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자인선호

검색결과 831건 처리시간 0.033초

아파트 실내 이미지 선호와 성격유형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artment Interior Image Preference ana Personality Types.)

  • 이종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229-240
    • /
    • 2003
  • 주거공간의 질적 만족도 향상과 거주자의 다양하고 개성있는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계획된 이 연구는 개인주택과는 달리 다수의 불 특정인을 대상으로 디자인되어야 하므로 다양한 평면계획을 세리 건설하기보다는 보편적인 디자인으로 계획할 수밖에 없는 공동주택(아파트)의 한계점을 극복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조사대상자 360명을 선정하였고, 실 거주자의 선호도를 파악했던 선행연구에 의해 검증된 아파트 실내이미지 유형과 MBTI라고 하는 성격유형검사와 연계하여, 조사대상자의 성격유형에 따라 실내이미지 선호가 달라지는가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거주자가 요구하는 실내공간의 이미지 특성 및 이에 따른 각종제품에 대한 선호를 예측, 공급할 수 있게 하여, 아파트에서 살기를 원하는 거주자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중 여대생의 결혼관과 웨딩드레스 디자인 선호도 (Wedding Perspective and Preference for Wedding Dress Design of Korean and Chi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 반가;박혜령;김은하;이창식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77-86
    • /
    • 2020
  • 본 연구는 한·중 여대생의 결혼관과 웨딩드레스 디자인 선호도를 비교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 여대생 191명과 중국 여대생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PC+ 25.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신뢰도 분석, 교차분석, 평균비교분석이었고, 검증은 카이 스퀘어 및 t검증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여대생은 결혼하겠다는 응답이 중국 여대생보다 높았다. 중국 여대생은 결혼을 희망하는 이유로 경제, 생활, 부모 관련 문항에서 한국 여대생보다 높았다. 또한 결혼을 희망하지 않는 이유로는 배우자에 관한 걱정, 일에 대한 걱정, 경력에 관한 걱정 등에서 중국 여대생이 높았다. 둘째, 한국과 중국 여대생이 선호하는 웨딩드레스 디자인은 네크라인에서 차이가 있었다. 끝으로 미래 웨딩산업의 중국 진출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고객의 패션 선호도를 반영한 모바일 의류 추천 시스템 (A Mobile Fashion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Individual Fashion Preferences)

  • 박진탁;권류혁;임현재;이현화;문희강;김유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25-112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여성들의 개별 패션 선호도로부터 패션 선호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맞는 의류를 추천하는 모바일 의류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패선 선호관련 설문조사로부터 대응표본 T-검정 방법을 이용하여 선호 특성과 의류와의 유효한 관계를 찾고, 이를 바탕으로 선호 특성에 따른 의류 분류 기준을 작성하였으며, 카이제곱 검정 방법을 통해 선호 특성과 의류 사이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선호 특성에 따른 선호 의류 추천을 위한 규칙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규칙을 활용하여 각 사용자의 구입의사 및 패선 선호 특성에 따른 의류를 추천해 주는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이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10 점 만점에 7.1 점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바일 의류 추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선호 의류를 추천 받을 수 있으며, 이로부터 제품의 정보 부족으로 발생하였던 모바일 쇼핑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라이프스타일 기반 다학제적 청년층 1인 가구의 주거 환경 선호 및 요구 분석 (A Study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reference and Needs of the Multi-academic Young Single Family Based on Life Style)

  • 임준형;최인영;박혜경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7권1호
    • /
    • pp.249-260
    • /
    • 2019
  • 최근 우리나라 1인가구의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2035년에 들어서는 34.6%로 증가할 것이라 예측되며 이들 중, 우리나라 높은 주택가격으로 인하여 청년층 1인가구는 더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청년 주거지원을 확대실시하여, 공공지원 임대주택과 민간 청년임대주택, 청년 기숙사 공급 등 다양한 정부정책을 펼쳐 나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 연령대와 라이프스타일이 다른 청년층 1인가구의 정확한 주거요구를 파악하여 향후 보급될 청년 주택 계획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청년층 1인가구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청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주거선호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청년층 1인가구의 주거환경 선호 및 요구에 대한 조사도구를 구성하였다. 셋째, 청년층 1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을 바탕으로 한 공간사용특성과 평면구성 선호 및 요구, 실내디자인 선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8년 12월에서 2019년 1월 초까지 학생과 직장인을 포함한 20세에서 39세 사이의 청년층 1인 가구 150명을 대상으로 SNS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간사용특성을 살펴본 결과, 작은 면적인 청년 1인 주거에서 침실과 거실이 기본적 기능 외 다양한 생활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계획시 이에 대한 추가적 고려가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2) 평면구성 선호 및 요구를 살펴본 결과, 별도의 침실과 거실 공간 확보를 요구하며,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거실공간에 대한 확장요구와 침실공간의 드레스룸 등의 수납 추가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실내디자인 선호를 살펴본 결과, 모던스타일과 대표적 컬러인 무채색계열 색채를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주거공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감재료를 선호하며, 조명은 간접조명 및 벽면을 이용한 은은한 조명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년층 내에서도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른 학생과 직장인의 차별적 실내디자인 선호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향후 실제 공공임대주택의 사례분석과 사용자 범위확대를 통하여 실질적인 주거환경니즈와 계획방안 제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인터넷리서치 시스템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net Research System Development)

  • 윤봉식;김태호;홍정표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2-43
    • /
    • 1999
  • 방송매체 및 인터넷의 발달 등으로 인해 제품수명주기는 과거에 비해 극도로 짧아져 지속적인 제품개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경쟁시장속에서의 기업생존 및 성장은 보장할 수 없게 되었다. 시간이 더해 갈수록 세분화되고, 다양해지는 소비자의 욕구와 가치척도는 상품 구매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디자인 속성이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에 의해 다양한 조사방법으로 소비자 선호 조형에 근접하기 위한 노력이 실시되고 있다.(중략)

  • PDF

비쥬얼 이미지 정보의 점화효과에 따른 디자인 적용방안 - 상업용 웹사이트 배경화면 디자인을 중심으로 - (Design Applications Caused by Priming Effects of Visual Image Information - Based on Background Designs for Commercial Web Site)

  • 김은영;류시천;이진렬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273-280
    • /
    • 2003
  • 점화효과(Priming Effect)라 함은 상황효과(Contextual Effect)의 일부로서 "앞서 본 정보에 의해 뒤에 나오는 제품정보의 해석이 영향을 받게되어 제품평가가 달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점화효과가 다른 상황효과와 구별되는 점은 앞서나온 정보가 제품의 평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제품정보의 해석에 영향을 미침으로 인해 제품평가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위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점화효과의 개념을 디자인 분야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온라인 쇼핑몰 디자인에 있어 시각적 이미지들이 제품의 선호도와 선택에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하는지 파악하였다. 디지털카메라를 대상제품으로 '가격과 '크기'에 관한 속성을 점화시킨 웹 페이지를 각각 설계하여 제품에 대한 선호도 차이를 실증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 점화된 속성에 따른 제품의 선호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상업용 웹 페이지의 배경화면이 제품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라는 점을 인지하고 이러한 점화효과를 디자인과 접목시켜 온라인상의 광고에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있기를 기대해본다.

  • PDF

코즈 브랜딩 개념을 적용한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이 소비자 구매 욕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smetic package design with the concept of Cause branding on consumers' desire to purchase)

  • 고진;김보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479-486
    • /
    • 2017
  • 이 연구는 코즈 브랜딩의 개념이 적용된 화장품의 패키지 디자인을 통해 소비자의 선호도와 가치관을 분석하여 니즈를 파악해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패키지 디자인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화장품 구매 시 패키지 디자인을 구매요인에서 중요시하는 실험집단을 모집하여 코즈 브랜드 제품과 일반 브랜드 제품을 비교하여 설문과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1차 실험은 패키지 디자인 선호유형 분석 문항에서 추출하여 인지적, 감성적, 행동적 반응으로 분류한 문항을 통해서 총 3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2차 실험은 Sheth의 소비가치 기준에서 4가지를 발췌하여 만든 질문을 통해 총 6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소비자들은 제품의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디자인을 선호하였다. 특히 코즈 브랜드 제품인지 파악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패키지에 명시되어야 할 것이다.

롤랑바르트의 기호학을 이용한 추상적 책표지 디자인에 관한 분석 (Analysis on the book cover design using Roland Barthes' Semiotics)

  • 이은영;김보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357-362
    • /
    • 2020
  • 본 연구는 추상적인 국내 책 표지 디자인의 신화를 분석함으로써,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적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 수용자들은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선호도 조사까지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 출판사인 열린책들에서 30주년 기념으로 출간되었던 시리즈 중 <개미>와 <향수>를 선정하였다. 책표지디자인의 의미작용 분석 결과, 첫째,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적 접근법은 추상적인 책표지디자인을 구성하는 시각적 요소의 기호현상을 파악하기에 적합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수용자들은 추상적인 형태의 디자인이 전하는 바를 잘 전달받고 있었지만 선호도 부분에 있어서는 개인적인 차이를 보여 확실한 결과를 얻기 어려웠다. 본 연구는 책표지 디자인에 나타나는 내면적 의미의 중요성과 함께 그래픽 디자이너들에게 전달자와 수용자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재가 고령여성의 실내복 개발을 위한 디자인 선호에 관한 조사 및 디자인 제안 (A survey on design p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indoor wear for elderly women at home and suggestion of design items appropriate for them)

  • 이재향;박광애;양정은
    • 복식문화연구
    • /
    • 제31권3호
    • /
    • pp.379-393
    • /
    • 2023
  • In this study, a survey focusing on the status of clothing interest, inconveniences resulting from clothing, preferred design items, etc. was conducted on 364 elderly women to suggest aesthetically and functionally appropriate indoor wear design for at home elderly women aged 60 years or older.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in general, the respondents' interest in clothing was high, and more respondents in their 70s or older had difficulty in the action of opening and closing. With respect to considerations when purchasing clothes, color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design as respondent's age increased, and size wa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especially among those in their 80s. The preferred top styles were T-shirts and blouses among those in their 60s and 70s, and T-shirts and shirts among those in their 80s. The preferred sleeve lengths were "below the elbow" and "above the wrist" in all age groups. The preferred sleeve hem type was "tightening" in all age groups. The most preferred bottom styles were "straight-leg pants" and "elastic waistband." This study suggests the design items of indoor wear, including top, bottom, and overgarment for warmth, appropriate for elderly women at hom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clothing industry for elderly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