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 치과학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1초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상악 총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 치료를 위한 치료법 비교: 증례 보고 (Comparison of treatments for maxillary full denture and mandibular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in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s: A case report)

  • 한진원;표세욱;장재승;김선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73-81
    • /
    • 2023
  •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상악은 전통적인 총의치 치료를 통해 충분한 안정, 지지 및 유지를 얻기 용이하지만, 하악은 해부학적 한계로 인하여 치료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임플란트를 동반한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구치부에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운 경우에는 이공 전방에 4 - 5개의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하악의 의치를 고정해주는 하이브리드 형 고정성 총의치로 치료할 수 있고, 구치부에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한 경우라면 다수 유닛으로 구성되는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시대가 지남에 따라 수술방식이나 사용하는 재료 등이 다양하게 변해왔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총의치를 사용하는 완전 무치악 환자의 하악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 치료의 증례를 중심으로 치료 방법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치과용 스캐너 전용 석고를 이용하여 제작된 3차원 디지털 모형의 정확도 평가 (An evaluation of validity of three dimensional digital model fabricated by dental scannable stone)

  • 김기백;김수진;김재홍;김지환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9-35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digital models fabricated by dental scannable stone. Methods: Twenty same cases of stone models(maxillary full arch) were manufactured. Intercanine distance, intermolar distance, two dental arch lengths(right, left), two diagonal of dental arch lengths(right, left) were measured for comparison. Each of ten stone models were measured by digital vernier calipers and scanned by dental scanner. Ten digital models were measured by CAD program. The mean(SDs) values were compared by a Mann-Whitney U test(${\alpha}$=0.05). Resul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found at intermolar distance, dental arch length(right)(p>0.05). However, intercanine distance, dental arch length(left) and two diagonal of dental arch lengths(right, lef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Conclusion: Stone models fabricated by dental scannable stone showed larger than digital models.

치과용 스캐너의 광원에 따른 디지털 모형의 정확도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accuracy of digitized model fabricated by difference optical source of non-contact 3D dental scanner)

  • 김재홍;이정수;심정석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27-23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digital models fabricated by difference optical source of non-contact 3D dental scanner. Methods: A master model with the prepared upper full arch tooth was used. Stone model(N=10) were produced from master model, and on the other hands, digital models were made with the 3D dental scanner(Blue, white, red optical source).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points were measured and analyzed on the Delcam $Copycad^{(R)}$ graphic software.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one-way ANOVA and Tukey's HSD test(${\alpha}=0.05$). Results: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mean values between optical source within each color(blue, white, red), and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Conclusion : Three different color of dental scanner optical source showed clinically acceptable accuracies of full arch digital model produced by them. Besides, these results will have to be confirmed in further clinical studies.

디지털 광공정 방식에 의해 출력된 치과용 보철물의 품질 분석 (Analysis of the quality of dental prostheses printed by digital light-processing technology)

  • 김재홍;김기백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97-201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quality of dental prostheses printed by digital light-processing (DLP) technology. Methods: Ten experimental models were prepared. The ten specimens that were printed by DLP technology constituted the DLP group. The ten specimens that were produced in the same model by the casting method constituted the control group. The marginal gaps of the 20 specimens produced were measured. These gaps were measured by a silicon replica technique at two abutments of the specimen. Therefore, 20 marginal gaps were measured in each group.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marginal gaps measured in the two groups (α=0.05).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marginal gap of the control group (78.8 ㎛) and that of the DLP group (91.5 ㎛), p<0.001. Conclusion: Although the mean marginal gaps of dental fixed prostheses produced by the DLP method was higher than the mean marginal gap of those produced by the casting method, it was considered to be within the clinical threshold value suggested by some previous studies.

석고 모형, 레이저 스캔 디지털 모형, 콘 빔 CT 영상 간의 모형 분석 계측치 비교 (Comparison of model analysis measurements among plaster model, laser scan digital model, and cone beam CT image)

  • 임미영;임성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17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레이저 스캔 디지털 모형과 콘 빔 CT (CBCT) 영상을 모형 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인접면에 금속 수복물을 갖지 않는 영구치열기의 20명의 교정환자에서 CBCT 영상, 석고 모형, 디지털 모형을 제작하여 각각에서 모형 분석을 시행한 후 그 계측치들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모형과 석고 모형을 비교 시, 치아 폭경 계측치 차이의 평균은 0.01-0.20 mm였으며, 치열궁 길이 부조화 계측치 차이의 평균은 상악 0.41 mm, 하악 0.82 mm였고, Bolton 부조화 값 차이의 평균은 전치부에서 0.17 mm, 전체에서 0.44 mm로 나타났다. CBCT 영상과 석고 모형을 비교 시 치아 폭경 계측치 차이의 평균은 0.01-0.22 mm였으며, 치열궁 길이 부조화 계측치 차이의 평균은 상악 0.43 mm, 하악 0.32 mm였고, Bolton 부조화 값 차이의 평균은 전치부에서 0.35 mm, 전체에서 1.25 mm로 나타났다. 디지털 모형과 CBCT 영상의 모형 분석을 석고 모형의 모형 분석에 비교해 볼 때 몇몇 계측치 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임상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사진 임플란트에서 임플란트 인상의 정확도 평가를 위한 역공학 기법 (Reverse engineering technique on the evaluation of impression accuracy in angulated implants)

  • 정홍택;이기선;송소연;박진홍;이정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261-270
    • /
    • 202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1) 기존에 존재하던 몇 가지 다른 임플란트 인상의 정확도 평가방법들과 역공학 기술을 비교하고 (2) 역공학 기술로 임플란트 식립 방향 및 임플란트 인상용 코핑의 종류에 따른 인상 채득의 정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임플란트 식립 방향에 따른 세 가지 다른 마스터 모델을 제작하였고, 그 중 임플란트를 평행하게 식립한 마스터 모델에서 두 임플란트 중심점 사이의 거리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디지털 캘리퍼를 이용한 측정 방법(그룹 DC), 광학 사진을 이용한 측정 방법(그룹 OM) 및 역공학 기술을 이용한 측정 방법(그룹 RE)). 세 종류의 마스터 모델 별로 각각 세 가지 유형의 임프레션 코핑을 이용하여 인상을 채득한 후 총 90개의 실험 모델을 제작하였으며 각 실험 모델들과 마스터 모델 간의 각도 및 거리의 오차율(error rate)을 계산하였다. 세 가지 평가 방법 간의 비교에는 One-way ANOVA가 사용되었다 (P < .05). 각 실험 그룹들의 오차율은 two-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 < .05). 결과: 그룹 DC의 오차율과 그룹 RE의 오차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P < .05), 그룹 OM의 오차율을 다른 그룹들과 비교하였을 때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5). 역공학 기술로 측정한 오차율의 표준 편차는 디지털 캘리퍼 및 광학 사진 측정으로 계산한 오차율의 표준 편차보다 상당히 낮았다. 하이브리드 인상용 코핑 그룹은 거리 오차율에서 픽업 인상용 코핑 그룹과 큰 차이가 없었다 (P > .05). 결론: 본 실험을 통해 역공학 기술이 임플란트 인상의 삼차원적인 정확도 평가 기법으로서의 잠재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완전무치악환자의 전악 임플란트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법 (Rational treatment planning for implant treatment of the edentulous patients)

  • 배정인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4-68
    • /
    • 2023
  • 디지털 방법을 사용한 무치악의 임플란트 치료계획은 surgical guide design으로 구체화된다. Surgical guide를 제작할 때, 우리는 먼저 최종 보철의 형태를 가상공간에 구현한 후 이를 바탕으로 식립 계획을 구체화하게 된다. 그러나 완전무치악 환자는 치아배열의 기준이 없고 악간관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아 최종 보철의 형태를 짐작하기 어려워 surgical guide를 만드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때 기존의 만족스러운 총의치나 부분의치, 잔존치 등이 존재한다면 그 치아배열이 가상적인 최종 보철의 reference가 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reference가 부재하거나 만족스럽지 못하다면, 진단용 목적으로 총의치를 제작하되 이를 구내에서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surgical guide를 제작할지라도 구내 상황에 따라 implant의 위치가 계획한 것과 다르게 식립될 수 있으며, 만약 guide의 positioning이 잘못된다면 그 오차는 모든 implant의 위치를 변위시킬 수 있으므로 guide 수술이 오히려 재앙으로 다가올 수 있다. 본 기고에서는 치아 배열의 reference가 될 수 있는 자료들을 적절한 시기에 채득하여 이를 디지털 공간에 이전 및 통일된 좌표계로 정렬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또한 이렇게 수립된 식립계획을 현실의 구강에 적은 오차로 이전 및 정렬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여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무치악 가이드 디자인의 프로토콜 정립에 대해 의견 개진하려 한다.

치과 진료실에서 3D 프린트의 활용 (Application of 3D printer in dental clinic)

  • 김현동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2-96
    • /
    • 2018
  • 3D 프린팅은 삼차원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레이어로 분할한 후 선택한 소재를 적층하여 가공하는 방법을 말한다. 소재를 적층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3D 프린팅이 존재하는데 최근 치과분야에서는 SLA방식과 DLP방식으로 광원을 이용한 경화를 통해 적층 가공하는 3D 프린팅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악 범위의 3D프린팅 치과용 모델은 전통적인 인상 채득으로 제작된 스톤모델보다는 다소 정확성이 부족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같은 STL파일을 이용하여 4분악 범위를 3D 프린팅한 모델은 밀링 방법으로 가공한 모델보다 정확하였다. 디자인 소프트웨어의 활용도에 따라 보철치료의 진단, 임시 보철물의 제작, 의치의 제작이 가능하였다. 교정에서는 투명 교정 모델과 브라켓 간접 부착을 위한 트레이 제작이 가능하였다. 임플란트 수술에 있어서 CT를 기반으로 한 정확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가이드 제작에 활용하고 있다. 출력 방식의 발전으로 인하여 3D 프린터의 출력시간이 계속적으로 단축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치과 진료실 내에서 3D 프린터가 기존의 전통적인 가공 방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AD-CAM을 이용한 RPD 지대치의 retrofit crown 제작 증례 (Fabricating retrofit crowns to an existing removable partial denture by CAD-CAM: a case report)

  • 이혁순;김성아;방주혁;김성용;장희원;이근우;이용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40-145
    • /
    • 2024
  • 가철성 국소의치를 사용하는 환자의 잔존 치아가 우식, 마모, 부식, 파절 등의 이유로 보철 수복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가철성 국소의치의 구조물과 접촉하는 부분이 많은 지대치의 보철 수복이 필요한 경우, 서베이드 크라운을 제작 후 가철성 국소의치를 새로 제작하는 것이 통상적인 방법이다. 이럴 경우, 환자가 적응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발생한다. 한편, 손상된 치아 외에 구강 내 다른 부분에서 가철성 국소의치의 지지, 유지 및 안정을 일부분 제공하는 경우 기존 국소의치의 사용은 임상적으로 양호하다. 이 때 기존 국소의치를 유지하면서 해당 치아를 보철 수복한다면, 환자는 불편과 비용을 줄이면서 기존 가철성 국소의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국소의치에 맞추어 보철을 제작하는 retrofit crown 제작과정에서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CAD-CAM)의 발전과 지르코니아의 물리적 성질이 개선되면서 디지털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본 증례는 하악에서 가철성 국소의치를 사용하는 환자의 지대치가 심하게 마모되어 국소의치에 맞추어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제작한 케이스로,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하는 결과를 얻었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구강스캐너와 급속 지르코니아 소결을 이용한 당일 풀지르코니아 보철수복 (Digital workflow of single visit full contour monolithic zirconia restoration with CEREC Omnicam intraoral scanner and fast zirconia sintering process)

  • 이수영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9-87
    • /
    • 2016
  • 당일수복 보철물 제작을 위해 디지털 프로세스 사용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디지털 프로세스는 구강스캔, 컴퓨터를 이용한 보철물을 디자인 과정(CAD)과 보철물을 가공하는 과정(CAM)을 포함한다. 지르코니아의 굴곡강도는 900Mpa로 리튬디실리케이트의 400MPa보다 더 단단하지만, 리튬디실리케이트를 이용한 보철물 기공시간이 지르코니아와 비교하여 더 짧기에 당일수복 보철물 제작시 리튬디실리케이트 사용이 선호되었다. 하지만, TZI C 와 LUXEN Enamel 와 같은 새로운 소재의 지르코니아가 출시되고, 새로운 소결방식이 개발되어 지르코니아 기공시간을 단축시킬수 있게 되었고, 높은 투명도의 풀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짧은 시간 안에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발전은 당일 풀지르코니아 보철수복을 현실로 이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