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 리터러시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6초

지속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한 소상공인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지표 개발 연구: 3차 산업(숙박 및 음식점업, 도·소매업,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Study of Digital Literacy Indicators(Checklist) for Micro Business Owners for Continuous Digital Transformation: Focusing on the Tertiary Industry)

  • 최정문;이정훈;김지원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0권1호
    • /
    • pp.81-95
    • /
    • 2023
  • As the DT of micro businesses emerges as an important task, the government is also promoting support projects such as policy establishment and micro business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new index (checklist) that can objectively measure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required for DT in the tertiary industry, which accounts for the largest share of micro business owners. In this study, indicators were derived through review of existing studies and FGI,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Likert 5 were measured for decision makers in the tertiary industry. In the field of digital literacy for micro business owners, a total of 22 indicators were developed, largely composed of basic technology environment competency, information utilization competency, information dissemination and production capability, and mind recognition capability.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can contribute to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digital capabilities of micro business owners by developing a digital literacy index for micro business owners, a specific group lacking in research.

치위생학과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전공만족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level and major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 이민아;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21-331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gital literacy and major satisfaction levels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identify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m as well as the factors related to major satisfaction.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223 dental hygiene students. Digital literacy and major satisfaction were measur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and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The participants' digital literacy averaged 3.87 points, and their major satisfaction averaged 3.82 points. The digital literacy factor related to major satisfaction was critical thinking skills (β=0.747, p<0.001). This indicates that the higher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the higher the major satisfaction.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63.7%. Conclusions: Critical thinking skills as a factor of digital literacy were found to influence dental hygien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suggesting that a curriculum that can increase critical thinking can improve major satisfaction.

코로나-19 확산 시기별 디지털 격차: 모바일 인터넷 이용량 증가를 중심으로 (Digital Divide in the Era of COVID-19: Focused on the Usage of the Mobile Internet)

  • 김현정;김범수;김미예
    • 지식경영연구
    • /
    • 제25권1호
    • /
    • pp.193-215
    • /
    • 2024
  • 본 연구는 코로나-19시기에 따라 디지털로의 변화가 요구되는 시대 속에서 디지털 격차를 일으키는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2020년과 2021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실시한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두 해의 데이터 분석에서 일관되게 신뢰성과 타당성 기준을 충족한 항목을 사용하여 연구모델을 구축하였다. 연구 방법은 SmartPLS 4를 분석 도구로 사용하여 PLS-SEM 및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0년과 2021년을 통합한 코로나-19 시기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량은 디지털 역량, 활용, 사회참여를 제외한 활용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활용의 영향은 코로나-19 시작 시기보다 확산 시기에 큰 폭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코로나 확산이 지속되면서 디지털 활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고, 그에 따라 인터넷 이용 증가도 같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코로나-19 확산 시기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이용량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인구통계요인이기보다는 앞서 검증한 디지털 활용 변수가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하였다. 특히, 모바일 인터넷 이용량 증가에는 디지털 활용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디지털 서비스 이용자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구성 시 디지털 활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디지털 리터러시와 건강 임파워먼트가 노인의 의사와의 소통에 미치는 영향 연구: 건강신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and Health Empowerment on Elders' Communication with Doctor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Health Beliefs)

  • 안순태;임유진;정순둘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3-62
    • /
    • 2022
  •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the elderly group's digital literacy and health empowerment on communication with doctors, considering moderating effect of health beliefs about chronic diseases. Methods: A one-on-one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with 500 older adults in South Korea. The main variables were digital literacy, health empowerment, communication with doctors, and health belief of chronic diseases. Result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health empowerment and susceptibility, and health empowerment and perceived barrier were significant. Conclusion: Communication with doctors greatly increased when the elders had high levels of health empowerment and low levels of susceptibility. Also, communication with doctors greatly increased when the elders had high levels of health empowerment and low levels of perceived barriers.

학습에서 디지털기술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Digital Technology in Education)

  • 장문경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2호
    • /
    • pp.153-165
    • /
    • 2022
  • 코로나19 팬더믹 사태로 인해 교육 및 학습 활동이 온라인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게 되면서, 교육 및 학습에 정보통신기술을 사용하는 것은 더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가 되었으며, 에듀테크(Edutech) 스타트업에 대해 벤처캐피탈은 역대 최대 투자액을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필수능력인 된 디지털 리터러시와 함께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을 같이 고려하여, 학습에서 디지털기술을 사용하려는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는 요소인 연령에 따라 달라지는 요인들의 영향력 차이를 분석하였다.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이 학습에서 디지털기술을 사용하려는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 리터러시는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학습에서 디지털기술을 사용하려는 의도에 직접적으로 끼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의 조절효과를 보기 위해 실시한 다중집단분석 결과, 사회적 영향이 학습에서 디지털기술을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에 미치는 경로에 대해 10대와 60대, 20대와 60대, 30대와 60대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 측면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통합기술수용이론을 함께 고려하여 학습이라는 특정상황에서 디지털기술을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의 외연을 확대하는데 기여했으며, 실무적 측면에서 학습 참여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디지털기술을 사용하게 만들 때에 연령별로 주요하게 고려해야할 요인에 대한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기독교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성경 스토리텔링의 활용 방안 (Application Plan of Bible Storytelling in Writing Education of Christian Universities)

  • 이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183-19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대학의 이념과 인재상에 적합한 글쓰기 교육 형태를 제안하고 그 효과적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서 디지털 글쓰기 개념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한 "성경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디지털 글쓰기" 교육 형태는 크게 두 활동으로 구성된다. 첫째는 성경 청취와 묵상이요, 둘째는 미디어 텍스트 창작이다. 첫 활동에는 '성경 스토리텔링의 청취와 관찰', '탐구와 묵상'이 포함되며, 두 번째 활동에는 창작을 의미하는 '적용과 실천,' 공유를 의미하는 '공동체 나눔'이 각각 포함된다. 이러한 교육 형태를 제시하고 난 후, 본 연구는 다음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다양한 매체 활용과 상호 작용성의 장점 활용, 둘째, 스토리텔링의 개인 및 공동체의 치유적 효과 활용, 셋째, 글쓰기와 기독교 교육(신학)의 영역 모두의 전문성 확보, 넷째, 미디어 리터러시와 글쓰기 영역 모두의 전문성 확보,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양한 유형의 글쓰기로의 확장적 적용이다.

포스트 디지털 세대에 대한 교육목회 유형 (Types of Educational Ministry for The Post Digital Generation)

  • 이원일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0권
    • /
    • pp.11-3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교육학의 실천신학적 접근에 대한 연구로서 실천신학적 접근의 유형에 따른 아홉 가지 교육목회 유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사역의 현장으로서 교회, 사회 이외에 개인적 자아의 차원과 사역을 강조하고자 하며, 이미 논의된 철학적이며 신학적 관점에서의 개인적 실존적 차원, 발달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삶의 주기 신학의 차원 이외에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포스트 디지털 시대가 주는 함의에 기초하고자 한다. 포스트 디지털 시대는 디지털의 인간화로 말미암는 친인간적 디지털 문화를 의미하며, 따뜻한 디지털 문화를 특징으로 하는 시대를 말한다. 이와 연관된 세대를 포스트 디지털 세대라고 한다. 포스트 디지털 세대를 위한 교육목회는 기존의 교회적 차원 및 사회적 차원과 함께 개인적 차원을 포함한다. 세 가지의 교육목회 현장에 대해 간학문적 특성에 따라 비판적 과학적 방법, 비판적 고백적 방법, 비판적 상관 관계적 방법 등으로 아홉 가지의 교육목회 유형이 분류된다. 아홉 가지의 교육목회 유형들에 따른 포스트 디지털 세대가 함양해야 할 대표적인 핵심역량들은 미디어 리터러시, 관계적 정체성, 의사소통, 하이터치, 제자로서의 삶, 매체활용, 통합적 소명, 협업능력, 그리고 다문화 가정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적 회복탄력성 등이다. 포스트 디지털 시대에 포스트 디지털 세대를 위한 교육목회는 역량들에 대한 함양을 필요로 한다.

사무직 직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인센티브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중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Study of Moderating Effect of Incen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Informal Learning of Office Workers: A Chinese Case)

  • 지유첸;백지연;조현정;이지연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3호
    • /
    • pp.173-192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사무직 직원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무형식 학습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디지털 리터러시와 무형식 학습 사이의 인센티브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로는 첫째, 사무직 직원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무형식 학습과 정적인(+)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둘째, 사무직 직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회사의 인센티브(물질적 인센티브, 비물질적 인센티브)는 조절효과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 사무직 직원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ICT를 잘 다루는 능력과 정보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구인하였는데, ICT를 잘 다루는 능력은 직무수행을 통한 지식획득, 자기개발 능력 함양, 타인과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가졌고, 정보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능력도 직무수행을 통한 지식획득, 자기개발 능력 함양, 타인과의 학습과 정(+)의 관계가 가졌다. 디지털 리터러시와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물질적 인센티브와 비물질적 인센티브를 투입하여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는데, 정보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능력과 직무수행을 통한 지식획득 사이에만 물질적 인센티브와 비물질적 인센티브가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그 외의 관계에서는 인센티브가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중국 사무직 직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무형식 학습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디지털 리터러시와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인센티브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중국 기업의 사무직 직원 채용 및 교육 설계, 회사 인센티브의 보상 방식의 설계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경북 문화콘텐츠산업의 현황과 육성 방향 (Present State and the Promotion Course of Culture Contents Industry in Gyeongbuk Province)

  • 서곡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37-144
    • /
    • 2009
  • 경북 문화콘텐츠산업은 소비지향적 구조, 영세성, 부족한 인프라, 불균형, 전략 부재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하지만, 경북 문화콘텐츠산업은 풍부한 문화자원, 문화콘텐츠산업의 전망, 미래의 효과적인 육성전략으로 인해서 그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육성방안으로는 문화원형의 디지털화, 유교 문화의 에듀테인먼트, 전통문화디지털센터의 구축, 장소마케팅, 다큐영상원 건립, 문화 리터러시, 작은 영상 지향, 글로벌 도시와 문화거점 도시의 육성, 킬러 콘텐츠 개발, 관광자원 개발, 차별화 전략 등이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은 고부가가치, 관련 산업에 대한 영향력, 디지털문화콘텐츠의 효용성, 시장 규모의 확대, 빠른 성장속도 등의 측면에서 경북도 문화콘텐츠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사범계 대학생의 SNS 소통 행태 및 인식 탐색 :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Exploration on Secondary Education Undergraduates' SNS Communication Patterns and Perception : Focused on KAKAOTALK)

  • 박선희;김성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27-3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범계 대학생들이 보편적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중 하나인 카카오톡 환경에서 나타나는 소통 행태와 활용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86명의 사범계 대학생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10명에게 심층면담조사를 병행한 혼합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카카오톡은 대학생에게 공적 사적인 인적 네트워크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능을 하고, 자신의 의견, 생각, 존재 자체를 표현하는 보편적인 도구이지만, 여전히 면대면 소통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대학생들은 카카오톡 환경이 대학생의 삶, 즉 일상의 생태계에 포함되어 있으며, 자유롭게 자신의 이미지를 조정, 관리하고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소통의 공간으로 여기고 있었다. 셋째, 그들은 카카오톡을 통하여 심리적으로는 외로움을 해소하거나 자신을 지지하는 힘을 얻기도 하였으며, 공적 또는 사적 단톡방 용도에 따라 소통 내용에 차이가 있었다.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세대간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안에서 느끼는 인지심리학적 변인을 비교 분석하고 온라인 교육의 차원에서 디지털 문화 리터러시 지침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