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액터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Motion Control and Animation of Digital Actor (디지털 액터의 동작제어 및 애니메이션)

  • 고형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625-628
    • /
    • 1999
  • 인간 동작의 애니메이션에 대해서는 지난 30년 동안 애니메이션 연구가들의 많은 관심을 모아 왔다. 최근에는 그 동안의 축적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을 애니메이션으로 처리하기 위한 디지털 액터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 액터는 일반적인 휴먼 애니메이션에 의해 요구되는 사실성 면에서 차원을 달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디지털액터의 모델링 및 애니메이션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을 검토해 보고, 본인이 속해있는 서울대학교 휴먼애니메이션 연구단에서 수행해 가고 있는 연구테마와 중간 결과들을 소개한다.

  • PDF

Photo-Realistic Digital Image Content Production Technology (실사 수준의 디지털 영상콘텐츠 제작기술)

  • Jeong, I.K.;Kim, H.D.;Park, K.J.;Park, C.J.;Baek, S.M.;Chu, C.W.;Lee, I.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0 no.4 s.94
    • /
    • pp.3-15
    • /
    • 2005
  • 최근 흥행에 성공을 거둔 대부분의 영화는 첨단 CG 기술을 제작 공정의 50% 이상 활용하고 있으며 점차 영상 콘텐츠 제작에 CG 기술 사용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ETRI 디지털 콘텐츠 연구단에서 연구 개발중인 실사 수준의 디지털 영상콘텐츠 제작기술에 관해 소개한다. 개발 기술은 현장 요구가 많은 대표적인 CG 기술인 영상기반 모델링, 영상기반 렌더링, 디지털액터 표현, 디지털액터 상호작용, CG/실사합성 기술을 포함한다. 엑스트라급 디지털액터 및 디지털 환경 제작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주연급 디지털액터 및 디지털 환경 제작 도구를 개발할 예정이다.

Technical Trend of Motion Capture (모션캡처 기술 동향)

  • Lee, Min-Gi;Park, Seong-Gyu;Park, Geun-Pyo;Yang, Seon-U;Lee, Beom-Ryeol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2 no.4 s.106
    • /
    • pp.35-42
    • /
    • 2007
  • 1990년부터 디지털콘텐츠 제작에 사용되고 있는 모션캡처 기술은 제작비 절감, 콘텐츠의 리얼리티(reality) 향상이라는 장점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최근 디지털콘텐츠가 고품질화 함에 따라 리얼리티의 중요도가 매우 커졌으며, 이로 인해 디지털액터를 리얼하게 움직이기 위한 모션캡처 기술의 활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모션캡처를 데이터 추출 방식에 따라 분류하고, 각각의 장단점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산업계를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는 상용화 기술 동향에 대해 기술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An online storytelling authoring and viewing tool using user defined sketch (사용자 스케치를 이용한 온라인 이야기 저작 및 감상 도구)

  • Kim, Jeong-Sik;Lee, Eun-Woo;Nam, Y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179-182
    • /
    • 2002
  • 웹을 저작 공간으로 사용한 Wiki Wiki Web[4]은 텍스트 자원을 사용한 복잡하고 다양한 이야기의 표현이 가능하며 실시간은 아니지만 시분할 방식의 이야기 공동 저작과 감상을 지원한다. 하지만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여 그림일기와 같은 그림과 텍스트 내공이 복합된 이야기를 저작하는 경우, 저작자는 텍스트 자원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그림이 표현되어야 하는 부분을 표현할 수 없으며 공동저작을 손쉽게 하는 자동화 도구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저작도구의 사용에 대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처럼 그림일기나 동화 등의 다양한 형태의 이야기를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자원들을 사용하도록 하고 손쉬운 이야기를 구성하도록 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저작도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저작자가 온라인상에서 직접 그린 스케치 영상을 사용하여 이야기의 배경과 캐릭터를 만들고 그것을 이야기 저작 소재로 사용하도록 하는 배경 및 액터 생성도구를 제공하고 다양한 형태의 이야기를 저작자가 손쉽게 표현하도록 하는 이야기 구성의 자동화 도구를 제공하면서 여러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이야기 저작과 감상에 공동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저작된 결과를 애니메이션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도구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Motion Capture System for Digital Entertainment (디지털 엔터테인먼트에서의 모션 획득 시스템)

  • Lee, Man-Woo;Kim, Soon-Goh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7 no.5
    • /
    • pp.85-93
    • /
    • 2007
  • The motion capture system has shown its great potential as a new image expression means for handling such challenging tasks as realistic animation of humans or animals in motion, which cannot be handled by the existing key frame method satisfactorily, and also projects involving a large scale or a burdensome economic expenses. Its applications also has been intensified and widened in the entertainment arena including motion pictures, TV, advertisements, documentaries, music videos, etc. centering around games. Despite of these merits, though, a number of issues have been surfaced in the digital image expression utilizing the motion capture system, such as a burdensome amount of preparatory work, the needs for attachment of markers and for remedial corrections of motion data, and the lack of trained manpower. We would like to present in this paper a new direction for making the digital image production more efficient, based on the extensive analysis of prior image production projects that used the motion capture system.

Research on Use of Character Animation by Robert Zermeckis and James Cameron (로버트 저메키스와 제임스 카메론의 캐릭터 애니메이션 이용)

  • Yoon, Soo-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5
    • /
    • pp.157-171
    • /
    • 2011
  • James Cameron's Avatar was a stunning success for digital characters. Digital animation character creation was not suddenly enabled by visual technology, rather it was a result of numerous attempts of combining animation and live action film with the help of technology advancement. Two pioneers in this field are James Cameron and Robert Zemeckis. Although continuous interest and research in visual technology existed, the two directors differed in how they viewed the use of technology. The difference is demonstrated in their two recent movies which will be covered in details. How these two directors differed in their approach remains a topic of study for us who continuously are exposed on advance visual technology and our reaction to the changing nature of the industry.

The Innovation System of the Korean Motion Picture Sector (한국 영화산업의 기술혁신체제 분석)

  • Ji, Ill-Yong;Ko, Young-Wook;Seo, Eun-Young;Choung, Jae-Yo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4 no.2
    • /
    • pp.343-372
    • /
    • 2011
  • Since the introduction of motion pic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motion picture industry has gradually evolved as one of the world leaders. However, due to the rapid technological change as exemplified by the emergence of the new digital and 3D cinema technologies, there is a need to re-consider the existing technology policy and strategy designed for the adoption and effective use of new technologies. In this paper, the authors address this issue by emphasizing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side rather than the use/adoption side. In order to provide policy makers with critical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sector, we analyzed the sectoral innovation system of the Korean motion picture industry. In order to conduct this analysis, we re-visited previous literature and interviewed experts in the motion picture sector. Then, the authors attemp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Korean motion picture industry. Based on the insights gained from this research, we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is sector. However, the implications from this paper are not limited to the motion picture industry. As the motion picture industry is a new case for innovation studies, our paper may provide new research opportunities to the academia.

  • PDF

A Study on Technology Trends of CG in Visual Effects and Suggestion (CG 특수효과(VFX) 제작 기술동향분석과 제안)

  • Choi, Sung-Kyu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2 no.4
    • /
    • pp.591-599
    • /
    • 2009
  • The rapid development in computer technology has led to remarkable development in the field of VFX that used in making real picture film. In the past, it was very hard work to make the VFX scenes by means of analogue ways. But these days, CG Animation technology has them make rapid progress and dazzle with brilliance. Recently we can judge the most advanced technology and IT technology based on CG technology introduced in VFX. VFX on CG technology becomes the concentration and the symbol of the most advanced technology. I study manufacturing movement of VFX on CG technology. It shows manufacturing tools are subdivided and the interface is convenient to use, so that artists have applied analogue manufacturing technology easily. The improvement of the computer has made it possible to develop CG technology and tools for hyper-realism. Industries and laboratories in the country get excellent result but we have to concentrate on people in this field more. First of all, we get out of technology copy of Hollywood and we have to develop creative and leading tools reflecting the artists' idea. indust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