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 사회

Search Result 3,251, Processing Time 0.505 seconds

디지털교과서 활용 시 정보 활용 능력 수준이 학생의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level of ICT Ability on Social Competency of Student in Digital Textbooks)

  • 안성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65-574
    • /
    • 2018
  • 최근 3년간의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분석 연구를 종합해 본 결과에 따르면 학생의 정보 활용 능력과 비판적 사고력은 디지털교과서 활용의 주요 효과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정보 활용 능력은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있어 정보 활용능력이 학생의 사회적 역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이를 위해서 상, 중, 하로 학생의 정보 활용 능력 수준을 구분하고 각 수준별로 사회적 역량(의사소통 능력, 협업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의 정보 활용 능력은 문사회적 역량(의사소통 능력, 협업 능력)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사회적 역량(의사소통 능력, 협업 능력)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 활용 능력 수준이 전체 점수에서는 '하'의 그룹이 사회적 역량에 가장 큰 상관관계와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향상도 점수에서는 '상'의 그룹이 가장 큰 상관관계와 영향력(의사소통 능력 제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해서는 다양한 방식의 정보 활용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전자책 환경을 위한 사회적 어노테이션 및 탐색 지원 기법 (Social Annotation and Navigation Support for Electronic Textbooks)

  • 김재경;손원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486-1498
    • /
    • 2009
  • 최근 전자 도서관 분야에서는 기존의 종이책을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할 때 원본 문서의 모든 정보를 보존 할 수 있도록 스캐닝을 통한 이미지 기반의 형식을 이용하는데 주력하여왔다. 텍스트 형식의 문서와는 달리 이미지 형식의 문서는 해당 문서가 가진 정보를 쉽게 인식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가 접근, 처리 및 검색 등 디지털 문서로서 이미지를 활용하는데 에는 새로운 기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기반 문서에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어노테이션 및 사회적 탐색 지원 기법을 적용하여 디지털 문서의 사용성을 높이고, 특히 기존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서 문제적으로 지적돼온 학습자의 낮은 참여율을 제안 기법을 통하여 개선하였다. 제안 기법은 현재 대학원 수업에 적용되어 어노테이션 및 사회적 탐색기법이 학습자가 학습 자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교육 시스템의 활용성을 얼마나 높이는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 PDF

여성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digital literacy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Korean women: a mediation analysis focusing on the role of social support)

  • 이아영;정순둘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0-207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depressive symptoms, as well as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upport in this relationship, among older women (60 years and older) in Korea. Methods: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User Experience Evaluation Survey, which was conducted by the Ewha Institute for Age Integration Research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digital information for older adults research from May to September 2020. Survey data on depressive symptoms, digital literacy, and social support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women included work status (B=-.19, p=.01), social support (B=-.17, p<.001), self-rated health (B=-.13, p=.003), and digital literacy (B=-.10, p=.005), which had an explanatory power of 33%. In addition, social support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depressive symptoms (B=-.05, SE=.02; 95% CI, -.09 to -.02).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e need to develop and apply interventions that promote digital literacy among older women to mitigate depressive symptoms by increasing social support.

콘텐츠연재 /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정책연구

  • 임은모
    • 디지털콘텐츠
    • /
    • 2호통권93호
    • /
    • pp.76-81
    • /
    • 2001
  • 하루가 다르게 서울의 스카이라인이 바뀌고 있다. 수도 서울의 발전과 변화는 그만큼 정치, 경제, 문화, 사회가 성숙되어 가고 있다는 반증일 뿐 아니라 우리의 비전마저 읽게 한다. 서울의 스카이라인이 바뀌고 있다는 얘기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역시 정책 당국자의 미래지향적 정책 운영을 가늠케 한다.

  • PDF

학습에서 디지털기술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Digital Technology in Education)

  • 장문경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2호
    • /
    • pp.153-165
    • /
    • 2022
  • 코로나19 팬더믹 사태로 인해 교육 및 학습 활동이 온라인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게 되면서, 교육 및 학습에 정보통신기술을 사용하는 것은 더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가 되었으며, 에듀테크(Edutech) 스타트업에 대해 벤처캐피탈은 역대 최대 투자액을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필수능력인 된 디지털 리터러시와 함께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을 같이 고려하여, 학습에서 디지털기술을 사용하려는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는 요소인 연령에 따라 달라지는 요인들의 영향력 차이를 분석하였다.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이 학습에서 디지털기술을 사용하려는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 리터러시는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학습에서 디지털기술을 사용하려는 의도에 직접적으로 끼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의 조절효과를 보기 위해 실시한 다중집단분석 결과, 사회적 영향이 학습에서 디지털기술을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에 미치는 경로에 대해 10대와 60대, 20대와 60대, 30대와 60대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 측면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통합기술수용이론을 함께 고려하여 학습이라는 특정상황에서 디지털기술을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의 외연을 확대하는데 기여했으며, 실무적 측면에서 학습 참여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디지털기술을 사용하게 만들 때에 연령별로 주요하게 고려해야할 요인에 대한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셜게임의 사회적 기능 향상에 관한 개발 모델 제안 (Study on the Development Model and Improvement of Social Function of Social Games)

  • 김태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449-454
    • /
    • 2015
  • 본 연구는 소셜게임의 사회적 기능과 개발모델에 관한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및 개발 모델을 제안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셜게임 사회적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행변수들을 관련이론 분석과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소셜게임의 사회적 기능 개발 모델을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소셜게임의 사회적 기능 모델을 정서적 유대감, 개방적커뮤니케이션, 공동체감, 상호작용 집중에서 설명되는 항목들을 구체화하여 사회적 기능 향상 척도를 도출하였고, 다양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및 소셜게임 관련이론을 바탕으로 소셜게임 사회적 기능향상 요소를 입증하여 소셜게임 개발 모델를 제시하였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자기결정성이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on Social Presence in Online Community)

  • 권두순;김진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3호
    • /
    • pp.81-9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에 도움을 주는 중요한 요인들의 내재적 동기인 사회적 실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인과관계를 실증 연구하고자 한다. 결과를 분석해 보면, 사회적 실재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유능성, 관계성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자율성이 사회적 실재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능성은 사회적 실재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성은 사회적 실재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실재감은 충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리터러시에 기반한 디지털 기기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sage of Digital Device Based on Digital Literacy)

  • 고학능;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219-222
    • /
    • 2019
  • 4차 산업혁명이 언급되면서 3D 프린터, 로봇,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신기술이 발전하고 이는 사회 구조를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새로운 디지털 기기, 기술들을 이해하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중요해지고 있다. 2015 OECD PISA에서 ICT 배경조사 중 한국은 접근성, 활용성 부분과 2018 국가수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연구,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의 인식 여부 및 활용 여부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디지털 기기 활용 공간 구성 및 디지털 기기 활용 콘텐츠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먼저 구체적 조작기인 초등학생임을 고려하여 디지털 기기 위주 프로그램으로 선정하였다. 디지털 기기 활용 공간은 기반 기기로 컴퓨터(노트북), 유 무선 인터넷, 디지털 기기로 3D 프린터 및 3D 프린팅 펜, 스마트폰 기반 VR기기, AR마커, 블록코딩 기반 피지컬 컴퓨팅 교구 등을 이용해서 구성하였다. 활용하는 콘텐츠는 학생들의 인식 여부 및 수준에 맞춰 체험 위주의 프로그램과 학습, 콘텐츠 제작, 문제해결 프로그램으로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