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로봇 시뮬레이션

Search Result 64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Vehicle Route Scheduling with Advance Delivery Requests in a Distribution Center Based on Robot Palletizing Vehicle (자동물류센터의 최적운송예약 운영계획모델)

  • 황흥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8.10a
    • /
    • pp.41-45
    • /
    • 1998
  • 본 연구는 자동물류센터에서 수요자들에게 운송하기 위한 제공품의 Order-Picking을 위한 로봇장착 적하장비를 이용할 경우의 최적 운송예약계획 수립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의 연구이다. 로봇장착 적하장비Order-Picking을 할 경우의 물류흐름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시스템의 성능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최적 운송예약시스템의 운영계획을 수립하였다. 운송예약으로부터 운송량, 운반-도착지점 및 요구시산 등의 정보를 On-Line System으로 예약 받고 운송회사의 운송능력 등을 고려하여 최적운송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한 전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Sample 예제의 결과를 보였다.

  • PDF

Design and Simulation of Small Bio-Inspired Jumping Robot (생체모방 소형 점핑로봇의 설계 및 시뮬레이션)

  • Ho, Thanhtam;Choi, Sung-Hac;Lee, Sang-Yo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4 no.9
    • /
    • pp.1145-1151
    • /
    • 2010
  •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design and simulation of a jumping-robot mechanism that is actuated by SMA (shape memory alloy) wires. We propose a jumping-robot mechanism; the structure of the robot is inspired by the musculoskeletal system of vertebrates, including humans. Each robot leg consists of three parts (a thigh, shank, and foot) and three kinds of muscles (gluteus maximus, rectus femoris, and gastrocnemius). The jumping capability of the robot model was tested by means of computer simulations, and it was found that the robot can jump to about four times its own height. This robot model was also compared with another model with a simpler structure, and the performance of the former, which was based on the biomimetic design, was 3.3 times better than that of the latter in terms of the jumping height. The simulation results also verified that SMA wires can be suitable actuators for small jumping robots.

Verification of Modified Flocking Algorithm for Group Robot Control (집단 로봇 제어를 위한 수정된 플로킹 알고리즘의 시뮬레이션 검증)

  • Lee, Eun-Bok;Shin, Suk-Hoon;You, Yong-Jun;Chi, Sung-Do;Kim, Jae-Ic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8 no.4
    • /
    • pp.49-58
    • /
    • 2009
  • Top-down approach in the intelligent robot research has focused on the single object intelligence however, it has two weaknesses. One is that has a high cost and a long spending time of sensing, calculating and communications. The other is the difficulty of responding to react changes in the unpredictable environment. we propose the collective intelligence algorithm based on Bottom-up approach for improving these weaknesses and the applied agent model and verify by simulation. The Modified Flocking Algorithm proposed in this research is the algorithm which is modified version of the concept of the Flocking (Craig Reynolds) which is used to model the flocks, herds, and schools in the graphics or games, and simplified the operation of conventional Flocking algorithm to make it easy to apply for the number of group robots. We modeled the Boid agent and verified possibility collectivization of the Modified Flocking Algorithm by simulation. And We validated by the actual multiple mobile robot experiment.

Behavior strategies of Soccer Robot using Classifier System (분류자 시스템을 이용한 축구 로봇의 행동 전략)

  • Sim, Kwee-Bo;Kim, Ji-Yo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2 no.4
    • /
    • pp.289-293
    • /
    • 2002
  • Learning Classifier System (LCS) finds a new rule set using genetic algorithm (GA). In this paper, The Zeroth Level Classifier System (ZCS) is applied to evolving the strategy of a robot soccer simulation game (SimuroSot), which is a state varying dynamical system changed over time, as GBML (Genetic Based Machine Learning) and we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cheme through the simulation of robot soccer.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imulation Language for Robot Simulation (로봇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뮬레이션 언어 설계 및 구현)

  • Kim, Jong-Chul;Kim, Jae-Wook;Ryu, Ki-Yeol;Lee, Jung-Tae;Borm, Jin-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595-599
    • /
    • 2006
  • 신속한 생산 대응력을 가지기 위해 산업 현장 여러 곳에서 로봇을 도입하고 있는 상황에서 로봇의 설치와 변경의 비용이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 상에서 가상 작업장을 구축하고 시뮬레이션을 하면서 여러 검증을 해 볼 수 있는 OLP(Off-Line Programming) 방식이 많이 쓰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OLP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뮬레이션 언어를 설계하고, 이 언어의 컴파일러를 구현했다. 또한, 컴파일의 결과물을 실행할 수 있는 가상머신을 구현했다.

  • PDF

A Study about a simulation system for software components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robot (지능형 로봇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연구)

  • Nam, Sang-Yep;Lee, Hyo-Young;Kim, Ju-Won;Kim, Suk-Jo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361-362
    • /
    • 2008
  • 본 논문은 지능형 로봇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개발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위한 개발 환경을 구현하고자 한다. 개발 환경 설계는 지능형 로봇 시스템에 적합한 컨포넌트를 전문지식 없이도 쉽고 편리하게 작성하고 작성된 컴포넌트의 서비스를 빠르고 쉽게 검증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PDF

Study on Measurement of Wafer Processing Throughput and Sequence Simulation of SWP(Single Wafer Process) Cleaning Equipment (매엽식 세정장비의 동작순서 시뮬레이션 및 웨이퍼 처리량 측정에 관한 연구)

  • Sun, Bok-Keun;Han, Kwang-Ro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2 no.5
    • /
    • pp.31-40
    • /
    • 2005
  • In this study, we study measurement of wafer processing throughput and sequence simulation of single wafer type for wafer cleaning equipments that were used for etching, cleaning and polishing of wafer. Based on finite state machine, simulation model was built with identification of robot's status according to scheduling algorithm. Moreover, through performance of simulation as above, throughput per hour of cleaning equipment was measured. By the simulation method that are proposed in this paper, we could measure the wafer throughput per hour according to recipe and robot motion speed, and find optimal recipe and moving sequence of robot that maximize the throughput.

Design of Simulation Supporting System for Robot Programming Education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시뮬레이션형 지원 시스템 설계)

  • Kim, Hyo-Jong;Yoo, In-H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1a
    • /
    • pp.245-250
    • /
    • 2008
  • 초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에서 새롭게 실시되는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해 로봇 프로그래밍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고조되고 있다. 교육용 로봇을 이용한 프로그래밍교육은 학습자가 로봇을 직접 제작하고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실행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프로그래밍의 원리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창의력과 문제해결력 신장에도 많은 도움을 준다. 이러한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아동의 발달 수준에 맞게 게임, 가상체험, 시뮬레이션 기법 등을 적용한 학습 지원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는 고가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기존의 인터넷 환경에서 접근하여 가상의 로봇을 통하여 재미있고 흥미롭게 프로그래밍기법 및 알고리즘에 대해 쉽게 원리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Comparison of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 for a Mobile Robot using a Simulation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이동 로봇의 충돌회피 알고리즘 비교)

  • Kim, Kwang-Jin;Ko, Nak-Yong;Park, Se-Se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7 no.1
    • /
    • pp.187-194
    • /
    • 2012
  • This paper compares two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s using a simulator. The collision avoidance is vital for autonomous navigation of a mobile robot. Artificial potential field method and elastic force method are major approaches for the collision avoidance. The two algorithms are compared in the respect of the time for motion completion and the length of the motion path. The simulator is developed based on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 and a differential drive mobile robot is used for the comparison.

An IM Driving Power Electronic System Simulation using DNT and Simulink (DNT와 Simulink를 이용한 유도전동기 구동용 전력전자 시스템 시뮬레이션)

  • Moon-Ho Kang
    •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 /
    • v.5 no.1
    • /
    • pp.25-32
    • /
    • 1999
  • 교류전동기 구동을 위한 산업용 전력전자 시스템은 전력회생용 양방향 컨버터, VVVF 인버터, 교류전동기 벡터제어기, 및 다양한 전기ㆍ기계적 연계 장치들을 포함하는 전기기계 복합시스템 특성을 지니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용이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시스템을 근사화시키고 이에 대한 수학적인 등가모델을 유도한 후 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행하고 있지만, 이 경우 실계통의 다이나믹특성을 정확히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변구조 제어기법에 의해 역률1 제어기능을 갖는 PWM 컨버터, VVVF 인버터 및 유도기 간접벡터제어기 둥을 포함하는 유도전동기 구동전력전자 시스템을 다이나믹 노드 기법(Dynamic Node Technique DNT)과 시뮬링크(Simulink)를 이용하여 실제회로 구성상태와 유사한 형태로 시뮬링크 윈도우상에서 설계하고, 이를 통해 시뮬레이션을 행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하여 전력전자 시스템의 특성과 제시된 다이나믹 노드 기법과 시뮬링크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기법의 유용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