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자인경영

검색결과 503건 처리시간 0.04초

핫이슈 - 포장디자인은 소비자 기억을 촉진시키도록 디자인 되어야 한다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276호
    • /
    • pp.98-101
    • /
    • 2016
  • 월간 포장계에서는 금번 4월호부터 12월호에 걸쳐, 패키지디자인에 있어서의 심리학의 중요성을 피력해 보고자 한다. 본 지는 이를 통해 패키지디자이너는 물론 경영자, 패키지 관련 용기, 기계, 재료 등 전 분야의 종사자들이 패키지디자인을 하는데 있어서 마케팅적 사고의 범주에서 벗어나 소비자 심리를 이해하고 공감하기를 기대해 본다. 본 고에서는 '포장디자인은 소비자 기억을 촉진시키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는 명제 아래, 패키지디자인은 기업의 일방적인 메시지에 앞서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를 소비자 가치 기준에 맞춰 디자인해야 할 것을 강조해 보고, 소비자의 기억을 촉진시켜 구매로 유도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디자인 해야할 것을 제시해보도록 한다.

  • PDF

성과 촉진자로서의 HRD 시스템적 관점 (A Systems Perspective on Performance Engineering in HRD)

  • 허갑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1호
    • /
    • pp.241-258
    • /
    • 2013
  • HRD 프로페셔널은 계획, 조직 개발, 조직 디자인 등과 같은 전략적인 경영 협력 활동을 통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특정한 개입 방안만을 제시하는 것은 조직의 기본적인 시스템을 변화시키거나 향상시킬 수 없으므로 시스템적 관점을 지향하는 것은 전략 개발에 중요하다. 조직을 시스템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HRD 프로페셔널은 문제해결에 있어서의 조직 내 저항을 잘 다룰 뿐만 아니라 변화관련당사자와의 협업을 통해 제시된 문제해결의 효과를 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밝힐 수 있어야한다. 또한 HRD 프로페셔널은 경영 목표들간의 일치 혹은 통일성, 프로세스 디자인, 프로세스 운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성과에 대한 정책과 실행을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기획하는 것 역시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 PDF

디자인과 경영 콘텐츠학습 태도를 기반으로 한 기업 경영자 교육의 효과 연구 (Effect of Design & Business Content Class on the Improvements of Learning Attitude for Corporate Learning Program)

  • 조윤형;이상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55-165
    • /
    • 2014
  • 본 연구는 기업의 경영자 교육 효율 재고를 위해 학습태도 모형을 실증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분류된 학습자의 성격강점과 학습 친화력 강화와 학습태도 개선의 인과 관계를 검증하였다. 최근 기업들은 온 오프라인 경영자 재교육을 통해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려고 시도하고 있다. 연구자는 디자인과 경영분야 교과목을 접목하여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경영자 교육에 함의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은 공히 학습자 성격강점이 친화력강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친화력강화도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학습태도 개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은 모두 학습자 성격강점이 학습태도 개선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친화력 강화 변인이 매개변수 역할을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로고디자인이 브랜드 연상과 소비자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mpact of Logo Design on Brand Association and Consumer Emotions)

  • 김정열;이재연
    • 산업융합연구
    • /
    • 제5권2호
    • /
    • pp.33-51
    • /
    • 2007
  • environmental has given rise to a world where consumer persue satisfaction in quality and quantity of products. From this point of view, a study of the impact of logo design on brand association and consumer emotions is very important and useful. For this study, we investigate on the basis of preceding studies. Finally,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a more specific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brand association and consumer emotions.

  • PDF

전문적 체계정립을 위한 디자인비즈니스 유형구조화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ing of Professional System for Design Business)

  • 김보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17-26
    • /
    • 2004
  • E-business 경제사회가 성장하고 문화, 창조산업은 물론 컨텐츠와 지식산업의 성장이 가시화되면서 기존 기업경영 환경에서 논의되어오던 비즈니스 유형은 더욱 다양하게 확장되고, 이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는 디자인 분야에서도 디자인경영의 확산과 그 동안 영세하고, 비전문적으로 이루어졌던 디자인비즈니스의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지금까지 디자인비즈니스는 디자인산업, 디자인서비스의 개념과 동일시되어 독립적으로 논의되어 오던 개념이 아니었다. 특히 디자인비즈니스는 암묵적인 프로세스 내에서 이루어져 왔고, 이는 다시 개념적 불확실성과 체계적인 시스템 부족으로 이어졌다. 때문에 이러한 문제는 독립적인 사업을 통한 자본적, 사회적 성공과 발전기반을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인 전문 회사들이나 디자인경영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시대적 변화에 적합한 디자인비즈니스 모델개발이나 발전전략 마련에 한계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비즈니스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립을 이루고, 디자인비즈니스의 유형을 그 활동 형태에 따라 맞춤형, 기성형, 제공형, 계약형로 정립하고, 비즈니스 대상을 제품, 보조서비스, 지식, 프로모션으로 확대하여 활동형태와 대상에 따른 디자인비즈니스 유형의 구조 틀을 구축하였다. 이는 디자인 비즈니스 유형에 대한 보다 확장된 개념을 제공함으로써 디자인비즈니스 활동의 확산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도울 것이다.

  • PDF

벽지의 디자인 요소 및 감성적 특성에 의한 고급감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Luxuriousness Model for Wall Paper Design based on Visual and Tactile Characteristics)

  • 반상우;이주환;김인기;이철;윤명환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3-197
    • /
    • 2006
  • 본 연구는 감성 공학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벽지의 디자인 요소와 소비자의 감성과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헌조사, 인터뷰 전문가 의견 등을 종합하여, 총 13개의 주관적 감성 변수(6개의 시각적 변수, 7개의 촉각적 변수) 와 4개의 벽지 디자인 요소(color, texture pattern, embossing depth, gloss)들이 추출되었으며, 최종 목표 감성은 '고급감'으로 정하였다. 9점 척도와 100점 척도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하여, 28개의 샘플 벽지에 대해서 30명의 목표 고객들을 대상으로 감성 평가 실험을 실시하였고, 주성분 회귀 분석, 수량화 이론 등을 이용한 분석을 통하여, 소비자의 감성과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했으며, 고급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감성 변수 조합과 디자인 요소 조합을 규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