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충(杜冲)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1초

두충 추출물이 DNCB로 유발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과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ucommia ulmoides Extracts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nd Oxidative Damage Induced by Repeat Elicitation of DNCB)

  • 손미예;남상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517-1522
    • /
    • 2007
  • 두충(잎, 껍질, 줄기)의 추출물이 DNCB로 감작된 4주령 BALB/c mouse 암컷에 유도된 접촉성 피부염의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림프절, 비장 및 흉선의 무게는 두충 투여군이 DNCB 대조군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두충 부위별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귀의 무게는 두충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과 비교하여 무게에 함량 변화가 있었다. 두충의 부위별 추출물을 1,000 mg/kg 농도로 투여하면 귀의 무게는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까지 낮아졌으며, 귀의 두께는 두충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시간이 경과할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MDA 함량은 DNCB 대조군과 두충 투여군을 비교하였을 경우에, 간 조직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염증이 발생한 귀 조직에서는 차이가 나타났으며(p<0.05), NO 함량은 SW, ST 및 BT 그룹에서 염증이 억제되어 대조군과 마찬가지로 측정되지 않았다.

두충 추출물의 류마티스관절염 동물모델에 대한 개선 효과 (Improvement Effect of the Eucommia ulmoides Extracts on CIA-induced Rheumatoid Arthritis Animal Models)

  • 지중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8-26
    • /
    • 2022
  • 본 연구는 CIA에 의해 유발된 DBA/1 마우스를 통해 류마티스관절염 바이오마커에 대한 두충 추출물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를 위해 류마티스관절염 동물모델 제작 후 100 mg/kg/day로 4주간 경구 투여하고 혈청 바이오마커, 방사선, 구조적 매개변수 분석을 통해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다.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두충 추출물은 염증 및 면역글로불린 마커(TNF-α, IgG 및 hs-CRP)의 생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백혈구의 단핵구 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두충 추출물은 관절 파괴를 효과적으로 보존하고 관절 변형을 줄였으며, 골 밀도의 증가와 유의적으로 골 염증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두충 추출물이 류마티스관절염 증상을 개선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두충 추출물은 류마티스관절염 관리를 위한 새로운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두충나무(Eucommia ulmoides Oliver) 잎과 껍질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hanolic extracts of 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er) leaf and bark)

  • 김동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3호
    • /
    • pp.259-265
    • /
    • 2020
  • 두충나무(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er)의 잎과 껍질로 부터 얻어진 5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두충나무 잎과 껍질 추출물의 수율은 각각 8.1±0.31과 17.4±0.89%,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64.1±3.35와 42.4±2.38 ㎍ GAE/m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4.0±3.15와 36.7±3.18 ㎍ QE/mg으로 나타났다. 두충나무 잎과 껍질 추출물은 농도에 비례하여 양이온라디칼, 유리라디칼과 아질산염을 소거하였고, 환원력을 증가시켰으며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였다. 두충나무 잎과 껍질 추출물의 ABTS 양이온라디칼 소거에 대한 EC50값은 각각 560.6±17.65와 1,357.4±8.45 ㎍/mL이었고, DPPH 유리라디칼 소거에 대한 EC50값은 각각 574.2±14.70과 2,103.1±108.59 ㎍/mL로 나타났다. 또한 두충나무 잎과 껍질 추출물의 환원력에 대한 EC50값은 각각 319.9±13.42와 705.9±26.08 ㎍/mL였고, 아질산염 소거에 대한 EC50값은 각각 2,329.2±35.11과 5,467.6±243.92㎍/mL로 나타났다. 두충나무 잎 추출물은 74.8 ㎍/mL의 농도에서, 껍질 추출물은 177.2 ㎍/mL의 농도에서 linoleic acid의 과산화를 각각 70.0 및 79.1% 억제하였다. 두충나무 잎 추출물은 껍질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고 있었다.

두충차와 감잎차의 향기성분 (The Aroma Components of Duchung Tea and Persimmon Leaf Tea)

  • 최성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05-410
    • /
    • 1990
  • 국산 대용차 중 시판되고 있는 두충차와 감잎차의 향기성분을 연속증류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GC-MS에 의하여 분석, 동정하였다. 두충차에서는 hydrocarbon류 3종, alcohol류 17종, ketone류 15종, aldehyde류 16종, acid류 8종, hetero 고리화합물류 8종과 phenol류 2종을 포함한 총 77종류의 향기성분을 확인하였다. 두충차에 많이 존재하는 ketone류(14.59%) aldehyde류(23.31%)와 hetero 고리화합물(16.71%)들은 두충차의 특징인 달콤하고 한약재에 가까운 향기에 기여한다고 생각된다. 감잎차에서는 hydrocarbon류 10종, alcohol류 17종, ketone류 11종, aldehyde류 13종, ester류 8종, acid류 6종, hetero 고리화합물 5종과 phenol류 1종을 포함한 총 71종을 확인 하였다. 감잎차에는 향기의 기여도가 낮은 hydrocarbon류의 함량(10.40%)이 두충차에 비해 많았고 alcohol류의 함량(25.57%)이 현저하게 많아 은은하고 순한 감잎차의 특유향에 기여한다고 생각된다.

  • PDF

고지방 식이를 투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와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두충 에탄올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Eucommia ulmoides olivon Ethanol Extract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of Rats Fed High Fat Diet)

  • 남상명;강일준;정차권;정명은;함승시;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96-801
    • /
    • 2002
  • 두충 에탄을 추출물이 생체내 지질대사 및 항산화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정상식이에 두충 추출물을 투여(CE)한 결과 총콜레스테롤은 대조군(C)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HDL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 성은 없었다 동맥경화 지수 역시 두충 추출물 투여군(CE)이 대조군 (L)에 비해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HTR은 55%의 증가를 보였다(p<0.05. 고지방식이(CL)를 투여한 결과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C)에 비해 유의성있게(p<0.05) 증가하였으나 HDL과 HTR은 크게 감소되어 통계적 유의성 (p<0.05)을 나타내었다. 고지방식이군(CL)의 동맥경화지수(AI)는 대조군(C)에 비해 3.6배의 증가를 보였다(p<0.05). 고지방식이에 두충 추출물(CLE)을 투여했을 때 콜레스테롤 함량과 동맥경화지 수는 고지방식이군(CL)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지방식이군(CL)의 중성 지방 함량과 인지질 함량은 대조군(C)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두충 추출물 투여(CLE)로 중성 지방은 CL군에 비해 크게 감소되었으며 (p<0.05) 인지질 또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 지질대사에서 두충 추출물 투여군(CE)의 총 지질과 콜레스테롤은 대조군(C)에 비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인지질은 대조군보다 22% 증가하였다. 고지방식이 (CL) 투여 시간의 총지질, 콜레스테롤, HDL, 중성 지방은 대조군(C)에 비해 유의성있게(p<0.05) 증가하였다. 고지방식이 (CL)에 의해 GST활성은 유의 성 있게 감소하였으나 catalase와 SOD활성은 대조군(C)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충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CE및 CLE군의 GST와cata-lase활성은 각각 C와 CL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볏짚을 두충잎으로 대체급여 시 거세한우의 생산성, 도체특성 및 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Eucommia ulmoides Leaves Substituted for Rice Straw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Tissues of Hanwoo Steers)

  • 김재황;김영민;이문도;신재형;고영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963-974
    • /
    • 2005
  • 본 시험은 두충 급여가 거세한우의 성장, 도체특성, 육질특성 및 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기초사료로 배합사료와 볏짚을 급여하였으며, 건조 두충 잎을 건물기준으로 조사료의 3, 5 및 10%를 대체․급여하였다. 시험사료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균체중 321±13kg의 거세한우 72두(4개구$\time$6 두$\time$3 반복)를 공시하여 약 15개월간 실시하였다. 일당 증체량은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0.81-0.86kg으로 유의차는 없었다. 사료요구율도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10.05-10.59로서 개선효과는 없었다. 분변내 NH3 가스 발생량은 두충 잎의 급여비율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즉 40℃에서 12시간 발효시에는 대조구와 3% 구는 각각 30.6ppm과 29.8ppm이었으나 5% 구와 10% 구는 각각 20.3ppm과 21.6ppm으로 낮았다(p<0.05). 등지방 두께는 대조구는 15.0mm였으며 5-10% 급여시 10.2-10.5mm로 얇은 경향이었다(p<0.05). 육량 A 등급 출현율은 3% 급여시 약 20%가 증가하였으며, 육질 1+와 1 등급 출현율은 두충 잎을 5-10% 급여시 약 10-15%가 증가하였다. 등심의 육색에 대한 CIE L*, a* 및 b* 값은 각 시험구간 차이는 없었으며, 우둔의 CIE L*, a* 및 b* 값에서도 각 시험구간에 차이는 없었다. 지방산 함량에 있어서 등심과 우둔에서 공히 C18:1은 두충 잎을 5-10% 급여구에서 증가하였다(p<0.05). 등심의 cholesterol 함량은 10% 급여한 구가 53.3mg /100g으로 대조구와 3% 구 및 5% 구의 55.7-57.0mg/100g으로 비해 낮았다(p<0.05). 하리의 발생비율은 대조구가 약 20.3%였으며 두충 잎을 5-10% 대체 급여할 경우에는 10.4-12.5%로 크게 감소되었다(p<0.05). 호흡기 발병비율은 두충 잎을 대체함으로 개선되는 경향이지만 유의차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두충 잎에는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는 생리활성 물질이 상당량 함유된 기능성 사료로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두충 잎을 음건하여 반추동물에 급여할 경우 육질 개선 및 하리 발생비율이 감소되기 때문에 고급육 생산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두충 잎을 거세한우에 급여할 경우 조사료의 5-10%를 대체하는 것이 가장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두충 추출물을 담지한 에토좀의 특성 및 경피 전달 (Characterization and Transdermal Delivery of Ethosomes Loaded with Eucommia ulmoides Extract)

  • 구현아;김해수;김문진;유은령;조기정;장진동;김보현;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4권6호
    • /
    • pp.639-64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소재로서 항염, 항노화 효능이 있는 두충 추출물을 담지한 에토좀을 제조하였고, 이들 에토좀이 안정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4주 동안 입자크기, 물리적 특성 및 포집효율을 측정하였다. 0.01~0.05% 두충 추출물을 담지한 에토좀은 4주 동안 침전이나 분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 에토좀의 평균 입자 크기는 134.6 nm였고, 단분산 형태를 나타내었다. 0.05% 두충 추출물을 함유한 에토좀의 입자 크기는 151.15 nm였으며, 포집 효율은 81.79%로 에토좀 중 가장 큰 포집효율을 나타내었다. 0.05% 두충 추출물을 담지한 에토좀을 이용하여 피부 투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두충 추출물의 총 피부 투과량은 에토좀(77.16%) > 리포좀(62.80%) > 에탄올 용액(41.59%)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0.05% 두충 추출물을 담지한 에토좀은 피부 전달에 효과적이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제형으로서 사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두충[Eucommia ulmoides Oliver] 조성물이 골다공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Dietary Mixture of Eucommia ulmoides Oliver on Osteoporosis)

  • 이동선;변상요
    • KSBB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614-619
    • /
    • 2001
  • 두충의 골다공증 억제 효과를 연구하였다. 난소절제된 흰쥐에 기본사료, 칼슘, 비타민 D$_3$, 비타민 $K_1$를 함유하는 조성물과 두충추출물을 추가한 조성물을 7개월간 투여한 후 기본사료만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골 흡수 지표로 deoxypyridinoline을 분석한 결과 칼슘 비타민 조성물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9.0%, 두충 추가 조성물 투여군의 경우 26.9% 감소하였다. 경골의 trabecular 골면적을 측정한 결과 칼슘 비타민 조성물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9.9%, 두충 추가 조성물 투여군의 경우 42.0% 증가하여 골다공증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두충, 단삼, 진피 및 천궁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효과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the Eucommiae corte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and Cnidii rhizoma)

  • 김성환;김일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18-623
    • /
    • 2008
  • 기능성 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으로 활용 가능한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외선 차단 효과, 항산화 효과, 미백효과 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외선 차단 효과는 두충 추출물은 $280{\sim}210\;nm$에서 단삼은 $270{\sim}220\;nm$에서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원료로 사용 시 UV-C영역의 자외선을 흡수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진피는 $400{\sim}210\;nm$에서 천궁은 $380{\sim}220nm$의 거의 자외선 파장의 전 영역에서 흡수를 나타내었다. 2. DPPH 라디칼에 대한 소거능은 천궁 추출물은 79.0%, 두충 추출물은 74.2%, 진피 추출물은 40.4%, 단삼 추출물은 19.4%의 저해율 순서로 천궁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3.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율은 단삼 추출물은 21.9%, 진피 추출물은 18.3%, 두충 추출물은 11.7% 순으로 나타내었으나, 천궁 추출물은 반응 과정에서 부유물이 생성되어 정확한 값을 측정할 수 없었다. 4.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단삼 추출물은 79.3%, 천궁 추출물은 71.9%, 두충 추출물은 57.5% 순으로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Tyrosinase 저해 활성도는 천궁 추출물은 59.5%, 단삼추출물은 22.8%, 진피 추출물은 27.5%, 두충 추출물은 12.4% 순으로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자외선 차단 효과는 진피와 천궁 추출물이 좋은 자외선 차단용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항산화 효과는 네 가지 추출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당히 혼합한 혼합물, 미백 효과는 천궁 추출물을 사용하면 좋은 기능성 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두충혼합차 개발을 위한 관능검사 및 전자코 분석 (Sensory Evaluation and Electronic Nose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Mixed Eucommia ulmoides Leaf Tea)

  • 정미숙;이미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53-358
    • /
    • 2001
  • 기존 두충차의 단점인 한약의 향미와 떫은맛이 완화된 두충혼합차를 개발하기 위하여 8월 자연건조시료에 방향성 식용식물인 꽃향유를 10, 20, 30 및 40%를 각각 첨가하여 관능검사 하였을 때 꽃향유첨가군 모두가 reference보다 낮은 기호도를 보였는데, 이는 꽃향유 자체의 독특한 향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둥굴레차를 시료두충차에 10, 20, 30 및 40%를 각각 혼합하여 관능검사한 결과, 둥굴레 20, 30 및 40% 첨가군이 시료두충차와 reference보다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p<0.01). 부드러운 향미를 지닌 둥굴레를 두충차에 첨가하면 차의 색의 강도가 완화되고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아지므로 일반인이 음용하기 좋은 두충혼합차가 제조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시판두충차, 시료두충차, 꽃향유첨가군 및 둥굴레 첨가군의 향미패턴을 전자코로 분석하였을 때, 시료두충차는 제1주성분값이 (-)값에 분포되어 있었으며, 둥굴레첨가군은 제1주성분값이 주로 -0.10과 +0.05사이에 분포하였고, 시판두충차는 제1주성분 값이 -0.05∼+0.05에 분포하였다. 꽃향유 10% 첨가군은 제1주성분 값이 -0.03∼+0.05부근에, 꽃향유 20∼40% 첨가군은 +0.10∼+0.20 사이에 제1주성분 값이 분포되었다. 관능검사 결과와 전자코에 의한 향기패턴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전반적인 기호도가 좋은 둥굴레첨가군과 시판두충차는 제1주성분값이 -0.10∼+0.05 사이에 분포되어 있었으며, 이 분포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기호도가 낮은 두충차는 (-) 또는 (+)쪽으로 치우쳐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