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또래놀이 상호작용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2초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몰입,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아버지의 놀이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ather's Play Beliefs on Play Flow and Peer Play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Father's Play Participation)

  • 김정주;박형신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9-48
    • /
    • 2017
  • 본 연구는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놀이참여를 매개로 유아의 놀이몰입과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시와 J도 소재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242명과 그들의 아버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이현지(2016)의 부모놀이신념 척도와 원희영(1998)의 부모 놀이참여 검사, 나은숙(2013)의 유아 놀이몰입 척도와 최혜영, 신혜영(2008)의 또래놀이행동 검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목적과 응답방법에 대한 안내지를 포함한 놀이신념과 놀이참여 질문지를 가정에 배부하여 아버지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유아의 놀이몰입과 또래놀이행동은 담임교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활용한 매개모형(mediation model)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놀이참여를 매개로 유아의 놀이몰입, 또래놀이행동 중 놀이방해, 놀이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아버지의 놀이신념과 놀이참여가 유아의 놀이에 대한 사회 정서적 측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유아의 놀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버지의 양육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실제적인 놀이참여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유아의 놀이만족과 건강한 놀이행동을 유도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이들 변인을 긍정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가 감각통합장애아동의 또래 및 치료사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on the Sensory Integration Dysfunction Children's Social Interaction With Peer and Therapist)

  • 김은영;노솔;남궁영;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0
    • /
    • 2012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그룹감각통합치료가 감각통합장애아동의 또래 및 치료사와의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대상은 만 3~5세의 학령전기 아동 3명으로, 실험기간은 2011년 9월에서 12월까지였다. 그룹감각통합 치료는 주1회, 회기 당 80분씩 총 15회기로 실시하였다. 또래 및 치료사와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관찰 표를 사용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 사전/사후의 상호작용 차이는 윌콕슨 순위검정(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그룹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후에 또래 및 치료사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은 증가하고 부정적 상호작용은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그룹감각통합치료가 감각통합장애아동의 또래와 치료사와의 상호작용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짓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프로그램이 적용되는 동안 다른 아동들을 관찰하고 기존의 놀이에 참여하려는 행동이 늘어났다. 그리고 거부하기나 물건 던지기와 같은 부정적인 행동은 줄어드는 등 아동의 개별행동에는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향후 연구기간, 연구대상자 선정의 고려 및 표준 데이터를 제시해 줄 수 있는 평가도구를 통해 그룹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한다면 상호작용에 향상에 대한 명확한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숲체험 놀이에서 밧줄 놀이가 유아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Rope Play through Forest Experience on Children's Self-Confidence)

  • 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55-262
    • /
    • 2021
  • 본 연구는 숲체험 놀이에서 밧줄 놀이가 유아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실험집단 15명(남아7명, 여아8명)과 비실험집단 15명(남아9명, 여아6명)을 대상으로 실험설계를 통한 실증분석하였다. 실험처치를 하고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 간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제집단의 평균보다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357.350, p<.001). 이같은 결과는 숲체험 밧줄 놀이를 통해 유아의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는 또래 간 숲체험 밧줄 놀이가 유아의 자신감 향상에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주는 유익한 놀이로 유아들의 숲체험 놀이를 통해 또래 간 협력을 통한 상호작용 속에 감정과 충동조절로 소극적 성격의 유아의 자신감을 높여주는 긍정적인 놀이활동임을 확인시켜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 척도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action Scale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for Childcare Teachers)

  • 김현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9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가족부에서 발간한 2005년 보육시설 평가인증지침을 기초로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긍정적 상호작용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본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함으로써 그 적합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어린이집에서 만 3세 이상의 보육을 담당하는 보육교사 205명이 연구대상이며,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8요인으로 분류되었고, 각각 '긍정적인 교사의 말과 행동',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격려', '낮잠시간배려', '화장실 사용배려',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 '유아에 대한 평등한 대우', '식사와 간식시간배려'등으로 명명되었다.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 도구의 신뢰도는 .94이며, 제작된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영역들간에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실환경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Teacher's Teaching-Efficacy and Classroom Environment on Peer-Play Interaction: Mediation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 서석원;박지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3호
    • /
    • pp.293-305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on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the process of the impact of teacher's teaching-efficacy on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classroom environment on peer-play interactions. We used data from 970 children aged between 49 and 55 months and 970 homeroom teachers from the fifth Korean Child Panel (2012) of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model fitness was excellent after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model of structure to testify the relationship and effect among teaching efficacy, classroom environment,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peer-play interactions. First,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teacher's teaching efficacy did not influence peer-play interactions directly, but gave an indirect effect on the peer-play interactions with the mediation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Second, the classroom environment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the peer-play interactions with the mediation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Third, the variable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was fully effective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process of the teaching efficacy and classroom environment influ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eaching efficacy and classroom environment influenced the peer-play interactions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was verified through a bootstrapping method.

영아기 아버지 양육참여,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영아 심리사회발달과 유아기 또래상호작용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Paternal Involvement, Maternal Parenting Stress, Psychosocial Development of Infant during Infancy and Peer Interactions during Childhood)

  • 장효은;김춘경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7-102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영아기 아버지 양육참여,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영아 심리사회발달과 유아기 또래상호작용간의 종단적 관계를 잠재성장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PSKC)자료의 0세부터 2세까지와 4세부터 6세까지의 자료인 1차 ~ 3차 년도와 5차 ~ 7차 년도의 종단 자료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아버지 양육참여 초기값이 유아기 놀이상호작용 초기값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초기값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 양육참여 초기값과 변화율은 유아기 놀이방해 및 단절 초기값과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 양육참여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유아기 놀이상호작용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영아 심리사회발달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 양육참여 초기값이 유아기 놀이방해 및 단절 초기값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영아 심리사회발달의 초기값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프로그램 설계 방안 연구 (The Design of a Multimedia Program for Environmen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 이미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하)
    • /
    • pp.893-896
    • /
    • 2003
  • 기존의 멀티 프로그램이나 환경에 관한 인터넷 사이트의 환경교육 자료들이 초등학교의 또래 문화에 부합하지 않는 내용이 상당히 많이 수반되어 일선 학교에서 적용하는데 나름대로의 고충이 있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학습자 중심의 흥미와 놀이, 가상 실습 중심의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설계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지향할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의 특징은 환경교육 영역 중 초등학교 저학년의 교육과정을 감안하여 그 수준에 맞도록 내용을 함축하여 구성주의 이론에 따른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상호작용 기법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학습 형태로 프로그램이 전개된다는 점이다. 또한 학습자 스스로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게 될 것이고, 컴퓨터를 통하여 가상의 문제 상황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설계 및 구현됨으로써 컴퓨터를 통한 문제 해결 학습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유아의 실내놀이행동 군집에 따른 예측변인 연구 (Clusters of Preschoolers' Play Behaviors)

  • 신나리;이형민
    • 아동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79-94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indoor play behaviors using cluster analyses. Methods: Data from 963 children (age 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5^{th}$ phase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their parents, and their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K-means clustering analyses, F-test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clustering analyses revealed three distinctive profiles: positive-theme oriented, general-exploratory/manipulative, and negative-exploratory/manipulative groups. Child characteristics, including cognition, language, and social level, and teachers' ag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groups in a different way; the clusters were partially different in the gender and creativity of children, interaction level of teachers' interaction, classroom environment, and program types that children attended. Conclusion: Findings revealed three clusters of play behaviors and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 ecological variables that determined the clusters.

음악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25-36개월) 영아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Musical Activities on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of Infants)

  • 남옥선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4권2호
    • /
    • pp.18-40
    • /
    • 2007
  • 본 연구는 영아들에게 음악 활동을 제공하여, 음악이 또래 간 혹은 치료사와 영아간의 상호작용 증진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 가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상호작용이 사회 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분당 소재 직장보육 어린이집 2곳의 만 2세(25-36개월) 영아 24명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기간은 2007년 3월 31일부터 2007년 5월 11일까지로, 실험집단에게는 주 3회씩 총 17회기의 음악 활동 프로그램이 제공되었으며, 비교집단에게는 동일한 시간 동안 음악이 배제된 자유선택활동이 제공되었다. 연구도구는 사회 정서적 행동에 대해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Briggs-Gowan과 Carter(2001)가 개발한 보육교사용 영아기 사회 정서 행동 측정도구(ITSEA)를 사용하였다. 또한 음악놀이 활동 중에 나타난 영아들의 상호작용 행동 변화에 대해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Holloway와 Reichhart-Erickson(1988)이 개발한 영아의 사회적 놀이행동 관찰 도구를 사용하였다. 총 17회 세션 중 1, 5, 9, 13, 17회기 세션에서 실시된 음악활동을 시간표집법으로 분석하여 양적(표, 그래프), 질적으로 기술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사회 정서적 긍정행동과 부정행동 평균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실험집단의 경우 긍정행동 평균점수는 증가(88.5에서 110.8)가 비교집단의 긍정행동 평균점수 증가(86.6에서 91.5)보다 점수 폭이 크게 나타났다. 부정행동 역시 실험집단의 평균점수 감소(56에서 45.8)가 비교집단의 부정행동 평균점수 감소(62.8에서 55.8)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긍정행동의 하위 영역 중 실험집단은 주의집중과 감정이입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으며 부정행동 중 공격성 반항성과 분리불안, 새로운 것에 대한 거부(억제) 항목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이와 더불어 음악 활동 과정 중에 보인 영아의 행동변화에 대한 질적 평가 결과 또래와의 상호작용 중 친사회적 행동, 대화 미소 웃음, 애정적 신체접촉, 또래 행동 모방은 증가하였으며, 방해하기 행동은 감소하였다. 영아와 치료사 간에 보이는 상호작용 중 돕기, 동조하기, 대화 미소 웃음, 애정적 신체접촉, 교사모방행동은 증가하였고 거부 행동은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 음악적 경험을 통한 또래 간 또는 치료사와의 상호작용은 사회 정서적 행동의 긍정행동을 강화시키고 부정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연구 결과 영아의 긍정행동 중 하위행동보다 부정행동의 하위행동에서 더 많은 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음악이 부정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 PDF

유아의 놀이성 및 창의적 성격특성과 문제행동간의 관계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 Children's Playfulness, Creativity and Behavioral Problems)

  • 박성선;서현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19-132
    • /
    • 2014
  • 유아가 환경이나 또래와의 놀이 속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획득하게 되는 놀이성과 놀이과정 속에서 나타날 수 있는 창의적 성격특성이 유아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공 사립 유치원 7개원에 재원중인 만 3세, 만 4세, 만 5세 유아 남녀 429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놀이성 측정도구는 CPS, 창의적 성격특성 측정도구는 이경화(2013)에 의해 개발된 '유아용 통합 창의성 검사' 중 창의적 성격특성 측정도구만을 사용하였고, 유아문제행동 측정도구는 PKBS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t-검증, Scheffe의 사후검증, Durbin-Watson 값과 VIF 값을 확인하였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놀이성, 창의적 성격특성, 문제행동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놀이성과 창의적 성격특성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놀이성과 문제행동은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창의적인 성격특성과 문제행동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놀이성과 창의적 성격특성은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들의 창의적 성격특성 때문에 나타나는 행동들에 대해서는 문제행동이라고 단정 짓지 않고, 창의적 성격특성을 인정하고 창의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교사의 태도 관점에서 유아들을 존중하고 허용하며 수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