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자인지식

검색결과 480건 처리시간 0.026초

정성적 모델에 기초한 비교분석의 확장 기법 (An Extension Technique of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Qualitative Model)

  • 김현경
    • 지능정보연구
    • /
    • 제12권4호
    • /
    • pp.51-60
    • /
    • 2006
  • 정성적 추론은 자연 세계에 대한 정성적, 직관적인 지식을 밝혀내어 코드화하는 목표를 갖고 연구되어 왔다. 정성적 추론은 전자, 기계 등의 도메인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그 실효성을 입증할 수 있었으나, 대부분의 추론은 시뮬레이션에 집중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주어진 상황에서 변화가 발생했을 때, 이 변화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파급되는지를 예측할 수 있는 정성적 비교분석 기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파라미터의 상대적인 변화의 파급만을 예측한 기존의 연구에 상대적 변화의 증가율 변화에 대한 추론을 추가하여 확장하였다. 상대적인 주어진 상황에 대한 인과모델이 정성적 분야 모델로부터 형성되고, 여기에 비교분석 추론 기법을 적용하여 변화의 연쇄적인 인과 관계를 추적하게 된다. 이러한 기법은 변화의 예측 뿐 아니라, 이런 변화를 이끌어낸 인과 관계를 설명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어, 디자인, 진단, 지능형 교육 시스템, 환경 영향평가 등에 이용되리라 기대된다.

  • PDF

소셜 빅데이터 기반 융합연구 동향 분석 (Trend Analysis of Convergence Research based on Social Big Data)

  • 노영희;김태연;정대근;이광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35-146
    • /
    • 2019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함께 학제간 융합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점에서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학술적 연구를 넘어 융합연구 전반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소셜미디어에서 융합연구와 관련하여 2009년 1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약 10년간 게시된 글과 제목 등 약 150,000건을 수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간별로 워드클라우드와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각 기간별로 활발하게 진행된 연구분야는 2009년과 2010년에는 친환경, 2011년과 2012년에는 스마트, 2013년과 2014년에는 정보통신, 2015년과 2016년에는 로봇, 2017년과 2018년에는 인공지능이다. 또한 약 10년간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연구분야는 문화, 디자인, 화학, 나노, 바이오, 로봇, IT, 정보통신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간별 융합연구 동향을 파악하므로 써, 융합연구를 기획하고 있는 연구자들에게 연구방향을 설정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대한 대학생의 지식, 교육요구도 및 예방행위 수행도 (A Study of the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f College Students about Coronavirus Disease-2019 and Preventive Behavior Adopted Against it)

  • 김진희;윤정숙;박재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09-121
    • /
    • 2021
  • Purpose : The first case of coronavirus disease-2019 (COVID-19) disease outbreak in Korea occurred in January 2020, and the cumulative number of confirmed cases by the Central Defense Response Headquarters of the Quality Management Administration as of November 30 was 34,201. Looking at the incidence trend of domestic confirmed cases by age, the incidence rate of COVID-19 in the age group of 20-29 years, which corresponds to college students, was 27.4 %, the highest compared by age group.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infection rate, universities will become the centers of new COVID-19 cases if face-to-face lectures are recommenced without preparatory measures and analysis of infection prevention (e.g., infection awareness and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Thus,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knowledge, educational needs, and preventive behavior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about COVID-19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COVID-19 for college students. Methods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bout COVID-19, educational needs, and degree of preventive behavior performance in 407 college students attending one University in Gyeonggi-do. Results : The subjects' knowledge score about COVID-19 was 12.46±1.39 points, average educational needs score was 29.16±3.14 points, and prevention behavior performance survey result was 35.50±3.61 points. Moreover,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knowledge about COVID-19 and educational needs (r=.203, p<.001) and knowledge and preventive behavior performance (r=.140, p=.005). Further, educational needs and preventive behavior performance demonstr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r=.311, p<.001). Conclusion : Therefore, organizing an educational program to acquire accurate knowledge is necessary to make it a habit for college students to practice preventive behavior against COVID-19.

미용전문대학생들의 현장실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Beauty College Students)

  • 임순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69-76
    • /
    • 2021
  • 본 연구는 미용전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장실습에 참여한 학생들의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에 대한 깊이를 확인하고 어떠한 과정에서 실천적 지식과 의미에 대해 구성해 나가는지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미용전문대학생들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0년 10월부터 12월까지 심층 명담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장실습에 대한 기대', '실무교육의 필요성', '현장실습에서 경험한 어려움', '현장실습의 견딤' 4개의 본질적인 주제모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용과의 현장실습을 수행함에 있어서 현장실습을 대처하기 위한 자신감을 가지고 학습경험의 효과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학습경험의 효과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보다 체제적으로 디자인 되어야하는 중요성이 필요할 것이다.

위치기반 시맨틱 검색을 위한 반응형 웹 애플리케이션 구현 (Implementation of Responsive Web Application for Location-based Semantic Search)

  • 이수형;이용주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12
    • /
    • 2019
  • 기존의 Open API들과는 달리 링크드 데이터는 웹 자체를 하나의 거대한 지식베이스로 만들어 수준 높은 SPARQL 질의를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데이터셋으로부터 서로 다른 정보들을 매쉬업하여 하나의 새로운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 기반 시맨틱 검색을 위한 반응형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링크드 데이터인 DBpedia와 Google에서 제공하는 GoogleMap API를 매쉬업하고 검색된 개체들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맨틱 브라우저 기능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은 반응형 웹 디자인 사상을 적용하여 PC 및 모바일 등 다양한 접속 환경에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시스템은 기능이 유사한 현존 시스템들과 기능 스펙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시맨틱 사용, 링크드 기반 브라우저, 매쉬업 기능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본 시스템의 우수성을 보여준다.

융합영상콘텐츠 교육을 위한 XR 콘텐츠저작 프레임워크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Development of XR Contents Authoring Framework for IT Convergence Education)

  • 임익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633-639
    • /
    • 2020
  • 비전공자 대상으로 확장현실기반 융합영상콘텐츠 제작에 대한 교육적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 교육도구는 턱없이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비전공자 대상으로 확장현실기반 융합영상콘텐츠 제작에 대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요구사항의 구현을 위한 프레임워크 기능을 설계하였다. 기능 설계를 바탕으로 프로그래밍 지식이 없는 IT 비전공자 학생이 게임엔진을 활용하여 드래그 앤드 드롭과 같은 간단한 방법을 통해 확장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여기서 프레임워크란 재사용 가능한 반 완성된 응용프로그램 템플릿 코드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프레임워크의 교육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산업 디자인 전공 2학년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XR 콘텐츠 제작 교육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90%가 넘는 학생들이 실제 오큘러스 리프트에서 작동되는 수준의 콘텐츠 개발에 성공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전공자를 위한 확장현실기반 융합영상콘텐츠 교육과정의 품질을 향상하는 데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 콘텐츠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에 대한 수요지향 평가자 간 신뢰도 분석 및 개선 방안 (Reliability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for Evaluation of Program Outcomes among Demand-driven Raters)

  • 이영호;신영학;김종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10-418
    • /
    • 2021
  • 공학교육인증제를 운용하는 공학교육 프로그램에서 프로그램 학습성과는 학생이 졸업하는 시점까지 갖추어야 할 지식, 기술 그리고 태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학습성과 성취도를 측정하는 평가도구로 캡스톤디자인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에 참여한 수요지향 평가자들의 평가 결과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급내 상관계수(ICC)를 계산한다. 즉, 같은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여러 명의 평가자가 학습성과를 평가하게 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평가자의 ICC를 구한다. ICC는 단체로 수집되거나 단체로 분류된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의 등급을 측정하는 데 이용된다. ICC가 1에 가까우면 평가자 간 신뢰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지난 2년간의 4년제 대학 컴퓨터공학과 PO 평가 결과에 적용하여 평가도구의 신뢰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이용하여 평가자 간 ICC 측정값을 이용하면, 객관성이 부족한 평가도구를 찾아 보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PO 평가체계에 대한 개선방안과 PO 수행 지침을 도출한다.

패션 디자인 주체에 따른 패션디자이너 역량 및 제품 품질 지각 -Human vs. Human+AI vs. AI- (Perception of Fashion Designer's Capability and Product Quality -Human vs. Human+AI vs. AI-)

  • 정주리;장세윤;이유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743-759
    • /
    • 2023
  • Collaboration between AI and fashion designers is becoming essential. Thus, this study explored (1) 321 consumer responses to fashion designers, comparing their capabilities and product quality across different designer types, (2)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er capabilities and perceived product quality, and (3) the moderating role of AI knowledge in the effect of capabilities on perceived product quality. Data were analyzed using EFA, ANOVA, regression, and moderat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ubjects perceived human designers as having higher capabilities and perceived product quality than AI designers. All subjects' perceived creativity and empathy significantly impacted the perceived functionality, aesthetics, and symbolism-sociality of clothing. Additionally, the perceived creativity of AI and human+AI designers, and the perceived empathy of human and human+AI designer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erceived functionality and symbolism-sociality, but the perceived creativity of human designers and empathy of AI designers did not directly impact perceived functionality and symbolism-sociality. Moreover, perceptions of the designers' capabilities significantly aesthetics in all subjects. Furthermore, low levels of perceived consumer AI knowledge enhanced the positive impact of perceived human+AI designers' creativity and empathy on perceived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The study suggests that fashion companies should refrain from revealing AI designers at this time.

국내 거주 외국인 유학생의 정보검색행위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Information Search Behavior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 윤정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59-277
    • /
    • 2022
  •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웹 검색엔진을 사용한 정보검색행위를 분석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15명의 외국인 유학생들은 3가지 검색 태스크에 포함된 6개의 검색질문에 대한 답을 찾도록 하였으며, 각 태스크 별로 사전 설문지 작성, 검색 수행, 사후 설문지 작성으로 실험이 진행되었다. 검색 태스크의 특성에 따라 검색성과와 검색행동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공통적으로 한국어의 유창성이 높은 참가자들의 검색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검색주제에 관한 사전지식이 검색성과에 항상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메뉴와 링크를 통하여 웹사이트를 탐색해서 답을 찾는 태스크의 경우, 정답이 포함된 웹페이지 앞에서도 정답을 간과하는 경우가 발견되었다. 또한 오답을 찾고 그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국내의 외국인 거주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비원어민들이 탐색하기에 용이한 웹사이트를 디자인하고 양방향 소통 수단이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되었다.

패션 큐레이션(curation) 쇼핑에 영향을 미치는 컨텍스트 특성과 소비자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xt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Affecting Fashion Curation Shopping)

  • 김주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1-51
    • /
    • 2023
  •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ontext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that affect fashion curation shopping.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ere 223 questionnaires targeting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who had had the curated shopping experience in the latest three months. The SPSS program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and a reliability measurement,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ashion curation shopping exhibited three factors: product subscription, marketing use, and product recommendation shopping. Furthermore, the context characteristics had sub concepts of five factors: selection, sharing, experience, discovery, and storage. Second, the context characteristics (selection, sharing, experience, discovery, and storag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oduct subscription, marketing use, and product recommendation, which belong to the curation shopping category. Third, the fashion consumers' price sensitivity, trend sensitivity, and product knowledge had a deep impact on the marketing use and product recommendation. Four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ashion curation shopping by male and female consumers and the average monthly fashion shopping frequency,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shopping cost and time. This study can analyze the context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that affect fashion curation shopping to establish an efficient fashion curation shopping system in practical terms. Additionally, academically, it can be proposed as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s for analyzing consumer behavior that prefers fashion curation shopp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