal customers of the brand, and the homage items by designers of present generation. The space designs of the exhibition were the layout and total coordination of the opening event. The methods of fashion communication for the fashion exhibition, in the case of the La Vie en Rose exhibition, were communicated (1)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2) from designers to celebrities and (3) from the designer to the celebrity and the viewer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 designer's style throughout the 60 years of her fashion career is conveyed to the present generation fashion people, in the form of homage designs and collaboration works. From designers to celebrities, her fashion philosophy was delivered in the form of movie and stage costumes. Some present generation celebrities tried reinterpretations of the garment. From the designer to the celebrity and the viewers of the exhibition, the intention of the curator and the designer were individualized and internalized by the viewers.

수용성 식물 색소 추출 및 판별에 관한 간편한 방법 (Convenient Methods for the Extraction and Discrimination of Water-Soluble Plant Pigments)

  • 정상호;변영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353-360
    • /
    • 2009
  • 식품이나 음료 첨가제로 사용하는 착색제는 소비자가 가공된 식품을 믿고 인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로 꼽을 수 있다. 예전에 식품에 안전하다고 다량 사용되었던 인공 착색제나 염료들의 종류는 근래 독성학적 연구 결과 유해하다고 판정되어 그 수가 급격히 줄고 있다. 따라서 안토시아닌이나 베타시아닌과 같이 안전한 천연 색소는 항암성과 항산화성을 갖고 있기에 그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용성 식물 색소인 안토시아닌과 베타시아닌을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 에테르 및 클로로포름과 같은 몇 가지 유기용매로 간단히 추출할 수 있었다. 또한, 추출한 이 두 가지 주된 식물 색소는 citrate buffer (pH 3.0)를 이용한 아가로즈 겔 전기영동법 하나만으로 간편하고 빠른 시간 내에 전개하여 서로를 구분할 수 있었다.

베질 등을 이용한 복합 향기요법이 중년 여성의 두통, 불안 및 혈중 코티졸에 미치는 효과: 베질(ocimum basilicum),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및 로즈(rosa damascena, rosa centifolia)를 복합사용 (Effects of Aromatherapy in blending oil of Basil, Lavender, Rosemary, and Rose on Headache, Anxiety and Serum Cortisol level in the Middle-Aged Women)

  • 차정희;김명자;김희승;김영인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2권3호
    • /
    • pp.133-139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romatherapy on headache, anxiety, and serum cortisol level in middle-aged women with recurrent headaches. Methods: Nineteen patie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and 21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They were randomly selected volunteers whose average headache score over 6 months with above 4 points on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romatherapy for 5 days; inhalation (3 times per day) and an application on the neck and both shoulders (one time per day). Prior and post treatment scores in headache, anxiety, and measurement of serum cortisol in experimental group were measured. Then, these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headache score was measured by VAS; anxiety score was measured by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serum cortisol was measured by Radio-Immune-Assay method. Results: Decrease in headache, anxiety, and serum cortisol level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great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It confirmed aroma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headache, anxiety, and serum cortisol level.

허브 추출물의 항응고 활성 검색 (Screening of Anticoagulant Activities in Extracts from Edible Herbs)

  • 신동훈;이종임;이현순;전우진;유광원;홍범식;조홍연;양한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35-341
    • /
    • 2000
  • 허브를 비롯한 식용되는 채소류로부터 항응고 활성을 검색하기 위하여 93종을 대상으로 냉수(Fr. I), 메탄올(Fr. ll), 열수(Fr. lll)추출물을 각각 조제하였다. 내인성 경로에 작용하는 항응고 활성은 수용성 획분인 Fr. I과 Fr.lll를 대상으로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APTT)으로 검색한 결과 양파, 마늘, 정향, 쑥, 울금 등이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외인성 경로와 공통경로에 작용하는 항응고 활성은 저분자임을 감안하여 Fr. I과 Fr. II를 대상으로 각각 prothrombin time(PT) 과 thrombin time(TT)으로 검색한 결과 민트, 이탈리안 시즈닝, 로즈메리, 타라곤, 울금, 백리향, 와사비는 공통경로에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였으나 외인성 경로에 단독으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는 시료는 없었다. 1, 2차 검색 결과 가장 높은 항응고 활성을 보인 정향(Eugenia caryophyllate, clove)을 대상으로 산지를 달리하여 항응고 활성을 검색한 결과 홀랜드산 정향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 PDF

전도성 고분자-리그닌 복합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onducting Polymer-Lignin Composite)

  • 배준원
    • 공업화학
    • /
    • 제33권2호
    • /
    • pp.210-215
    • /
    • 2022
  • 표면의 전하 특성이 다른 두 가지 리그닌을 사용하여 이전 연구에서 제시된 간단한 방법인 용액상 화학적 중합을 이용하여 폴리피롤@리그닌(PPy@lignin) 및 폴리피롤@리그노설포네이트(PPy@lignosulfonate)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폴리피롤은 두 가지 리그닌 표면에서 각각 성공적으로 중합되었으며, 얻어진 복합소재들은 주사전자현미경, 순환전압 전류법, 임피던스(impedance) 분석법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리그닌의 종류가 달라도 복합재료들은 성공적으로 제조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전기적 특성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개별 리그닌의 표면 특성 차이로 나타나는 물성 차이가 존재함을 임피던스 분석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나아가, 두 가지 복합소재들을 아가로즈(agarose) 젤(gel)에 투입하여 전도성 젤을 형성하고 이 젤들의 특성들을 역시 순환전압전류법으로 살펴보았으며,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제시하였다. 리그닌의 전기절연성에도 불구하고 전도성 젤이 전기전도도를 포함한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전도성 젤의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그린 어메너티의 공간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2016년~2018년 메종 & 오브제(Masion & Objet) 세계 박람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Space Design of Green Amenity)

  • 홍윤주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0호
    • /
    • pp.45-61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공간을 이루는 모든 것을 보여주는 '메종 & 오브제' 전시회의 최근 경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그린어메너티'가 적용된 사례를 찾아보았다. 형태적 측면에서 미니멀한 공간을 곡선의 형태로 채웠고 점차 자연을 재현하는 디자인이 제작되었다. 점차 새롭게 맥시멀리즘이 대두되어 디자인에 장식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공예적인 제품이 많이 나타났다. 재료적 측면에서는 자연주의 감성이 대세로 자연적인 목재소재가 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재료는 다양한 이질재료와 결합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완성하며 자연적 요소를 공간 안에 형상화하였다. 색채적 측면에서는 2016년은 테마가 '와일드 (Wild)'로 야생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볼 수 있었다. 나무의 갈색과 초록색을 중심으로 자연의 다채로운 색채를 보여주었다. 2017년의 '사일런스 (Silence)'는 핑크 컬러의 특징이 돋보인다. 또한 따뜻한 느낌의 적갈색 계열의 가구가 제작되었다. 예전엔 황동이나 로즈 골드가 유행이었다면 2017년은 골드나 실버 색상의 제품이 더 대세를 보였다. 2018년은 '쇼룸(Show-Room)'이 테마로 대표 색채는 초록색으로 노랑, 분홍과 함께 새롭게 디자인에 영향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