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 패션 플랫폼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47초

3차원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패션 플랫폼 프로토타입 설계 연구 (A Study on Digital Fashion Design Platform based on the 3D Virtual Fashion Technology)

  • 박재현;박민희;김선희;송영호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2호
    • /
    • pp.88-106
    • /
    • 2018
  • The domestic fashion industry is not able to exceed the level of fashion that exists in advanced countries due to the relatively weak design competitiveness and the differentiated capability of product development. In order for the domestic fashion industry to become a growth industry that is valued in the world market of infinite competition, a step-by-step support system that can demonstrate and maintain the creative ability of designers is neede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template - based 3D virtual fashion technology and a digital fashion platform based on it. The proposed template - based 3D virtual fashion technology is designed to clearly communicate the intention of designers and to be able to instantaneously view the results,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cost of producing prototypes. In addition, the digital fashion platform based on the template is designed as a collaborative platform based on idea sharing, which dramatically improves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prototype and initiating the product planning and manufacturing stages. This new technology can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a business environment and a new area within the existing fashion industry and can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fashion industry in the future.

3D 가상 의상 기술을 활용한 캐쥬얼웨어 디자인 연구 - Z 세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sign of Casual wear utilizing 3D Virtual Clothing Technology - focus on Generation Z)

  • 신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75-81
    • /
    • 2021
  • 첨단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디지털 문화에 익숙한 Z세대는 미래 패션을 재편할 수 있는 패션 산업의 주요 소비층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기에 능숙하고 인터넷을 통한 정보 습득 및 모바일 라이프스타일에 친숙한 Z세대를 위한 캐쥬얼웨어를 3D 가상 시뮬레이션에 의해 디자인하여 걸리쉬, 스포티브, 이지, 컨템포러리의 4가지 룩으로 디자인 전개하였다. 의상디자인에 3D 가상 착의 시뮬레이션의 활용은 팬데믹 환경에서 디지털 패션 디자인기획 및 생산 프로세스와의 융합을 통한 미래 패션 산업의 디지털화를 구축하고 온라인 플랫폼의 유통을 강화시킬 수 있다. 언택트 패션 제작 시스템을 도입하여 업무의 효율성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혁신을 시도하고 있는 기업 환경에서 3D 가상의상 기술의 활용은 3D 샘플 제작, 온라인 피팅, 수정과 보정 및 품평을 통해 업무 프로세스에서 소통이 확대되고 인적, 물적 자원의 경감에 따른 긍정적 효과를 통해 지속 가능한 패션의 가치를 확대시킬 수 있다.

CLO 3D와 Vuforia를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 디지털 패션 콘텐츠 제작 (Production of Digital Fashion Contents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CLO 3D and Vuforia)

  • 강태석;이동연;김진모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21-29
    • /
    • 2020
  • 본 연구는 패션에 대한 첨단 시뮬레이션 기술로 가상 의류 시각화를 지원하는 3D 패션 디자인 소프트웨어인 CLO 3D와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모바일 플랫폼 증강현실 개발 도구인 vuforia를 활용하여 유니티 엔진 개발 환경에서 대화식 구조의 디지털 패션 콘텐츠 제작을 위한 공정을 정의한다. CLO 3D 소프트웨어를 통해 패턴, 재봉선, 텍스쳐 등의 작업을 거쳐 가상 의류 모델을 제작하는 방법과 유니티 엔진 개발 환경에서 vuforia 개발 도구의 기능과 속성 들을 활용하여 컴퓨터 비전 기술 기반의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을 정리한다. 그리고 패션 디자이너, 디렉터 등 실무 사용자의 관점에서 현실적으로 활용 가능한 새로운 방식의 증강현실 디지털 패션 콘텐츠를 정의한 제작 공정의 흐름으로 직접 제작함으로써 활용 방법을 제시한다.

인스타그램 IGTV의 사용자 경험 연구 -패션·뷰티 콘텐츠 서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user experience of Instagram IGTV -Focus on fashion·beauty contents service)

  • 우수희;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405-411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외의 대표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인 인스타그램에서 새롭게 출시한 모바일 동영상 플랫폼 IGTV에서의 패션 뷰티 서비스를 위한 사용성을 연구하고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최근 스마트폰을 이용한 동영상 소비와 그 콘텐츠의 분량이 늘어나며 IGTV를 비롯한 다양한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가 출시되고, 이에 트렌드에 민감한 패션 뷰티 업계가 가장 발 빠른 대응을 보인다. 연구 방법으로는 1차로 문헌 연구를 통해 현재 제공되는 모바일 동영상 플랫폼 서비스를 조사하였다. 2차로 IGTV의 사용성 평가를 위해 현재 스마트폰을 통해 패션 뷰티 콘텐츠를 소비하는 8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태스크를 주고, 그에 따른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두 가지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로 기존 인스타그램 사용자들이 IGTV로 유입되어 오랜 시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높은 접근성과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 제공이 요구되었다. 둘째로 기존에 제공되던 서비스와 다른 패션 뷰티 트렌드와 정보를 얻고 공유하기 위한 IGTV만의 차별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IGTV에서 패션 뷰티 영상 콘텐츠 서비스 사용성이 개선되고, 다양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패션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 관련 연구동향 및 지식구조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Fashion)

  • 최영현;정진하;이규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319-32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정보학적 접근을 통해 디지털 전환을 다룬 국내 패션 관련 연구동향과 지식구조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 학술연구에서 나타난 관련 연구의 연도별, 학술지별 현황을 파악하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주요 연구 주제어를 도출하며, 시기별 주요 연구 동향과 지식 구조를 분석했다.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학술 플랫폼에 게재된 159편의 연구를 수집했고, Python 3.7을 통해 데이터를 정제했으며, NodeXL 1.0.1을 통해 중심성 측정 및 네트워크 구현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관련 연구는 2016년을 기점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주로 의류학, 예술학 학술지에 밀집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플랫폼, AR/VR이 가장 많이 언급되는 주제어로 나타났으며, 소비자 심리분석, 마케팅 전략 제시, 사례 분석이 주요 연구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군집화를 통해 의류학의 세부 분과별 주요 연구 내용을 도출할 수 있었다. 시기별 주요 주제 분석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비자 중심의 연구에서 플랫폼이나 서비스에 대한 전략 제시 또는 디자인 개발 연구로 보다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에 대한 패션 분야의 통찰력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관련 주제의 연구를 설계하는데 기초연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패션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시각적 요소가 팔로워 행동의도, 중독에 이르는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f Fashion Virtual Influencer's Visual Factors Leading to Follower's Behavioral Intention & Addiction)

  • 왕김남;배승주;이석호;이상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13-222
    • /
    • 2021
  • 본 연구는 패션 버추얼 인플루언서(FVI)의 시각적 요소가 팔로워 행동의도,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요즘 FVI의 팬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소셜 플랫폼의 중독 현상도 증가하면서 연구자들은 FVI의 시각적 측면으로 팬들의 행동의도와 중독에 이르는 경로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연구결과 FVI의 시각적 요소인 매력성은 전문성을 통해 진정성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진정성은 행동의도의 관계유지를 통해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고 진정성은 몰입을 통해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 확인되었다. 연구자들은 본 연구를 통해 FVI의 시각적 요소가 행동의도와 중독에 이르는 경로를 시각적 요소와 진정성, 진정성과 행동의도, 행동의도와 중독 등으로 설정하여 검정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공헌점이 있다고 보았다. 연구자들은 향후 FVI의 다양한 콘텐츠 유형, 소셜 플랫폼의 측면으로 연구가 확대되길 기대한다.

메타버스(Metaverse) 마케팅 사례를 통한 성공요인 및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deriving success factors and activating methods through metaverse marketing cases)

  • 조재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791-797
    • /
    • 2022
  •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마케팅 사례연구를 통해, 각 산업에 있어 메타버스 생태계의 콘텐츠(content), 플랫폼(platform), 네트워크(network), 디바이스(device)관점에서 성공 요인 분석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엔터테인먼트, 패션, 사무공간 및 부동산, 교육, 광고 및 상거래산업에서 콘텐츠와 플랫폼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메타버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시장참여자에게 안정적인 수익창출 모델을 마련해 줌으로써, 능동적인 참여와 리텐션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가입자를 확대를 위한 매력적인 콘텐츠의 중요성은 메타버스 활성화의 주요한 키 트리거이다. 셋째, 사용자에게 라이트하고 심플한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메타버스 서비스의 사용 편리성 향상이 필요하다. 넷째, 생태계 확장성을 통한 산업의 밸류체인에 있어 유기적인 상생협력전략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아울러, 시장 참여자에게 비즈니스기회 및 추가적인 수익 창출 모델이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버버리 인스타그램에 나타난 디지털 패션이미지 아우라 (Digital Fashion Image Aura represented in the Burberry Instagram)

  • 서성은
    • 복식
    • /
    • 제67권3호
    • /
    • pp.115-132
    • /
    • 2017
  •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network platform as a new fashion media, and analyzes the significance of various digital fashion images, based on the 'Aura' theory of Walter Benjamin. The concept of "Disappearance of Artistic Aura"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discussions: 1) the change in the way of artistic perception, which is changes in value from worship to exhibition. 2) the change in the way of artistic acceptance, from personal to mass. 3) the emergence of new artistic concepts such as camera and film. By reviewing characteristics of the $21^{st}$ digital replication era, the study tried to discover and evaluate the expanded significance of the 'Aura' represented on digital fashion images, which are infinitely generated, modified, reproduced, transmitted, and shared in social network environments. The 'Burberry Instagram' was chosen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study reviewed around 2,500 images, which were uploaded from February 2011 to July 2016, and selected 200 images deemed the most representative of Burberry, and categorized and analyzed by the extended concept of 'Aura'. The study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Aura' in digital fashion image appearing on social network platforms signifies the expansion of product value in fashion, and it also represents inherited traditions and modernization of images. Second, it also signifies the democratization and globalization of fashion through the open replication and sharing as well as the interaction of criticism and acceptance. Third, it signifies the personalized taste and fashion as everyday lifestyle, through personalized services, securing playful space, and real-time updates.

한국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 연구의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Social Media Influencer Research in Korea)

  • 최윤우;한상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63-170
    • /
    • 2022
  • 본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의 국내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학술인용색인에 등재된 학술논문 가운데, 2009년부터 2021년까지 소셜 인플루언서를 주제로 한 논문 총 178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패션 및 뷰티, 커뮤니케이션 등 특정분야에 국한되어 있던 초기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 연구는 시간이 흐를수록 다양한 학문분야로 확장되며 양적 성장을 이루고 있었다. 실증연구의 비중은 최근 들어 높아지는 추세이며, 질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한 연구들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특성은 매우 다양하고 각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의 유형과 속성 역시 이질적임에도 불구하고, 특정 미디어 플랫폼 및 인플루언서 유형에 대한 연구 비중은 오히려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 연구의 현주소를 조망하는 첫 실증연구라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