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랜덤 공중합체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19초

선형 및 스타형 폴리락트산 입체블록 공중합체의 합성 및 물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Linear and Star-shaped Poly(lactic acid) Stereo-block Copolymers)

  • 이선영;김지흥
    • 폴리머
    • /
    • 제24권5호
    • /
    • pp.638-645
    • /
    • 2000
  • 디올 또는 다가 알콜의 존재 하에서 DL-락트산 및 L-락티드를 연속 중합하여 선형 (ABA 형)과 스타형 ((AB)$_{n}$ 형)의 폴리락트산 입체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분석하였다. 알콜의 함량에 따라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을 어느 정도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었으며, 합성된 중합체는 비교적 좁은 분자량 분포를 나타내었다. 폴리락트산 입체블록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5$0^{\circ}C$ 부근이었으며, 융점은 구조와 분자량에 따라 100~14$0^{\circ}C$ 범위에서 관찰되었다. 용융 엔탈피로부터 얻은 결정화도의 측정 결과로부터 블록구조를 갖는 공중합체는 D-입체이성질체 단량체의 높은 조성(~35%)에서도 결정화가 충분히 일어남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유사한 조성의 랜덤 공중합체의 성질과 대비된다. 선형과 스타형 블록 공중합체의 경우 모두 열처리 온도와 시간에 따른 결정화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다.

  • PDF

1H,1H,2H,2H-퍼플로로데실메타크릴레이트와 tert-부틸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공중합체의 합성 및 이산화탄소에서의 리소그라피 특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of Copolymers Composed of 1H,1H,2H,2H-perfluorodecylmethacrylate and tert-butylmethacrylate and Their Lithographic Properties in Carbon Dioxide)

  • 황하수;이진균;박인;허훈;임권택
    • 공업화학
    • /
    • 제19권4호
    • /
    • pp.402-406
    • /
    • 2008
  • 자유 라디칼 중합법으로 친 이산화탄소성 단량체인 퍼플로로데실메타크릴레이트(FDMA)와 산에 불안정한 단량체인 tert-부틸메타크릴레이트(TBMA)로 구성된 랜덤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공중합체의 이산화탄소에 대한 용해도 특성 및 365 nm 노광에서의 포토레지스트 감도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랜덤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형성된 패턴을 플라즈마 에칭을 통해 전도성 고분자인 poly(styrenesulfonate):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SS : PEDOT)에 전사하여 미크론크기의 PSS : PEDOT 패턴을 제조할 수 있었다.

고체상태에서의 CPMAS NMR분광법을 이용한 랜덤 공중합체의 결정구조 연구 (Crytal Structure Study of Random Copolymers by CPMAS Solid-State NMR Spectrosecopy)

  • 유희열;심미자;김상욱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344-351
    • /
    • 1993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코-1,4-시클로헥실렌 디메틸렌 데레프탈레이트), P(ET-CT), 공중합체의 결정구조를 CPMAS NMR분광법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결정화 시료에서 메틸렌기에 의한 공명 피크를 CT와 ET성분으로 분리시켜 분석한 결과, 0-20 몰%의 CT조성을 갖는 공중합체는 bulky한 CT성분이 PET결정격자에서 배제되고 66-100 몰 100%의 CT조성을 갖는 공중합체는 PCT결정격자 내부에 ET성분이 부분적으로 혼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정구조의 공중합 조성 의존성은 ET와 CT의 반복단위 길이와 결정격자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 PDF

고온 PEMFC용 메틸렌 사슬을 포함하는 폴리벤즈이미다졸 랜덤 공중합체의 합성과 특성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benzimidazole Random Copolymers Containing Methylene Chain for High Temperature PEMFC)

  • 한다은;유동진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9권6호
    • /
    • pp.578-586
    • /
    • 2018
  • In this study, we prepared the modified PBI random copolymer to reduce the problems of the pristine PBI about low solubility and proton conductivity. The random copolymer was synthesized from suberic acid, 5-aminoisophthalic acid, and 3,3'-diaminobenzidine to obtain $X_1Y_9$, $X_1Y_1$, $X_9Y_1$. Then, the membrane was fabricated by using solvent casting method with methanesulfonic acid at $140^{\circ}C$. Subsequently, the membrane was doped with phosphoric acid at $40^{\circ}C$.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polymers was characterized by FT-IR. In addition,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the PBI were investigated by TGA, oxidative stability, acid uptake. Finally, the proton conductivity was measured at $100-180^{\circ}C$ without humidification. As the result, $X_1Y_9$ PBI random copolymer membrane showed higher conductivity.

상용화제를 포함한 PMMA/PVME 블렌드의 열역학적 특성과 기체 투과 특성 (Thermodynamic Characteristics of PMMA/PVME Blends Containing Compatibilizer and Their Gas Transport Properties)

  • 최해욱;문유진;정병조;김창근
    • 폴리머
    • /
    • 제26권2호
    • /
    • pp.245-252
    • /
    • 2002
  • 상용화제로 poly(styrene-b-methylmethacrylate) [U(S-b-MMA)]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 polymethylmethacrylate (PMMA)와 polyvinylmethylether (PVME) 블렌드의 열역학적 특성과 이들의 기체 투과특성을 조사하였다. 블렌드에 포함된 여러 고분자들 간의 상호작용 에너지를 상분리 온도와 상태방정식 이론으로부터 구하기 위해 다양한 조성의 poly(styrene-co-methylmetha-crylate) (SMMA)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PVME와 블렌드하여 단상의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공중합체 내의 스티렌 함량이 70 wt% 이상에서는 SMMA/PVME 블렌드는 단상을 형성할 뿐아니라 LCST 거동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구한 상호작용 에너지를 기초로 PMMA/PVME 블렌드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P(S-b-MMA) 블록 공중합체를 상용화제로 첨가하였다. 분산상으로 존재하는 PVME 고무 입자들의 평균 크기는 상용화제 첨가량이 5 phr 이하에서는 점차 감소하지만 더 이상의 상용화제를 첨가해도 분산상의 크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일정 블렌드 조성에서 기체 투과도도 상용화제의 양이 5 phr 일때까지는 증가하지만 그 이상의 상용화제 함량에서는 기체 투과도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2-비페닐릴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제조와 2-페닐페놀의 방출 (Preparation of Poly(2-biphenylyl acrylate-co-methacrylic acid) and Release of 2-Phenylphenol)

  • 현석희;김민우;전일련;손석호;백창훈;김우식
    • 폴리머
    • /
    • 제30권1호
    • /
    • pp.80-84
    • /
    • 2006
  • 항균제인 2-페닐페놀을 아크릴로일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2-비페닐릴아크릴레이트(BPA)를 합성하고 이를 메타크릴산(MA)과 라디칼 공중합시켜 2-페닐페놀 moiety를 가지는 친수성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핵자기공명 스펙트라로부터 구한 이들 고분자중의 BPA와 MA 단량체의 조성을 사용하여 Kelen-Tudos 플로트로 결정한 단량체 반응성 비는 0.86과 1.21이였다. 이 결과는 제조된 poly(BPA-co-MA)가 이상적인 랜덤 공중합체라는 것을 뜻한다. 자외선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이들 공중합체의 가수분해로 방출된 2-페닐페놀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pH가 증가함에 따라 그리고 공중합체중의 친수성의 MA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방출된 2-페닐페놀의 양이 증가하였다. 이들 결과는 제조한 고분자는 2-페닐페놀을 조절방출하는 고분자 항균제라는 것을 의미한다.

Ethylene Glycol, 1,4-Cyclohexane Dimethanol, Isosorbide와 Terephthalic Acid로 제조되는 바이오기반 삼원공중합체의 미세구조 및 열적 특성 (Microstructure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Bio-based Terpolymer Made from Terephthalic Acid with Ethylene Glycol, 1,4-Cyclohexane Dimethanol, and Isosorbide)

  • 이상묵;김성기;홍인권
    • 폴리머
    • /
    • 제39권2호
    • /
    • pp.287-292
    • /
    • 2015
  • 다양한 함량의 테레프탈산, 에틸렌글리콜, 1,4-싸이클로헥산 디메탄올, 이소소바이드로 구성된 일련의 바이오 기반 삼원 공중합체들의 특성을 $^1H$ NMR과 $^{13}C$ NMR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NMR 분석 결과 모두 랜덤한 미세 구조를 가졌고 시퀀스 분포는 이소소바이드의 함량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시차주사열량계(DSC) 데이터로부터 유리전이온도는 주로 이소소바이드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확장된 Fox 식을 이용하여 각 성분의 함량에 따른 삼원공중합체의 유리전이 온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PIM-co-Ellagic Acid)-기반의 이산화탄소 분리막의 개발 ((PIM-co-Ellagic Acid)-based Copolymer Membranes for High Performance CO2 Separation)

  • 호세인 이크발;허스너 아스몰;김동영;김태현
    • 멤브레인
    • /
    • 제30권6호
    • /
    • pp.420-432
    • /
    • 2020
  • (PIM-1)과 ellagic acid로 만든 랜덤형 공중합체가 간단한 방법으로 합성되었으며, 이산화탄소 분리막에 대한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 공중합체의 경우 PIM (polymers with intrinsic microporosity) 고분자의 미세 기공 구조에 기인한 높은 기체 투과도와 평면 구조와 친수성을 갖는 ellagic acid에 기인한 높은 이산화탄소에 대한 선택성에 의해 우수한 이산화탄소 기체 분리 성능을 나타내었다. 즉, 이산화탄소에 대한 투과도 4516 Barrer와 CO2/N2 (> 23~26) 및 CO2/CH4 (>18~19)의 높은 선택성으로 두 쌍의 가스 혼합물에 대해 Robeson 상한(2008)을 초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PIM-1에 평면구조를 갖는 ellagic acid을 혼입하면 PIM-1의 꼬인 구조를 방해하여 기체 투과성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공중합체의 강성과 극성이 증가하여 N2 및 CH4에 대한 CO2의 선택성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