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또래 애착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6초

여대생의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Peer Attachment, Self-esteem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Female College Students)

  • 성미혜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4-96
    • /
    • 2008
  • Purpose: To consider how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is related to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Method: The subjects were 183 female college students attending one university.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inventory of peer attachment-revised version, the self-esteem inventory, and the inventory for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according to residence typ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monthly income.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er attachment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esteem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all of the subscales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28.6% of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was significantly explained by self-esteem and monthly income.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peer attachment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self-esteem which is itself a very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female college students. Therefore, an alternative program designed to increase the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of female college students should be a planned program based on the study results.

  • PDF

청소년 시기의 부모양육방식, 또래애착, 교사관계가 학습태도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the Parenting Style, Peer Attachment, Relationship of Teacher factors on Learning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adolescents)

  • 강하나;용혜련;황현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449-457
    • /
    • 2016
  • 청소년기는 아동에서 성인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중간 기점으로서, 자신이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살아갈지에 대한 고민과 자아를 정립하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이처럼 중요한 청소년기에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행복지수는 OECD국가 중 최하위로, 특히 학업에 상당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그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을 조절하는 요인들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된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의 2012년도 KCYPS 중1 패널 제 3차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학습태도 및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학습태도 및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부모, 또래, 교사와의 관계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설문에 사용된 변수들 간 관계를 찾아내었고, 이들 요인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규명하고자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청소년 시기의 부모양육방식, 또래애착, 교사관계는 학습태도 및 삶의 만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모두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된 결과를 통해 추후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건강한 삶에 대한 결론 및 제언을 시사해보고자 하였다.

개인, 가족, 환경요인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in Korea)

  • 이주재;김순규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659-66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환경요인을 살펴보았다. 개인요인으로 건강상태, 여가·체험 활동을 살펴보고, 가족요인으로 경제적 수준, 부모의 양육방식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환경요인은 학교환경에 초점을 두고 성적, 또래관계, 교사관계를 검토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제시한 연구문제는 첫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무엇인가? 넷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이다. 연구문제 검토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중학교 1학년(3차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선정된 자료는 SPSS 18.0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요인인 부모의 양육방식이었으며, 다음으로 환경요인인 또래애착, 개인요인인 건강상태, 환경요인인 성적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모의 양육방식이 긍정적이고, 또래애착이 높으며, 건강하다고 인식할수록, 성적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알 수 있다.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후기 청소년기 또래애착과 휴대전화 의존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s between Peer Attachmen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in Late Adolescence: The Moderating Role of Ego-resilience)

  • 이주리;송지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111-126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role of Ego-Resilience between Peer Attachmen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in late adolescen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056 third year high school adolescents (1,041 boys and 1,015 girls) from the Korea Youth Panel Study (KYPS), a national representative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ce.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peer attachment, ego-resilience and mobile phone dependency were all significant. Second, ego-resilience takes the role of moderator for mobile phone dependency. In detail, ego-resilience relieves the mobile phone dependency caused by 'peer relationships' or 'conflict in peer relationships. Conclusion/Implications: Ego-resilience was found to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Therefore, in order to lower the dependence of mobile phones in adolescents with low peer attachment, a program that can enhance ego-resilience is needed.

유아의 애착 및 어머니-유아 상호작용과 또래 상호작용간의 관계 (The Relation of Attachment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to Peer Interactions)

  • 이영;나유미
    • 아동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32
    • /
    • 1999
  •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 of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and mother-child interaction to children's peer interactions. The subjects were 51 preschoolers, 44 to 57 months of age and their mothers. Attachment was assessed using the Attachment Q-set (Waters, 1987), mother-child interactions at home were observed with the use of the Teaching Strategies Rating Scales (Erickson, Sroufe, Egeland, 1985), and peer interactions were observed during free play time, using the Holloway and Erickson(1988) categories.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attachment security scores were negatively related to dependency toward peers. Mother's "structure and limit setting" and "respect for child's autonomy" were positively related to "helping with peers" and negatively to "asking for help" and "physical attack". The variables accounting for dependency toward peers were mother's hostility and attachment security.

  • PDF

심리적 학교 환경과 아동의 문제행동에서 또래 애착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Role of Peer Attachment between Affective School Environment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 ;김연하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497-505
    • /
    • 2022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peer attachment between affective school environments and the problematic behaviors of children using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10th wave (2017).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bel test, and bootstrapping versificat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28.0 and Process Macro 28.0.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trolled and rigid school environment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peer attachment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internal and external behavior problems. Furthermore, peer attachmen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th internal and external behavioral problems. Peer attachment completely mediated the link between affective school environments and internal behavioral problems, and partia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affective school environments and external behavioral problems. These results show the important role of supportive and democratic school environments regarding peer attachment.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Latent Profile Analysis on Smart Phone Depend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염동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07-114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 프로파일을 탐색하고, 프로파일에 나타난 집단별 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의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orea Chil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의 초등학생 5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1,585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의존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적합도 지수와 잠재계층 분류율에 따라 3개 계층 유형이 선택되었다. 유형 1은 모든 지표에서 낮게 나타나 저의존집단(50.1%)으로, 유형 2는 모두 지표에서 높게 나타나 고의존집단(10.7%)으로, 유형3은 모든 지표에서 중간 수준으로 나타나 중의존집단(39.2%)으로 명명하였다. 스마트폰 의존도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의존집단을 기준으로 중의존집단과 비교했을 때,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또래애착이 낮을수록 중의존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저의존집단과 비교한 결과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친구교제시간이 적을수록, 방임의 정도가 낮을수록, 또래애착이 낮을수록 저의존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Youth Drinking Using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 Kim, Eun-ju;Bang, Sung-a;Seo, Eun-su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2호
    • /
    • pp.167-174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 음주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S)의 중1 패널데이터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음주행위를 예방하고 중재·감소를 위한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으로 이항 로지스틱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 청소년의 음주에 영향을 주는 개인요인으로 성별, 지난 1년간 흡연경험, 성적만족도, 사이버 비행, 자아존중감, 가정요인으로는 부모학대, 또래애착요인으로는 또래신뢰가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으며 학교적응 요인은 청소년의 음주와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청소년들의 음주행위를 중재하고 감소시키기 위해 개인과 가족, 지역사회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피학대아동이 비행에 이르는 발달경로 (Developmental Pathways from Child Abuse to Delinquency)

  • 정익중;박현선;구인회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3호
    • /
    • pp.223-244
    • /
    • 2006
  • 학대의 영향은 피학대아동의 당시 개인적 피해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후 그 피해자가 자식이나 타인에게 폭력을 행사하거나 비행에 빠져서 가해자로 재등장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피학대아동이 직접적인 1차 피해를 넘어서 비행의 가해자로 등장하게 되는 발달경로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경로를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서울아동패널' 1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 아동학대는 직접적으로 비행과 연결되기보다는 자아존중감의 저하라는 경로와 또래집단으로부터의 소외 및 학교애착심의 감소라는 경로를 통해 간접적으로 비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정된 구조방정식모형의 적합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학대 유형에 따른 비행화 경로에서의 차이는 없고,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방임 모두 간접적으로 비행과 연결된다는 사실을 실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따른 사회복지의 실천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 PDF

여중생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학교생활적응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School Adjustment on Depression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 안혜영;현혜진;최정명;박승미;이주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40-147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on depression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217 first and second grad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C city.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home environment, level of depression, paternal, maternal, peer attachment, school adjustment were measured by self-reporting questionnaire. With SPSS 18.0 program, measured variabl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acute{e}$ post hoc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higher among students with lower economic status, second in birth order, and second grade in school. The level of depress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paternal attachment (r=-.522), maternal attachment (r=-.487), peer attachment (r=-.376),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 school adjustment (r=-.274), relationship with friends in school adjustment (r=-.378), classroom behavior (r=-.450), school regulation (r=-.267). About 42% of depression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explained by paternal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friends in school adjustment, and classroom behavior. Conclusion: Paternal attachment was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cing factor on depression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Encouraging paternal involvement in the process of school adjustment might be a useful intervention to decrease depression among middle school gir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