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레이저 포인터 추적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velopment of Smart laser Pointer using Image Processing (영상처리를 이용한 스마트 레이저 포인터 개발)

  • Park, Yong-W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1 no.12
    • /
    • pp.1245-1250
    • /
    • 2016
  • In this study, smart laser pointer using image processing was studied. The laser pointer tracked the light by using image processing. and the tracking signal was received to the transmitting unit. Smart laser pointer received the video signal have function of erase, write convert window, and changing of font color. It was studied that the smart laser pointer system could run pointer and mouse function on the one place.

Development of Camera Controller with Pointer Tracking Unit (카메라 컨트롤러를 이용한 포인터 추적 장치 개발)

  • Lee, Yong-hwan;Ju, Hyun-woong;Song, Sung-hae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 no.3
    • /
    • pp.111-117
    • /
    • 2008
  • Presentation with a projector and a laser pointer is widely used in seminar or conference. The function of a laser pointer in the presentation is just indicating a certain object. In this paper, to give a mouse-like function to a laser pointer, we implement a system that locates the track of a laser pointer. The system contains a FPGA that implements camera interface and noise filter. A software for ARM processor is programmed to analyze the spectrum of the captured image and track the pattern of a laser pointer with previously stored image. As a result, the tracking system could locate the position correctly most of time within 20m with 98% accuracy.

  • PDF

Laser Pointer Tracking Using CamShift Algorithm (CamShift 알고리즘을 사용한 레이저 포인터 추적)

  • Ahn, Ho-Young;Park, Jong-Seung;Choi, Soon-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566-569
    • /
    • 2010
  • 레이저 포인터를 검출하는 과정은 포인터의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과 입력된 레이저 포인터의 좌표를 모니터의 좌표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의 추적에 있어서 다변하는 환경의 영향으로 강건성의 확보가 어렵다. 기존의 추적 방식인 Mean-Shift 알고리즘의 경우에는 계산량이 많아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동영상에는 부적합하다. 반면에 CamShift 알고리즘은 빠른 수행이 가능하여 비디오 영상 및 실시간 영상에 적용하기에 적합하고 배경 변화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또한 검출하려는 색과 같은 색에 의해서 간섭 받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배경이 복잡한 형태이거나 배경이 동적으로 움직일 때에도 강건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실환경에 적용한 결과 검출하고자 하는 물체가 예측 영역을 넘나들거나 또는 화면으로부터 지나치게 멀어지거나 가까워져서 상대적인 크기가 변화할 수 있는 불확실한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Context Driven Real-Time Laser Pointer Detection and Tracking (상황 기반의 실시간 레이저 포인터 검출과 추적)

  • Kang, Sung-Kwan;Chung, Kyung-Yong;Park, Yang-Jae;Lee, Jung-Hy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2
    • /
    • pp.211-216
    • /
    • 2012
  • There are two kinks of processes could detect the laser pointer. One is the process which detects the location of the pointer. the other one is a possibility of dividing with the process which converts the coordinate of the laser pointer which is input in coordinate of the monitor. The previous Mean-Shift algorithm is not appropriately for real-time video image to calculate many quantity.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context driven real-time laser pointer detection and tracking. The proposed method is a possibility of getting the result which is fixed from the situation which the background and the background which are complicated dynamically move. In the actual environment, we can get to give constant results when the object come in, when going out at forecast boundary. Ultimately, this paper suggests empirical application to verify the adequacy and the validity with the proposed method. Accordingly, the accuracy and the quality of image recognition will be improved the surveillance system.

Motion based interaction techique for a camera-tracked laser pointer system (카메라 추적 기반 레이저 포인터 시스템을 위한 동작 기반 상호작용 기술)

  • Ahn, Sang-Mahn;Lim, Jong-Gwan;Kwon, Dong-S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257-261
    • /
    • 2008
  • In this paper, intuitive interactions compatible with various software and replaceable with the conventional mouse function are proposed for camera-tracked laser pointer system. For this purpose, this paper designs the motion based interaction using acceleration information from a new laser pointer with 3-axes accelerometer and shows its usability.

  • PDF

Proposal on the Enhancement of Real-time Processing and Interaction in a Camera-tracked Laser Pointer System (카메라 추적 기반 레이저 포인터 시스템의 실시간 처리와 상호작용 개선을 위한 제안)

  • Lim, Jong-Gwan;Sohn, Young-Il;Sharifi, Farrokh;Kwon, Dong-S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332-336
    • /
    • 2008
  • For reliable real-time interaction in a camera-tracked laser pointer system, a new idea is proposed and its feasibility is tested in this paper. In order to improve response time in the system and remove useless visual overload, the function of a laser pointer in the system is divided, the Region of Functional Interest is defined and subsequently its new interactions are introduced. Finally the experiments to measure reliability, accuracy, latency and usability are conducted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 PDF

Motion Detection-based Intuitive Mediate Interface (동작 감지 기반으로 작동하는 직관적 명령 전달 매개 인터페이스)

  • Lim, Jong-Gwan;Sohn, Young-Il;Yang, Jeong-Yeon;Kim, Young-Geun;Kwon, Dong-S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920-926
    • /
    • 2007
  • 새로운 매체와 접촉 시 발생하는 거부감을 최소화 하고 별도의 학습 없이 사용 가능한 직관적 명령 전달 방식의 매개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매개 인터페이스는 3차원 공간에서 사용가능한 가상 마우스와 TV 리모트 컨트롤러의 기능적 결합을 목표로 하고 실버세대들에게 익숙한 매체인 펜을 형태로 삼아 개념적으로 설계되었다. 구체적인 구현은 가속도계의 신호를 분석하거나 펜촉에 레이저 포인터를 추가하여 레이저 포인터의 좌표 변화를 웹캠으로 추적, 인식하는 방법으로 구분하였고 본 논문에서는 가속도계의 경우를 소개한다. 가속도계 신호분석을 통해 마우스의 기능을 모사하고 동작을 감지하는데 발생하는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존 연구를 분석하고 동작 중에 중력방향의 수직축이 바뀌면서 발생하는 가속도계 신호의 오류를 보상하기 위해 제안된 Zero Velocity Compensation 방법을 소개한다. ZVC의 결과에 필수적인 저주파의 시계열 신호 실시간 끝점 추출과 동시에 패턴인식을 위한 특징추출 기능을 수행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하며 기존의 방법과 실험적으로 성능을 비교한다. 또한 입력된 가속도계 신호를 학습된 인식기를 통해 인식하는 기존의 연구에서 더 나아가, 마우스의 좌표변화를 짧은 시간동안 가속도 신호의 실시간 분석을 통해 모사하기 위해 변형시킨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 PDF

User Location Determination and Interaction for Collaborative Environments using LED Tracking (협업 환경을 위한 LED 기반 사용자 위치 추적 및 인터랙션 시스템)

  • Kim, In-Tae;Park, J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316-320
    • /
    • 2007
  •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의사를 교환하거나 공동 작업을 수행하는 협업환경에서의 인터랙션 기술은 네트워크 기술, 디스플레이 기술만큼이나 효율적인 협업을 위해 중요한 요소 기술이다. 이러한 인터랙션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는 사용자의 상황인식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돌발 행동, 사용자들간의 의사교환 정도 등을 측정하고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협업환경 내에서의 사용자의 위치 파악은 사용자의 상황인식뿐 아니라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리키고 있는 경우, 어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 중 어느 위치를 포인팅 하고 있는지를 계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한된 환경 내에서 사용자의 3차원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개발된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계산뿐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처도 함께 인식하여 사용자가 협업환경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고 공중에서 글씨 쓰는 등의 인터랙션도 수행할 수는 기능을 지원한다.

  • PDF

Robot Navigation Control using Laserscanner to Restrict Human Movement (인간행동제약을 위한 레이저파인더 기반의 로봇주행제어)

  • Jin, Tae-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5
    • /
    • pp.1070-1075
    • /
    • 2013
  • In this research, we describe a security robot system and ongoing research results to control human's wrong direction in order to forbid human to enter security zone. Proposed robot system surveils a security area with equipped laserscanner sensor usually. When it detect walking human who is for the area, robot calculates his velocity vector, plans own path to forestall and interrupts him who want to head restricted area and starts to move along the estimated trajectory. The walking human is assumed to be a point-object and projected onto an scanning plane to form a geometrical constraint equation that provides position data of the human based on the kinematics of the mobile robot. While moving the robot continues these processes for adapting change of situation. After arriving at an opposite position human's walking direction, the robot advises him not to be headed more and change his course. The experimental results of estimating and tracking of the human in the wrong direction with the mobile robot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