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라이브러리 2.0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28초

LTCC 수동소자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5G 대역 일립틱 LPF 구현 (Implementation of Elliptic LPF using LTCC Passive Library Elements for 5G Band)

  • 조학래;구경헌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573-58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회로의 기본 구성요소인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LTCC 다층 기판에서 활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여 각각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사용된 인덕터와 커패시터는 유전율 7인 유전체 내부에 각각 사각형 나선 구조와 MIM 구조로 설계되었으며, 인덕터의 감은 수와 커패시터의 적층 수를 달리하여 제작하고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커브피팅 방식을 이용하여 논문에서 제안한 등가회로의 각 소자 값을 추출하였고 추출된 결과를 토대로 제안한 등가회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된 인덕터와 커패시터는 라이브러리 형태로 구현하였으며 일립틱 타입의 5차 LPF 설계에 적용하여 그 활용성을 입증하였다. LPF는 실제 제작을 통해 측정되었으며, 결과적으로 통과 대역인 DC ~ 3.7 GHz 대역에서 삽입손실이 최대 1.0 dB, 반사손실이 19.2 dB, 저지 대역에서의 감쇄 값이 23.9 dB로 모든 항목에서 설계 목표치에 근접한 결과를 보였다.

지수감쇠계수의 자동 및 정밀 측정을 위한 지수실험장치 개선 (Improvement of the Exponential Experiment System for the Automatical and Accurate Measurement of the Exponential Decay constant)

  • 신희성;장지운;이윤희;황용화;김호동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4년도 학술논문집
    • /
    • pp.292-303
    • /
    • 2004
  • 기존의 지수실험장치에 PLC와 스텝핑 모터로 구성된 자동화 제어장치를 부착하여 중성자 선원과 검출기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GENIE 2000 라이브러리에 기반을 둔 MCA와 PLC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는 통합자동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와 같이 체계적인 장치로 개선된 실험장치를 사용하여 고리 1 호기의 사용후핵연료 집합체, Cl4, Jl4 및 G23과 고리 2 호기의 사용후핵연료 집하체, J44의 대한 지수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4 개 집합체에 대한 평균 지수감쇠계수는 각각 0.1302, 0.1267, 0.1247 및 0.1210으로 결정되었다.

  • PDF

물체의 고유 Pole을 이용한 지하 속의 빈 공간 식별 방안 (A methodology for Identification of an Air Cavity Underground Using its Natural Poles)

  • 이우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566-57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도시환경과 모래가 많은 토양 아래에 구 형태의 빈 공간이 있을 경우를 가정하고, 해당 목표물의 고유 pole과 고유 공진주파수를 활용하여 목표물을 식별 및 위치를 추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EM(Electromagnetic)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진 완전도체(PEC: Perfect Electric Conductor)들을 모델링하였고, 이를 통해 획득한 EM 산란응답에 Cauchy 방법을 적용하여 물체의 고유 특성에 해당하는 고유 pole을 축적하여 pole 라이브러리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pole 라이브러리는 목표물에서 추출한 고유 pole과의 비교를 통해 목표물을 식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 준다. 도시환경과 모래가 많은 토양 아래에 구 형태의 빈 공간이 있음을 가정하고 EM 시뮬레이션 모델링을 통해 얻은 전자파 산란 데이터로부터 관심 목표물의 응답을 추출하였으며, 시간영역에서 임펄스 응답의 시간 지연을 이용하여 목표물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MP(Matrix Pencil) 방법을 적용하여 목표물의 고유 pole을 추출하였다. 최종적으로 계산된 고유 pole과 고유 공진주파수를 pole 라이브러리와 비교하여 탐지된 목표물을 구 형태의 빈 공간(직경 0.2m)으로 추정할 수 있었으며, 계산된 목표물의 위치(깊이)는 약 84 ~ 93%의 정확도를 보였다.

OMEGA C++ OML 클래스 라이브러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 OML class library of OMEGA)

  • 민준기;강흠근;이성진;정진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1)
    • /
    • pp.39-41
    • /
    • 1998
  • 복잡한 자료 구조와 정교한 연산자를 필요로하는 CAD/CAM, GIS와 같은 응용 분야를 위하여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어왔으며, 이들에 대한 노력으로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의 표준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는 ODMG 2.0이 발표되었다. 따라서 공간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OMEGA(Object Management system for Geospatial Applications)의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로서 ODMG 2.0의 C++ OML을 채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OMEGA의 C++ OML 클레스들 중 몇 가지 중요한 클래스들의 구조 및 구현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며 C++ OML 클래스 구현 시 발생되는 문제점들중 중요한 몇 가지 사항에 대하여 해결 방안을 논의한다.

이용자 생성 메타데이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Generated Metadata)

  • 이재윤;황혜경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3호
    • /
    • pp.1-24
    • /
    • 2006
  • 전통적으로 정보전문가의 역할이었던 메타데이터 생성은 인터넷이 대중화되고 인터넷상의 정보가 폭증하면서 그 한계에 부딪치게 되었다. 이에 오늘날 정보자료의 가치는 그것을 사용하는 이용자에 달려있다는 인식하에 정보이용자가 메타데이터를 만드는 새로운 정보조직 패러다임이 부상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이용자 생성 메타데이터에 해당하는 이용자 주석과 이용자 태깅의 개념과 구현사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용자 생성 메타데이터가 디지털도서관 발전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Auth 2.0 기반 CoAP 인증 프레임워크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AP Authorization Framework Based on OAuth 2.0)

  • 김경한;임현교;허주성;한연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8호
    • /
    • pp.329-342
    • /
    • 2017
  • 최근 사물인터넷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보안 측면에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그 해결책으로서 IETF ACE 워킹 그룹이 기존의 OAuth 2.0 기반으로 여러 제약적인 사물인터넷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보안 프레임워크인 ACE 프레임워크 표준을 제정 중에 있다. 그러나 새로운 경량 보안 체계를 제안하는 ACE 프레임워크를 기존 인터넷 환경에 적용하기에는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며, 이러한 추가적 비용은 IoT 환경에 OAuth 2.0의 적용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인터넷 환경에서 활용되고 있는 보안 프로토콜인 DTLS를 기반으로 하고, OAuth 2.0의 기존 개발 동기에 맞춘 사물인터넷 인증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며, python 기반 오픈 라이브러리인 CoAPthon을 기반으로 제안 프레임워크 구현하며 성능을 분석한다.

OpenGL ES 2.0 기반 셰이더 설계 (Design of a Shader Based on the OpenGL ES 2.0)

  • 김종호;최완;김성진;김태영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3-20
    • /
    • 2006
  • 모바일 환경에서 고급 그래픽스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로 최근 3D 그래픽 엔진을 탑재한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 단말기는 OpenGL ES 1.x을 기준으로 고정된 파이프라인을 통해 그래픽 연산을 처리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그래픽 표현을 수행하는데 제약이 따른다. 최근 PC 환경의 그래픽 엔진에서는 고정 기능의 파이프라인이 아닌 프로그래밍 가능한 파이프라인을 제공하여 기존 고정 파이프라인에서 불가능했던 유연한 그래픽스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PC환경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파이프라인은 DirectX와 OpenGL 그래픽 라이브러리에 의해 제공되고 있지만, 모바일 환경에서는 이를 지원하기 위한 관련 제품이 아직 출시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2005년 9원에 발표된 프로그레밍 가능한 그래픽스 파이프라인에 대한 표준인 OpenGL ES 2.0에 기반한 효율적인 셰이더 구조와 이 의 구동방식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PC상에서 소프트웨어로 개발되었고, 연구 결과는 그래픽스 하드웨어 설계를 위한 검증용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응용 프로그래머의 모바일 콘텐츠 제작을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 PDF

웹 2.0 기반의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Ubiquitous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Web 2.0)

  • 정필성;오영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4C호
    • /
    • pp.321-328
    • /
    • 2012
  •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는 휴대가 간편한 소형 컴퓨팅 장치로서 기존 컴퓨터에서 수행하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맞춤형 개인화 서비스가 가능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다. 모바일 장치에서 동작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플랫폼의 특성에 따라서 호환성이 떨어지기는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해당 플랫폼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플랫폼에 맞게 다시 개발해야 하는 제약사항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표준 웹 개발 언어인 HLTML5와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인 jQuery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바일 플랫폼에서 호환성을 가지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모바일 플랫폼뿐만 아니라 데스크톱 컴퓨터에서도 호환성을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Ku-대역 BiCMOS 저잡음 증폭기 설계 (Design of Ku-Band BiCMOS Low Noise Amplifier)

  • 장동필;염인복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99-207
    • /
    • 2011
  • 0.25 um SiGe BiCMOS 공정을 이용하여 Ku-대역 저잡음 증폭기가 설계 및 제작되었다. 개발된 Ku-대역 저잡음 증폭기는 BiCMOS 공정의 HBT 소자를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9~14 GHz 대역에서 2.05 dB 이하의 잡음 지수 특성과 19 dB 이상의 이득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제조 공정과 관련되어 제공된 PDK의 부정확성 및 부족한 인덕터 라이브러리를 보완하기 위하여 p-tap 값 최적화와 인덕터의 EM 시뮬레이션 기법 등을 활용하였다. 총 2회의 제작 공정을 수행하였으며, 최종 제작된 Ku-대역 저잡음 증폭기는 $0.65\;mm{\times}0.55\;mm$의 크기로 구현되었다. 특히 최종 제작된 저잡음 증폭기의 레이아웃에서 입/출력 RF Pad와 Bias Pad 등을 제외하고 약 $0.4\;mm{\times}0.4\;mm$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조정되어 다기능 RFIC의 증폭단으로 활용되었다.

MPEG-2 비디오 부호화기의 프레임 메모리 하드웨어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Frame Memory Hardware for MPEG-2 Video Encoder)

  • 고영기;강의성;이경훈;고성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9A호
    • /
    • pp.1442-1450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MPEG-2 비디오 부호화기에서의 프레임 메모리 하드웨어 구현을 위한 DRAM의 효율적인 메모리 맵과 이에 따른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한다. 논문에서 제시된 메모리 맵은 DRAM 사용 시간과 대역폭을 줄임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설정되었고, 개발된 하드웨어는 MPEG-2 비디오 부호화기에 구성된 타모듈과 인터페이스를 위해 하드웨어는 VHDL을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며, $0.5\mu\textrm{m}$, VTI, ASIC 라이브러리인 camn5a3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개발된 하드웨어에 대한 RT (register transfer) 수준 및 게이트 수준의 검증을 위해 VHDL 시뮬레이터와 로직 합성 툴을 사용하였고, 추후 성능 개선과 기능 검증을 위해서 하드웨어 에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구현된 하드웨어 MPEG-2의 MP@ML에서 요구하는 전송률로 데이터를 채널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