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자인 프로토타입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3초

효율적인 감정 전달을 위한 성별 기반 캐릭터형 이모티콘 디자인 (Design of Character Emoticon based on Sex for Efficient Emotion Communication)

  • 이현기;양장훈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641-1652
    • /
    • 2018
  • 본 연구는 성별에 적합한 이모티콘을 개발하기 위해 간사이 공학의 방법을 이용하여 이모티콘을 제작하였다. 우선 여러 문헌을 통하여 도출된 디자인 가이드 라인에 따라 이모티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이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요소 분석에 의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각기 성별에 따라 다르게 도출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프로토타입에 반영하여, 성별을 고려한 이모티콘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총 3종류의 이모티콘에 대해서 감정표현도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부 이모티콘에서는 연구자의 의도와 같게 성별에 적합한 이모티콘이 설계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수의 이모티콘에 있어서는 성별과 제작된 이모티콘간의 일관성 있는 특징을 찾기 어려웠다. 각 이모티콘의 상세 분석결과 이러한 결과가 발생한 주요한 원인 중의 하나로 디자인 가이드 라인의 상세함이 부족했다고 판단되며, 이 연구 결과는 향후 남녀 사용자의 감정 표현에 적합한 캐릭터형 이모티콘의 개발 및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온도 제어기 설계를 위한 유한 요소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환경 프로토타입 구현 (Development of a Prototype of FEM Simulation Environment for Temperature Controller Design)

  • 장유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696-702
    • /
    • 2010
  • 온도 제어를 필요로 하는 많은 산업 응용분야에서는 통상적으로 온도제어 대상물체를 특정 목표온도에 매우 가깝게 도달하도록 히터들의 출력을 조절한다. 제어 대상물체의 매우 느린 온도변화 반응과 이웃한 히터들에 의해 발생하는 열 간섭 현상은 다양한 산업 응용분야에서 요구되는 성능을 충족시키는 온도 제어기 설계를 매우 어렵게 하는 요인이며 많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온도 제어기 설계를 위해서는 반복적인 실험이 매우 중요하지만 대상물체의 가열과 냉각에 매우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개선될 수 없는 현실이 존재한다. 따라서 대상물체의 온도 변화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를 적절한 시간 내에 충분히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으며 제어기 설계에 편리하게 응용 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환경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온도 제어를 필요로 하는 산업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유한요소법(FEM: Finite Element Method)을 이용한 2D 시뮬레이션 환경의 프로토타입을 MATLAB을 이용해서 구현했다. 개발된 프로토타입은 기본적인 물체 외형 디자인, 추가 경계 설정, 메쉬 생성 및 FEM 수치해석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예제를 통하여 동작의 유용함과 편리함을 보였다.

웹기반 기초학력 진단-보정학습 시스템의 사용자 친화적인 개선 프로토타입 개발 (User-friendly Improved Prototype Development on Web-based Diagnostic-supplement Learning System for Basic Academic Skills)

  • 황윤자;차현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63-78
    • /
    • 2019
  •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기초학력 지원을 위해 2015년부터 초 중등 교사를 대상으로 활용되고 있는 기초학력 진단-보정 학습 시스템의 사용성 문제를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유형(학교관리자 및 교사)별 UX/UI를 기초 설문조사, 사용자 테스팅, 심층 인터뷰, 전문가 휴리스틱스 등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양적/질적 사용성 평가결과 분석을 통해 도출된 개선사항을 반영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시스템으로 개선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단위로 활용하고 있는 기초학력 진단-보정 학습 시스템을 사용자 유형(관리자/교사/학생)별 맞춤형 기능 및 UX/UI 개선을 통해 사용자 친화적 시스템으로 개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컴퓨터공학 분야의 캡스톤디자인 모델 사례 연구 (Case Study on Capstone Design Model for Computer Engineering)

  • 강환수;조진형;김희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57-6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동양미래대학 컴퓨터정보공학과의 캡스톤디자인 관련 교과목을 소개하고, 2015년 1년 동안의 운영 사례를 통하여 컴퓨터공학 분야의 캡스톤디자인 모델을 제안한다. 2015학년도 1학기와 2학기에 각각 운영된 '시스템분석설계'와 '졸업작품(종합설계)'에 대한 운영 사례에서 수업 일정과 내용 등을 제시하고, 컴퓨터공학 분야에서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현장실무형 인재양성을 위한 캡스톤디자인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캡스톤디자인 모델의 수행 단계를 교과목계획, 프로젝트계획, 개발 구현, 결과보고, 학생 및 교과목평가, 교과목환류의 6단계로 제안하며, 각 단계에서의 주요 사항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캡스톤디자인 모델의 특징은 거시적인 관점에서 '교과목계획'과 '교과목환류'와 같은 사전 사후 단계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제시하며, 소프트웨어공학 요소인 프로토타입과 형상관리 등을 활용한다는 점이다.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여행 애플리케이션 UI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ravel Application UI Design for Improving User Experience)

  • 이지연;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369-374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1500만 명을 훨씬 넘어 현재에도 빠르게 상승 중인 국내의 여행객들에게 보다 정확하고 편리한 사용자 중심의 User Interface를 통해 효율적으로 국내 및 해외여행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5점 리커르트(Llkert) 척도 및 명목척도를 사용하여 UI 디자인에 관한 평가 설문지를 재구성한 뒤, 총 1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추가로 여행 애플리케이션을 자주 사용하는 10명에게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들이 사용성, 정보정확성 등의 어느 부분에서 편리함 및 어려움을 느끼고, 개선되기를 바라고 있는지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조사한 부분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UI 프로토타입과 추가적인 UI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색조와 색상차를 이용한 디지털 미디어 시스템의 설계 방안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esign of Digital Media Systems using Hue and Color Contrast)

  • 김진우;전석원;이수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9권3호
    • /
    • pp.133-156
    • /
    • 2007
  • 컴퓨터의 대중적 보급은 아날로그 컨텐츠들의 디지털화를 유도하고 있다. 컨텐츠의 디지털화는 종래의 아날로그 컨텐츠를 위한 미디어 시스템과는 차별화된 디지털 미디어 시스템의 출현을 초래하였다. 종래의 아날로그 미디어와는 달리 디지털 미디어 시스템은 다양한 사용목적과 사용범위를 한 시스템 내에 포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미디어 시스템 내부에 융합되어 있는 다양한 하위 시스템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를 파악하고 그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미디어에 대하여 갖는 관여도와 동기에 따라 효과적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디자인 요소로서 색상차와 색조를 계시하였다. 그리고 색상차와 색조를 이용하여 디지털 미디어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구축하였다. 프로토타입을 이용한 통제된 실험결과 색상차와 색조는 사람들이 시스템에 대해서 느끼는 공간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더 나아가 디지털 미디어 시스템의 사용성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간사이 공학을 적용한 유니버설 모바일웹 매거진 디자인 (Mobile Web Magazine Design based on Kansei Engineering and Universal Design)

  • 이현기;양장훈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227-1237
    • /
    • 2017
  • 본 연구는 간사이 공학을 토대로 모바일웹 매거진에 대한 디자인 개선안을 연구하였다. 우선, 설문조사를 통한 요소 분석으로 데이터를 수집한 뒤, 이를 모바일웹 매거진의 모바일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자인 요소와 연결시켜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과 밀접한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감성 요소를 유니버설디자인의 방법론에 적용하여 도출된 디자인방향대로, '매력있는', '개방적인', '개성있는' 등 각 감성요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요소인 슬라이드의 디자인, 텍스트의 배치, 이미지의 비중 등을 개선하여 모바일웹 매거진 디자인 프로토타입에 적용하였다.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서 제안 설계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Rich User Experiences 콘텐츠 'Nurimaru Web VR' 제작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ch User Experiences contents 'Nurimaru Web VR')

  • 정성훈;이동훈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5-629
    • /
    • 2008
  • Web 패러다임의 변화속에서 Web VR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풍부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디자인 요소를 알아보고 이를 부산의 'Nurimaru APCE House' Web VR 콘텐츠 프로토타입 개발을 통해 서술하고자 한다.

  • PDF

예비수학교사들의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 기반 교육실습 활동 경험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xperience on Design Thinking based Teaching Practicum)

  • 이지연;김훈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35-256
    • /
    • 2020
  • 본 연구는 예비수학교사의 교육실습 현장수행 역량을 높이기 위해,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를 활용한 대학수업과 학교 현장의 교육실습 연계형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참여한 예비수학교사들의 경험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9학년도 1학기 교육실습 대상자인 예비수학교사 8명이 참여한 대학 전공 수업에 디자인 사고 5단계 프로세스를 적용한 후, 참여자 집단 및 개별 면담 자료와 디자인 사고 활동 결과물 등 질적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수업에서의 디자인 사고 1~4단계를 통해 참여자들의 인식은, 초기에 공감 단계의 혼돈과 막연함에서 시작하였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프로그램 활동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교육실습 중, 디자인 사고의 5번째 단계인 평가단계에서는, 참여 예비수학교사들이 이전단계에서 생성한 프로토타입의 적용성을 확인하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였다. 다만, 일부 현장의 허용적이지 않은 상황으로 인해 프로토타입의 적용에 어려움을 가진 사례도 있었다. 셋째, 교육실습 후, 대학수업에서의 평가 및 성찰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디자인 사고 활동의 필요성에 긍정적으로 공감하였다. 끝으로, 대학수업과 학교현장의 교육실습 간 융통성 있는 연결을 위해 두 영역의 긴밀한 연계가 전제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블록 스트라이프 패턴의 디자인 요소가 감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sign elements of Block Stripe Pattern on Sensibility)

  • 이영진;정혜진;박희주;이주현;조길수
    • 감성과학
    • /
    • 제5권3호
    • /
    • pp.21-28
    • /
    • 2002
  •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을 반영하는 한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블록 스트라이프 패턴 (block stripe pattern)에 대한 디자인 요소를 조사하였다. 자극물은 명도차(3가지), 배열(2가지), 폭(2가지), 간격(3가지)의 4가지 요소를 조작하여 구성되었다. 36가지 조합 중에서 사전 조사에서 독립적인 감성을 보이는 27개를 최종 자극물이 선정되었으며, 남녀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감성평가를 실시하였다. 4가지 디자인 요소가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12개의 감성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물리량에 근거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각 자극물과 감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각 디자인 요소가 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ANOVA 분석한 결과, 명도차, 간격, 폭, 배열의 순서로 의미있는 감성차이를 유발하였으며 명도차는 거의 모든 감성에서 감성차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설명력 높은 디자인 요소로 분석되었다. 디자인 요소 레벨에 따른 감성의 차이를 살펴보면, 폭이 좁을수록 '수수한', '깨끗한', '모던한', '심플한', '편한' 감성을, 간격이 좁을수록 '강렬한', '보수적인' 감성을, 명도차가 작을수록 '고급스러운', '모던한', '수수한', '심플한', '점잖은', 보수적인', '소프트한', '깨끗한', '편한' 감성을 나타내었다. 감성을 요소별 물리량으로 예측한 회귀모형을 도출한 결과, 12개의 감성 중 '보수적인', '캐주얼한', '모던한' 감성을 제외한 모든 감성에 대해 R²가 0.6 이상의 높은 적합도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 감성이 반영된 2가지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