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등급 제어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7초

강제적 접근방식과 역할기반 접근제어 그래프를 기반으로 한 보안모델 설계 (Security Model Design based on MAC and RBAC Graph)

  • 박기홍;김응모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27-30
    • /
    • 2001
  • 일반적인 운영체제의 보안과 마찬가지로 데이터베이스에서도 보안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다. 다중등급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상위등급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위등급 데이터가 하위등급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하위등급 데이터로 유입된다면 데이터의 무결성(integrity)이 깨지게 되어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시스템 전체의 보안도 위협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량의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 다양한 보안등급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다양한 등급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때 이를 강제적 접근제어(MAC:Mandatory Access Control)와 역할기반 접근제어(RBAC:Role-Based Access Control) 그래프를 이용해 사용자 보안등급에 따른 접근과 상위등급의 데이터가 하위등급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는 보안 모델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 PDF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보안을 위한 타일 단위의 접근 제어 기법 (A Tile-based Access Control Method for the Security of Spatial Database)

  • 강동재;오영환;김재홍;배해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B)
    • /
    • pp.18-20
    • /
    • 2000
  •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권한이 없는 사용자의 접근, 고의적인 파괴 혹은 우발적인 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보안정책의 수용이 필요하다. 보안등급의 적용 단위는 필드, 객체, 레이어 단위의 방법이 있으며, 객체 단위의 보안등급 적용은 인접한 객체의 위상관계에 의한 정보 유출의 문제점이 있고, 레이어 단위 보안등급의 적용은 공간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타일 단위의 접근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타일 단위 접근제어 기법은 보안등급 적용 단위를 타일(Tile)로 하며 레이어, 지도의 보안등급은 하위 수준인 타일과 레이어에 부여된 보안등급의 최하위 등급으로 각각 설정한다. 제안한 기법의 구현을 위해 타일의 구조와 스키마를 정의하고, 보안 유지를 위한 연산 제약사항을 기술한다. 연산 제약 사항은 기본적으로 BLP의 속성을 따르고, 상위 등급 객체에 대한 수정 방지와 하위 등급 객체에 대한 수정 허용을 위해서 BLP 속성을 확정한다. 제안된 기법은 레이어 단위의 접근제어 기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며 인접한 객체 사이의 위상관계에 의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한다.

  • PDF

등급 기반의 QoS 보장을 위한 서비스 요청 필터링 알고리즘 (User Request Filtering Algorithm for QoS based on Class priority)

  • 박혜숙;백두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0A권5호
    • /
    • pp.487-492
    • /
    • 2003
  • 멀티미디어 콘텐츠 스트림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자 실적 또는 등급에 따라 자원을 배분하고 서비스 요청과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트림 서버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명서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는 방안으로서 사용자 등급별 QoS 보장을 위한 서비스 요청 필터링 알고리즘(URFA : User Request Filtering Algorithm)을 제안한다. URFA는 사용자들의 요금 실적과 서비스 이용 실적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 등급(우수 등급, 기본등급)을 나누고 등급별 스트림 서버의 승인비율을 제어함으로써 서버자원의 이용효율을 높이고 사용자 등급에 따라 품질 수준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유도루프식 열차제어시스템 안전무결성등급 할당 (An Allocation of Safety Integrity Level to Inductive Loop type Train Control System)

  • 류승균;박재영;윤학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905-1910
    • /
    • 2013
  • 논문은 유도 루프식 열차제어시스템에 대하여 준 정량적 안전무결성 등급(Safety Integrity Level : SIL)할당 방법을 적용하여 안전무결성 등급을 할당한 결과이다. 유도 루프식 열차제어시스템은 ATS장치, 지상ATP장치, 차상ATP장치, 지상ATO장치, 차상ATO 지상장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전무결성 등급 할당은 각 서브시스템에 대한 안전무결성 등급을 의미한다. 준 정량적 방법의 세 원칙에 근거하여, 열차제어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서브시스템에 대한 안전무결성 등급을 할당하였다.

QoS 보장을 위한 사용자 등급 기반 서비스 수락 정책 (A User Class-based Service Filtering Policy for QoS Assurance)

  • 박혜숙;하얀;이순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0권4호
    • /
    • pp.293-298
    • /
    • 2004
  • 콘텐츠 스트림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서비스 수락률 및 서비스 품질의 안정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자 등급 기반의 자원 배분 및 서비스 수락률 제어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동에이전트 개념을 적용한 CIMA와 사용자 등급 기반의 서비스 수락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에이전트 기술을 접목한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해 사용자들의 요금 실적과 서비스 이용 실적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 등급(우수등급, 기본등급)을 나누고 등급별 서버의 수락률을 제어하면서 클라이언트/서버 환경과 이동에이전트 환경 하에서의 네트워크 자원 이용률, 수락률 및 수행시간의 비교 평가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에이전트 기술을 적용할 경우 더 높은 네트워크 사용 효율, 우승 등급사용자들의 수락률 상승 및 수행시간 단축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XML 기반의 SPKI 권한 인증서를 이용한 접근제어 (An access control using the SPKI authorization certificate based on XML)

  • 이영경;양수정;이경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234-237
    • /
    • 2003
  • SPKI 권한 인증서를 이용한 기존의 방식은 각 사용자마다 임의적으로 인증서를 발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위객체에 접근권한이 불가능한 데이터에도 접근권한을 줄 수 있다. 그래서 중요한 문서에 대한 보안이 완전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강제적 접근제어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서버에서 보안레벨에 따라 등급을 나누고 인증서 내에 접근권한을 명시해 줌으로써 접근권한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이는 강제적 모델에 유연성을 제공해주고 서버에서 하는 역할을 줄일 수 있으며, 높은 등급의 정보가 낮은 등급의 객체로 흐르는 것을 막아주므로 기존의 방식보다 좀 더 안전한 접근제어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또한, 서버에서 XML로 접근제어 레벨을 정의해주므로 여러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한 이점을 지닌다.

  • PDF

다중등급보안 리눅스 기반의 RBAC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RBAC System on MLS-Linux OS)

  • 김대중;김현정;김정래;박태규;조인구;임연호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1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3-38
    • /
    • 2001
  • 역할기반 접근제어(RBAC : Role Based Access Control)는 임의적 접근제어와 강제적 접근제어에 비해 견고함과 유연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RBAC은 최근 금융시스템 및 병원시스템 등에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안전성이 인증된 다중등급보안(MLS : Multi-Level Security) 리눅스를 이용하여 인터넷상에서 가상은행의 금융업무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다중등급기반의 RBAC 시스템을 구현함을 보인다.

  • PDF

다단계 데이터베이스 역할기반 제어 보안 모델 (Security Model Using Role-Based Access Control in Multi-Level Database System)

  • 조준호;김응모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113-116
    • /
    • 2000
  • 역할 기반의 접근제어 시스템은 응용에 따라 보호 객체들에 대한 접근을 역할들로 분류하고 이를 책임 있는 사용자에게 할당함으로써 개개의 사용자들에게 권한을 할당, 회수하는 전통적인 기법에 비해 단순하고 편리한 권한 관리를 제공한다. 다단계 보안 시스템은 각 시스템의 주체와 객체에게 보안 등급을 부여하고, 등급별로 분리된 정보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서 다중 보안 단계에서 정보를 처리하는 강제적 접근 제어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MAC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 최소 권한 정책을 반영하기 위하여 역할 기반의 접근 제어 기법을 적용한다. 따라서 같은 등급 혹은 그 이상의 등급을 가진 사용자라 할지라도 실제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권한 없는 접근, 고의적인 파괴 및 변경을 방지함으로써 실제 기업 환경에 적합한 다단계 역할기반 보안 모델을 제시한다.

  • PDF

분산시스템에서 Z언어를 이용한 역할기반 접근제어 메커니즘 (A Role-Based Access Control Mechanism using Z language in Distributed System)

  • 최은복;노봉남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8C권2호
    • /
    • pp.113-121
    • /
    • 2001
  • 접근제어의 목적은 컴퓨팅 자원 및 통신 정보자원 등을 부당한 사용자로부터 사용되거나, 수정, 노출, 파괴와 같은 비합법적인 행위로부터 보호하는데 있다. 대표적인 보안 정책 중에서 Biba 모델은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하지만 상업적인 환경에 적용되기는 다소 미흡하며, 역할기반 접근제어 정책은 상업적인 측면의 보안정책에 적용이 가능하지만 접근되는 객체의 중요도에 따른 보안등급이 고려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Biba 모델의 보안등급을 역할기반접근제어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주체가 해당 객체를 부당하게 변경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많은 접근권한을 관리하는데 융통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안한 접근제어 모델의 제약조건들을 정형 명세 언어인 Z언어를 통해 명확히 표현함으로써 정책 입안자나 프로그래머가 접근제어정책을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할 때 프로그램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안한 모델을 망관리 객체의 연산과 등급을 갖는 역할과 제약조건을 사용하여 실제 운영되는 통신망 관리에 적용하여 봄으로써 정보의 무결성이 보장됨을 보였다.

  • PDF

에이전트 기반의 고객 등급별 QoS 제어 알고리즘 (Agent based QoS Control Algorithm per User Classification)

  • 박혜숙;이순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3)
    • /
    • pp.166-16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한정된 미디어 서버 자원을 할당하고자 할 때 고객의 실적에 따라 차등적으로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고객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를 제어하고자 하는 시도를 하였다. 또한 클라이언트­서버 환경하에서 발생하는 네트워크의 지연을 감소시키고자 에이전트 개념을 적용한 고객 등급별 QoS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