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통

검색결과 834건 처리시간 0.026초

구강안면동통환자에 대한 전기침 자극요법의 임상효과에 관한 연구 (Clinical Effect on the Patient with Orofacial Pain through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Therapy(EAST))

  • 김영구;이승우;정성창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5권1호
    • /
    • pp.109-116
    • /
    • 2000
  • 구강안면 동통중 가장 대표적인 측두하악장애를 치료하는데 있어 전기침 자극요법이 갖는 임상적 치료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측두하악장애 환자군을 환자에 대한 교육 및 온습포를 시행하는 자가치료 환자군, 전기침 자극요법을 시행하는 전기침 자극 환자군, 교합안정장치를 장착하는 구강내 장치장착 환자군, 총 3군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환자군에서 치료전과 치료 1주후 및 1개월 후에 visual analogue scale을 이용한 동통의 정도와 두경부의 근육촉진지수, 하악의 기능이상지수 및 저작근들의 압력통각역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가치료 환자군의 1주일 치료후 동통정도, 근육촉진지수 및 기능이상지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2. 전기침 자극환자군은 1주일 치료후 동통의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면 1개월 치료 후 동통의 정도와 근육촉진지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3. 구강내 장치장착환자군은 1주일 치료 후 동통의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고 심부교근의 압력통각역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심부교근의 압력통각역치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 PDF

근관형성 후 동통에 대한 수산화칼슘의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CALCIUM HYDROXIDE ON POST-TREATMENT PAIN)

  • 남욱;박상혁;최기운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2호
    • /
    • pp.86-95
    • /
    • 2006
  • 본 연구는 치성 동통을 보이는 치아의 수산화칼슘의 사용 여부에 따른 동통 감소 효과를 판단하고자 시행하였다. 2003년 12월부터 2004년 9월 사이에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부속 치과병원 치과보존과에 치성 동통으로 내원한 환자 213명으로부터 근관형성을 시행한 237개의 치아를 대상으로 환자의 성별 및 연령 치료부위, 재근관 치료의 여부, 치수의 상태, 술전 치아 상태와 술전 동통의 정도를 기록하였다. 수산화칼슘을 적용하지 않은 군 (1군)과 수산화칼슘을 적용한 군 (2군)으로 분류하였다. 환자들에게 설문지를 배분하여 다음 내원시 치료 후4시간, 2일 및 7일에 술후 동통의 발생 여부와 동통의 정도를 기록하도록 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은 Chi-square analysis (p < 0.05)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근관내 약제로써 수산화칼슘은 술후 동통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도메타신을 이용한 음파삼투요법에 의한 측두하악관절부 동통의 완화효과 (The Effect of Indomethacin Phonophoresis on the Relief of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 Soon-Moon Shin;Jae-Kap Choi,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0권2호
    • /
    • pp.377-383
    • /
    • 1995
  • 이 연구의 목적은 측두하악관절통에 있어서 인도메타신 포노포레시스의 동통완화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측두하악관절통을 가진 20명의 환자들이 이 연구에 참여했다. 10명은 인도메타신을 이용하여 초음파치료를 받았고 다른 10명은 순수 초음파 치료용 젤을 이용하여 초음파 치료를 받았다. 동통완화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치료전과 치료후에 유추지수와 압력통각역치를 이중맹검법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도메다신을 이용하여 초음파 치료를 받은 군은 유추지수와 압력통각역치에서 다 유의한 동통의 감소를 보였다. 반면에 대조군에서는 치료후에 유추지수와 압력통각역치에서 동통의 감소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측두하악관절통에 있어서 단순한 초음파 치료보다 포노포레시스가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 PDF

합곡에 대한 전기침술자극요법시 하악구치의 동통역치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Therapy on The Pain Threshold of Mandibular Posterior Teeth Using LI4(HAP GOK) Points)

  • Ai-Ree Chung;Ki-Suk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0권1호
    • /
    • pp.105-115
    • /
    • 1995
  • 합곡에 전기침술자극요법이 하악구치에 미치는 동통역치에 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연구를 시행하였다. 전기침술자극요법시행전에 시행중 10분, 시행후 하악구치의 감각과 통통역치를 측정하였으며 2일후 같은 검사자들을 대상으로 위전기침술자극요법시행전, 위전기침술자극요법시행중 10분, 위전기침술자극요법시행후에 하악구치의 감각과 동통역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합곡에 전기침술자극요법을 시행시 하악구치의 감각역치와 동통역치가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합곡에 대한 전기침술자극요법이 하악구치의 동통완화에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 PDF

악관절 기능장애증의 증상 및 임상소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mptoms and Clinical Findings of TMJ Dysfunction)

  • 김연중;이승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9권1호
    • /
    • pp.117-125
    • /
    • 1984
  • 악관절 기능장애증의 증상 및 임상소견에 관해 많은 연구가 보고되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편이며, 이들간의 상호 관련성을 조사한 연구는 별무하였다. 이에 저자는 1983년 3월부터 1984년 7월 사이에 서울대학교 병원 구강진단과에 내원한 악관절 기능 장애증 환자 367명 중 방사선 사진상으로 기질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는 327명을 대상으로, 증상 및 임상소견에 관한 조사와 아울러 악관절 동통이 하악 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악관절 기능장애증은 약 3:1의 비율로 여자에게 빈발하였고, 15세에서 29세까지의 청장년 층에 많았다. 2. 악관절 기능장애증 환자가 경험한 주 증상은 동통, 관절잡음, 개구장애 등이었다. 3. 관절잡음은 편측성인 경우가 많았고, 좌우 발현 빈도는 비슷하였으며 말기의 관절잡음이 많았다. 4. 악관절 기능장애증의 발병 기간은 1개월 이하인 경우가 많았다. 5. 악관절 동통은 개구와 하악 전방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6. 악관절 동통은 동통이 있는 쪽으로 하악 개구로의 편위를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Capsaicin이나 Bradykinin으로 유발된 통증에 대한 봉독의 억제 효과 (Anti-nociceptive Effect of Bee Venom on Capsaicin or Bradykinin-induced Pain)

  • 양창열;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39-49
    • /
    • 2007
  • 목적 : 봉독으로 유발된 통각수용의 강도와 봉독으로 나타나는 항통각수용(통각억제성)의 강도를 쥐의 포르말린 테스트를 통해 상호관련됨을 확인하고 capsaicin과 bradykinin으로 통증 유발된 쥐의 자발적인 통증행동(핥기횟수측정; LN), 꼬리경타시험(TFL)과 열판시험(HPL)을 통해 봉독의 항통각수용(통각억제)작용을 재확인 하고자 하였다. 방법 : 쥐의 뒷다리에 통증유도 물질인 Capsaicin 또는 Bradykinin을 20${\mu}l$를 주사하여 동통을 유발하고 자발적 통증행동인 핥기횟수측정(LN), 꼬리경타기간(TFL)과 열판 위에서의 온도자극에 쥐가 반응하는 시간을 측정(HPL)하는 실험을 봉독을 주입하거나, 몰핀을 주입하거나, 아무것도 주입하지 않고 통증유발만 시킨 이후에 각각 시행하였다. 결과: 1. Capsaicin 또는 Bradykinin으로 동통유발 후 LN은 두드러증가를 보임, HPL은 감소를 TFL은 두드러진 감소를 나타내었다. 2. 봉독이나 몰핀 주입 30분 후에 Capsaicin으로 동통유발 이후 LN은 봉독과 몰핀에서 모두 현격한 감소를, HPL은 봉침은 현격한 증가를, 몰핀에서는 감소를, TFL은 봉침과 몰핀에서 모두 현격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3 봉독과 몰핀주입 30분후에 Bradykinin으로 동통유발 이후 LN은 봉독은 증가 몰핀은 현격한 감소를, HPL은 봉침은 증가 몰핀에서는 현격한 증가를, TFL은 봉침과 볼핀에서 모두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 : 봉독은 Capsaicin 또는 Bradykinin으로 동통유발된 통각수용행동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기존의 연구결과들에서의 봉독의 항통각수용(통각억제성)의 효과를 입증하였고 봉약침은 염증의 개선이나 암과 관련된 동통에 유효한 방법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일부 치과 외래환자의 측두하악장애 실태와 음식섭취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Food Intake Ability among Dental Clinic Outpatients)

  • 한세영;유지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85-292
    • /
    • 2011
  • 본 연구는 치과의원에 내원한 일부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측두하악장애 실태와 음식섭취능력을 파악하여 삶의 질을 향상하고자 대전광역시 소재 5개 치과의원에 내원한 외래환자 208명을 대상으로 2010년 1월부터 9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 악습관 및 이상기능, 음식섭취능력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을 보면 악관절 동통 45.7%, 관절잡음 45.2%, 저작 시 동통 41.3%, 개구 시 동통 38.0%, 비저작시 동통 19.7%, 관절탈구 13.0% 순으로 나타났다. 2. 성별에 따른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을 보면 관절탈구별로는 남자군 18.0%, 여자군 8.3%로 관절탈구를 보였으며(p=0.038), 저작 시 동통별로는 남자군 49.0%, 여자군 34.3%로 저작 시 동통을 보였으며(p=0.031) 유의하게 높았다. 3. 성별에 따른 악습관 및 이상기능을 보면 이악물기별로는 남성군 35.0%, 여성군 22.2%로 이악물기를 보였으며(p=0.041), 이갈이별로는 남성군 21.0%, 여성군 9.3%로 이갈이를 보였으며(p=0.018) 유의하게 높았다. 4. 연령에 따른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을 보면 악관절 동통별로는 21-30세군에서 자주 27.8%, 가끔 25.0%로 52.8%가 악관절 동통을 보였으며(p=0.001) 유의하게 높았다. 5. 연령에 따른 악습관 및 이상기능을 보면 두통여부별로는 31세 이상군에서 48.3%가 두통을 보였으며(p=0.046) 유의하게 높았다. 6.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에 따른 음식섭취능력을 보면 관절잡음이 없는 군일수록(p=0.000), 저작시 동통이 없는 군에서(p=0.000), 악관절 동통이 없는 군 일수록(p=0.000) 유의하게 높았다. 7. 악습관 및 이상기능에 따른 음식섭취능력을 보면 이악물기가 없는 군에서(p=0.000), 이갈이가 없는 군에서(p=0.000), 두통이 없는 군에서(p=0.000) 유의하게 높았다. 8. 조사대상자의 측두하악장애에 따른 치료방법을 보면 휴식 30.8%, 물리치료 24.0%, 약물치료 16.4% 순으로 나타났다. 저작 시 동통별로는 저작 시 동통에서 36.0%로 약물치료가, 악관절 동통별로는 악관절 동통에서 자주 52.4%, 가끔 40.5%로 약물치료와 물리치료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0).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측두하악장애의 복합요인에 대한 관리 조사가 병행되어 치료 및 예방 등에 대한 프로그램의 구축과 음식섭취능력을 높여 삶의 질이 향상되어지도록 신체적, 사회적, 문화적, 심리적인 측면을 고려함과 동시에 개인차가 심하기 때문에 다각적인 후속 연구가 계속 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승모근 근막동통에 대한 보툴리눔 독소와 리도카인 주사의 치료효과 비교 (Botulinum Toxin type A injection Versus Lidocaine Injection for Myofascial Pain Involving upper Trapezius)

  • 안성우;박은희;김미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3호
    • /
    • pp.345-351
    • /
    • 2005
  • 근막동통(myofascial pain syndrome, MPS)은 근막발통점에 의해 야기되는 지각, 운동 및 자율신경계의 증상으로 발통점이 자극되면 이환부에 동통을 발생할 뿐 아니라 연관통, 연관압통, 운동신경장애, 자율신경반응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근막동통의 다양한 치료법 중에서 botulinum toxin type A(BTX-A)의 주사의 효과를 국소마취제인 lidocaine의 주사효과와 비교하였다. 상부 승모근에 6개월 이상 활동성 발통점을 가진 21명의 환자를 선정한 다음, 무작위로 두 군으로 나누어 한 군(BTX-A 주사군, n=12)에는 발통점에 BTX-A(15 unit of $Botox^{(R)}$ / 0.3 ml per trigger point (TrP))를 주사하고 다른 군(lidocaine 주사군, n=9)에는 0.5% lidocaine (0.3 ml /TrP)를 주사하였다. 두 군 모두 주사는 1 회만 시행하였으며 운동요법이나 물리치료 및 약물치료는 시행하지 않았다. 주사 후 동통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주사 전 및 주사 후 2 주, 4 주, 6 주, 8 주에 주관적 동통척도인 VAS와 압력통각역치(PPT)를 측정하였으며 실험은 이중맹검으로 시행되었다. 실험결과, BTX-A 주사군은 주사 후 8 주의 시간이 경과되는 동안 VAS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PPT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lidocaine 주사군에서는 VAS의 감소만이 관찰되었다. 즉, 주관적인 동통척도에 있어서는 BTX-A 주사군과 lidocaine 주사군 사이에 유의한 통계학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p=0.347), 두 군 모두 시간경과에 따라 동통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PPT의 경우에는 BTX-A 주사군에서만 감소하여 두 군 사이에 유의한 통계학적 차이가 관찰되었다(p=0.000).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상부승모근 발통점에 대한 BTX-A 주사는 효과적이고 신뢰할 만한 치료법이라고 생각된다.

한국의 신경병성 동통 환자에 대한 역학조사 (Epidemiology Study of Patients with Neuropathic Pain in Korea)

  • 원정연;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4호
    • /
    • pp.353-374
    • /
    • 2008
  • 비록 신경병성 동통이 환자에게 주는 심리적 부담에 대하여 잘 알고 있지만 동통의 역학조사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신경병성 동통의 정확한 발병률도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데, 이는 여러가지 새로운 의료기기가 개발되었지만 정확한 진단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적절한 치료를 제대로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내 모든 종류의 병원에서 치료한 몇 가지 특정 신경병성 동통에 대하여 역학조사를 시행하는 것이다. 2003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의 전산에 입력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신경병성 동통 환자와 치료 받은 과 및 치료기간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신경병성 동통 환자의 수와 유병률을 살펴보면 삼차신경통 77,053명(27.6%), 비정형적 안면통 12,382명(4.4%), 설인후 신경통 1,319명(0.5%), 포진후 신경통 84,598명(30.3명), 당뇨병성 신경통 85,989명(30.8%), 비정형적 치통 16,001명(5.7%), 설통 2,133명(0.8%) 이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포진후 신경통과 당뇨병성 신경통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그 외 신경통은 대부분 증가가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57.6-72.8% 에 이르도록 1차 의료기관인 개인의원에서 치료받았으나 비정형적 치통의 경우에만 10.3% 정도로 1차 의료기관에서 진료받는 비율이 낮았다. 치과의원에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은 삼차신경통 3.2%, 비정형적 치통 35.4%, 설통 15.4%이며 그 외 나머지 신경병성 동통은 대부분 의원에서 치료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