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등응력확대계수

Search Result 6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Computation of Stress Intensity Factors using Generalized Finite Element Method (일반유한유소법을 이용한 응력확대계수 계산)

  • Hong, Won-Tak;Lee, Phill-Seu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52-5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일반유한요소법(Generalized Finite Element Method)를 이용하여 응력확대계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기존의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응력확대계수를 계산하기위해서는 J-integral 방법 등을 이용한 후처리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균열선단 근방에서의 응력을 기술하기 위해서는 세밀한 요소망(mesh)이 요구된다. 후처리 과정과 균열선단 근방에서의 요소망은 수치적 오류를 발생시키고 이는 정확한 응력확대계수를 얻는데 어려움을 준다. 일반유한요소법은 근사함수를 요소망의 영향 없이 추가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활용성 측면에서 기존의 유한요소법보다 복잡하여 실용성이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유한요소법의 장점을 충분히 살려 균열선단근방에서는 응력을 모델링하여 근사함수로 사용하고 균열선단에서 거리가 먼 곳은 기존의 유한요소를 써서 계산을 하였다. 특별한 후처리 과정(Post processing) 없이 비교적 정확한 응력확대계수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일반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제시된 방법론이 타당함을 수치 예제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of Unsteady Propagation of Mode III Crack in Arbitrary Direction in Functionally Graded Materials (함수구배재료에서 임의의 방향을 따라 비정상적으로 전파하는 모드 III 균열해석)

  • Lee, Kwang Ho;Cho, Sang Bong;Hawong, Jai Su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9 no.2
    • /
    • pp.143-156
    • /
    • 2015
  • The stress and displacement fields at the crack tip were studied during the unsteady propagation of a mode III crack in a direction that was different from the property graduation direction in functionally graded materials (FGMs). The property graduation in FGMs was assumed based on the linearly varying shear modulus under a constant density and the exponentially varying shear modulus and density. To obtain the solution of the harmonic function, the general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of the dynamic equilibrium equation was transformed into a Laplace equation. Based on the Laplace equation, the stress and displacement fields, which depended on the time rates of change in the crack tip speed and stress intensity factor, were obtained through an asymptotic analysis. Using the stress and displacement fields, the effects of the angled property variation on the stresses, displacements, and stress intensity factors are discussed.

Determination of Stress Intensity Factor for the Crack in Orthotropic Materials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유한요소법에 의한 직방성재료 내 균열의 응력확대계수 결정)

  • 조형석;강석진;이성근;임원균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7 no.1
    • /
    • pp.59-65
    • /
    • 2004
  • The stress intensity factors have been widely used in numerical studies of crack growth direction. However in many cases, omissive terms of the series expansion are quantitatively significant, so we consider the computation of such terms. For this purpose, we used the finite element method with isoparametric quadratic quarter-point elements. For examples, infinite square plate with a slant crack subjected to a uniaxial load is analyzed. The numerical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wide range of crack tip element lengths and inclined angles. The numerical results obtained are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solutions. Also they were accurate and efficient.

부식환경에서의 파괴 및 피로

  • 이동영
    • Journal of the KSME
    • /
    • v.28 no.4
    • /
    • pp.313-321
    • /
    • 1988
  • 어떤 구조물이 반복하중을 받으면 피로파괴를 일으킨다. 만일 이 구조물이 부식환경 속에 앗 으면 불활성 분위기나 공기 중에서 보다 빨리 파괴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흔히 부식 피로라고 한다. 부식피로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대략 기계적 변수, 금속학적 변수, 환경 변수로서, 기계적 변수에는 최대응력 확대계수, 응력확대계수범위, 응력비, 반복하중 주파수, 반복하중파형, 응력상태, 잔류응력, 균열의 크기 및 모양 등이 있으며 금속학적 변수로는 합금 조성, 합금원소와 불순물의 분포, 미세조직과 결정구조, 열처리, 소성가공, 집합조직 등이며 환 경변수에는 온도, 환경의 형태(기체, 액체), 부식성분의 분압 또는 농도, 전기화학적 전위, pH, 수용성 환경의 점성, 피복, 부식억제제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부식환경 속에 있는 구조물의 파 손을 이해하기 위하여는 응력부식과 부식피로를 공부하여야 한다. 이 현상은 매우 복잡한 문 제이기 때문에 아직도 완전히 이해되지 않은 상태이고 따라서 중요한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여기서는 응력부식과 부식피로의 파괴역학적인 측면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충격 및 폭발하중에 의한 동적파괴 해석기법

  • 김경수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0 no.3
    • /
    • pp.22-29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균열이 존재하는 구조부재에 충격이나 폭발하중이 가해진 경우 동적응력확대계수를 구하는 방법들은 논의하고 특히 코오스틱 실험법 및 수치적으로 코오스틱 곡선을 구하여 동적응력확대계수를 구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폭발 및 충격에 의한 구조물의 파괴해석은 이와 같은 하중을 받는 압력용기, 빌딩, 초고속선, 해군 함정 등의 파괴강도설계 및 안전성 평가에 핵심기술로 대두되고 있으며 또한 우주항공산업, 고속전철, 암반역학 등의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앞으로도 균열진전 및 정지조건, 탄소성 동적파괴해석 및 재료의 충격거동 등에 대한 연구들이 계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valuation of the Fatigue Behavior before and after Wall Thickness Penetration in Carbon Steel Pipes with Circumferential Part Through-Wall Surface Crack (원주방향 미관통 표면결함을 가지는 탄소강 배관의 두께관 통전.후의 피로거동 평가)

  • Seok-Hwan AH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36 no.2
    • /
    • pp.147-154
    • /
    • 2000
  • 실온 대기 중에서 탄소강배관(STS370)의 피로시험을 행하였다. 배관에는 외부결함을 인공적으로 상정하여, 피로균열진전 및 관통의 거동, 균열형상, 누설 및 파단수명, 균열개구변위를 실험과 이론의 양면으로부터 비교·검토하였다. 특히, 배관의 벽두께 관통후에 있어서의 응력확대계수를 평가하기 위하여 새로운 식을 제안하였다. 피로균열이 관벽을 관통하기 전에 있어서는 판모델에 의한 Newman-Raju의 응력확대계수 평가식을 이용하므로서 aspect비와 누설수명 등 관통전의 피로균열성장거동을 평가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피로균열이 관벽을 관통한 후에 있어서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배관모델에 의한 응력확대계수의 평가식을 이용하여 관통후의 균열형상, 파단수명 및 균열개구변위 등 관통후의 피로균열성장거동을 평가하였다.

  • PDF

Three-Dimensional Virtual Crack Closure Technique Based on Anisoparametric Model for Stress Intensity Factors of Patch Repaired Plates with Cracks at Notches (접착 보강된 노치 균열판의 응력확대계수 산정을 위한 비등매개변수 모델 기반의 3차원 가상균열닫힘법)

  • Ahn, Jae-Seok;Woo, Kwang-S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1A
    • /
    • pp.39-48
    • /
    • 2012
  • This study deals with numerical determination of stress intensity factors of adhesively patch-repaired plates with cracks at V-shaped or semicircular notches. The p-convergent anisoparametric model are considered and then three-dimensional virtual crack closure technique is presented using formulations of anisoparametric elements. In assumed displacement fields of an element, strain-displacement relations and three-dimensional constitutive equations are derived with three-dimensional hierarchical shape functions expanded from one-dimensional Lobatto functions. Transfinite mapping technique is used to represent a circular boundary. The present model provides accuracy and simplicity in terms of stress concentration factor, stress distribution, the number of degrees of freedom, and non-dimensional stress intensity factor as compared with previous works in literatures. Stress intensity factors obtained by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crack closure technique are estimated with respect to the variation of width of finite plate, radius of notch root, angular inclination of V-shaped notch, and crack length.

Evaluation of the Stress Intensity Factor for a Crack in Bimaterial Plate by the Boundary Method (경계요소법에 의한 이종재료내 크랙의 응력확대계수 평가)

  • Kim, Sang-Cheol;Im, Won-G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9 no.2
    • /
    • pp.108-115
    • /
    • 1992
  • 이종재료의 접합면에 수직으로 존재하는 크랙에 대하여 경계요소 해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 실용가능한 수치 근사해을 얻을 수 있었다. 크랙을 정확히 모델링하기 위하여 크랙표면을 분리영역으로 하는 영역분할법을 채택하였으며, 해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등매개 2차요소로의 경계분할과 함께 크랙선단에서 표면력의 특이성을 나타내도록 하였다. 응력확대계수는 크랙표면상 절점의 상대변위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또한 이종 재료내 크랙에 대하여 응력확대계수를 간단히 구할 수 있는 간편해석법을 제안하고 이의 적용 가능한 범위를 제 시하였다.

  • PDF

Determination of Stress Intensity Factor for the Crack in Anisotropic Solids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유한요소법에 의한 이방성재료내 균열의 응력확대계수 결정)

  • Lim, W.K.;Jin, Y.K.;Kang, S.J.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1.11a
    • /
    • pp.234-239
    • /
    • 2001
  • The stress intensity factors have been widely used in numerical studies of crack growth direction. However in many cases, omissive terms of the series expansion are quantitatively significant, so we consider the computation of such terms. For this purpose, we used the finite element method with isometric quadratic quarter-point elements. For examples, infinite square plate with a slant crack subjected to a uniaxial load is analyzed. The numerical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wide range of crack tip element lengths and inclined angles. The numerical results obtained are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solutions. Also they were accurate and efficient.

  • PDF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Stress Intensity Fantors considering Pressure of Crack-Face (균열면의 압력을 고려한 응력확대계수의 결정에 관한 연구)

  • 진치섭;최현태;이홍주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7 no.3
    • /
    • pp.175-186
    • /
    • 1995
  • The determination of the stress intensity factors is investigated by sur-face integral method around the crack tip of the nlass~vc: concrete structure. The surface integral met hod is naturally derived from the standal-ci path integral J. Howevcr. In the J integral method, pressure in the crack-face and body forces can not be considered, while this theory has advantage of ccmsidering many kind of forces, so t.his theory will be useful in investigating more accurate strt:ss states around crack tip. Furthermore. t h~s rrlethod can elerninate unntussary process of using singular elements and fine mesh around crack tip which is used 11; modelling the singularity around crack tip. A computer program for determming $K_I$, $K_{II}$ is tfcvulopcd by applying this theory. $K_I$, $K_{II}$ values usmg X noded isoparametric elements which was proved and variation of the stress intensity factor was investigated by application of darn struc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