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통기전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Biochemical Changes of the Nerve Cells of Rats under Restraint Stress (구속스트레스에 의한 백서 신경세포의 생물학적 성상의 변화)

  • Lee, Dong-Sik;Chun, Yang-Hyun;Lee, Jin-Yong;Hong, Jung-Py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6 no.3
    • /
    • pp.181-187
    • /
    • 2001
  • 스트레스가 인체의 항상성에 영향을 미쳐 다양한 질병 및 동통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은 선학들의 연구에 의해 증명되어 왔다. 특히 정서적으로 중요한 구강안면영역에는 스트레스와 관련된 질병 및 동통이 많이 존재하는데, 이에대한 병리적 기전은 아직 뚜렷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는 스트레스와 말초 및 중추신경과의 병리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구속스트레스하에서 구강안면영역의 감각과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삼차신경의 집합체인 삼차신경절과 뇌간조직의 단백질 변화를 western blot을 통해 살펴보았다. 실험동물은 생후 8주된 Sprague-Dawley계 웅성 백서 (323-367 g/bw)를 대조군 3마리, 실험군 15마리로 배정하였고 실험군은 실험 전기간에 걸쳐 구속스트레스를 부여하였다. 실험동물의 삼차신경절과 뇌간은 희생 즉시 적출되었으며, western blot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삼차신경절의 모든 군에서 약 18 KDa의 단백질이 균일하게 나타났다. 2. 뇌간의 모든 군에서 약 18 KDa 단백질이 발현되었으며, 정상 대조군, 실험 즉일, 1일, 3일, 7일에서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나 실험 5일군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구속스트레스에 의해 뇌간의 5일군에서 약 18 KDa의 특수한 단백질이 뚜렷이 감소된 후 7일 군에서 다시 증가되었던 것은 스트레스에 의한 뇌간세포의 반응으로 생각되며, 뇌간에서와 다르게 삼차신경절에서는 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던 것은 스트레스에 대한 조직의 반응 차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를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향후 수종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단백질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Secondary Dental Pain and Facial Pain Due to Pansinusitis : A Case Report (범부비동염에 의한 이차성 치통과 안면통: 증례보고)

  • Kim, Nam-Koo;Auh, Q-Schick;Chun, Yang-Hyun;Hong, Jung-Py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2 no.3
    • /
    • pp.329-336
    • /
    • 2007
  • Toothache is a common complaint in the dental office. Most toothaches have their origin in the pulpal tissues or periodontal structures1). These odontogenic pains are managed well and predictably by dental therapies. One of the most frequent encounters and most confusing phenomena with which the dental diagnostician must deal is the problem of referred pain. The most important step toward proper management of a toothache is to consider that the pain may not be of dental origin. And Patients with orofacial pain, especially those in chronic pain, present a diagnostic and management challenge for the practitioners. There are many structures in the head and neck that can produce heterotopic pains felt in the teeth and other structures. Once referred pain is suspected, the true source of the pain must be located in order to render effective therapy. With increased interest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rofacial pain, many studies of accurate diagnosis and differential diagnosis about orofacial pain have been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case for pansinusitis which produced pain referral in teeth and mimicked the symptoms of migraine.

Effects of Locus Coeruleus/Subcoeruleus Stimulation on the Tail Flick Reflex and Efflux of Noradrenaline into the Spinal Cord Superfusates (청반핵 자극으로 인한 노르아드레날린의 유리가 동통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

  • Park, Kyung-Pyo;Kim, Jong-Sung;Suh, Dae-Chul;Park, Hyoung-Sup
    • The Korean Journal of Pharmacology
    • /
    • v.30 no.1
    • /
    • pp.29-37
    • /
    • 1994
  • Inhibition of the nociceptive Tail Flick Reflex (TFR) was observed with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locus coeruleus/subcoeruleus (LC/SC) in the male Sprague - Dawley rats under light anesthesia, and the involved neurotransmitter (s) were characterized. Electrical stimulation of LC/SC induced the analgesia with the stimulation threshold (intensity of the current, given for 100 usec and in 100 Hz frequency, which caused the TF latency longer than 6.5 sec) around 55 uA. Intrathecal administrations of ${\alpha}_2$ antagonist, yohimbine (30 ug) or opioid antagonist, naloxone (20 ug) increased the stimulation threshold by 147% and 123% respectively (from 55 uA to 135 uA,9 and from 54 uA to 123 uA;P0.01, n=5, each). The basal TF latency without stimulation (3.1 sec) was reduced by the antagonists (to 2.5 sec by yohimbine, p<0.05, n=5; to 2.6 sec by naloxone, p<0.1, n=5), vehicle only did not show any effect. Noradrenaline(NA) in the spinal cord superfusates measured with HPLC was increased by the LC/SC stimulation, from 4.18 ng/ml before to 7.74 ng/ml after stimulation (P<0.05, n=10). The result suggest that analgesia induced by LC/SC stimulation is mediated, at least in part, by the noradrenergic system in which ${\alpha}_2$ receptor is involved, as well as the opioid system.

  • PDF

Triple Labral Lesion of Shoulder - A Case Report - (견관절의 삼중 관절와 순 병변 - 증례 보고 -)

  • Choi, Nam-Yong;Song, Hyun-Seok;Yoon, Jae-Woong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v.12 no.1
    • /
    • pp.80-83
    • /
    • 2009
  • Purpose: A triple labral lesion represents a combination of injuries of the anterior, posterior and superior glenoid labrum. The injury mechanism and symptoms is not completely understood. Materials and Methods: We encountered a triple labral injury in a 39-year-old male complaining pain and active abduction difficulty after a motor vehicle accident. Currently, he does not complain any instability symptoms. The labrum was repaired using bio-absorbable suture anchors and a suture hook. Results: Eighteen months following surgery, the active range of motion was restored and he had no difficulty in his daily activities.

Synovial Chondroma Causing Radial Nerve Palsy (요골 신경 마비를 유발한 활액막 연골종)

  • Chun, Young-Soo;Kim, Joon-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13 no.1
    • /
    • pp.55-59
    • /
    • 2007
  • Synovial chondroma is an uncommon benign lesion characterized by metaplastic cartilage formation within the synovial connective tissue, usually intraarticular, commonly affects the knee, hip and elbow.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case of a 65-year-old man suffering from synovial chondroma of the right elbow responsible for radial nerve entrapment neuropathy. This is a case of synovial chondroma of the right elbow in an 65-year-old man presenting with pain and restricted joint movement of the right elbow, loss of extension and sensation of the right thumb and wrist. Plain radiographs showed narrowing of elbow joint space, bony spur on the edge of the joint, and radio-opaque sclerotic change of subchondral area. MRI revealed $16{\times}12$ mm sized round mass on the radial head, homogenous low signal on T1WI, heterogenous high and low signal on T2WI. The patient underwent marginal excision of the mass, compressing the radial nerve. Diagnosis was confirmed by histologic examination.

  • PDF

Scavenging Effect of Bee Venom for Acua-acupuncture against Nitric Oxide (봉독약침액의 Nitric Oxide에 대한 소거 효과)

  • Seo Jung-Chul;Leem Kang-Hyun;Kim Ee-Hwa;Kim Chang-Ju;Yoo Yeong-Min;Chung Joo-Ho;Yin Chang-Shik;Koh Hyung-Kyun;Han Sang-Won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18 no.6
    • /
    • pp.161-170
    • /
    • 2001
  • 목적 : 본 연구는 최근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봉독약침액의 nitric oxide (NO)에 대한 소거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방법 : 양성대조군으로 비타민과 실험군으로 국산 봉독과 미국산 봉독에 NO를 분비하는 S-nitroso-N-acetylpenicillamine (SNAP)을 투여한 후 NO의 농도를 540 nm 파장의 자외선 흡수량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국산 봉독은 $100{\mu}g/m{\ell}$에서 SNAP 처리 1.5, 3, 6 및 12시간에 대조군 (100%)과 비교하여 각각 $86.7{\pm}1.5,\;103.8{\pm}1.9,\;88.3{\pm}2.9$85.6{\pm}3.2%$의 잔류 NO 농도를 보였고, 1.5, 6 및 12시간에서 유의한 NO 소거 효과를 나타냈다. 미국산 봉독에서는 각각 $74.0{\pm}2.2,\;66.5{\pm}10.9,\;86.1{\pm}2.8$$59.1{\pm}3.8%$로 모든 시간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 이상의 봉독의 NO 소거효과는 봉독 약침액이 임상에서 동통, 종창, 등에 치료에 사용하는 작용기전의 하나로 사료된다.

  • PDF

당말녕(糖末寧)을 위주(爲主)로 당뇨병(糖尿病)의 주위신경병변(周圍神經病變)을 치료(治療)하는 임상연구(臨床硏究)

  • 우세가
    • Journal of Haehwa Medicine
    • /
    • v.5 no.2
    • /
    • pp.501-501
    • /
    • 1997
  • 당뇨병성(糖尿病性) 주위신경병변(周圍神經病變)은 당뇨병(糖尿病)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삼대합병증(三大合倂症) 중(中)의 하나이다. 환자(患者)의 임상표현(臨床表現)은 사고(四股) 및 구간부(軀幹部)가 마목(麻木)하고,동통(疼痛)이 칼로 베는 듯하거나 침(鍼)으로 찌르는 듯하여 참기 힘들며, 환자(患者)로 하여금 작업능력(作業能力)을 상실(喪失)하게 하고 휴식(休息)과 수안(睡眼)에 엄중(嚴重)한 영향(影響)을 준다. 지금까지 국내외(國內外)에서는 아직 효과적(效果的)인 치료방법(治療方法)이 없다. 우리는 임상(臨床)에서 관찰(觀察)해 본 결과(結果), 이 병(病)의 임상표현(臨床表現)인 "사고마목(四股麻木), 자통(刺痛), 야간가중(夜間加重), 통처고정(痛處固定)"의 특징(特徵)이 중의임상(中醫臨床)에서 표현(表現)되는 "혈어형(血瘀型)" 동통(疼痛)과 완전(完全)히 상동(上同)하였다. 우리는 "활혈화어(活血化瘀), 통락지통(通絡止痛), 거어생신(祛瘀生新)"을 치료원칙(治療原則)으로 중약복방(中藥復方) 제제(制劑) "당말녕(糖末寧)"을 제조(製造)하여 이 병(病)을 치료(治療)하는데 만족(滿足)스러운 임상치료효과(臨床治療效果)를 거두었다. 전체(全體)의 병례(病例)는 모두 우리 과(科)의 입원환자(入院患者)로써 모두 45례(例)인데, 병기(病機)에 따라 양조(兩組)로 나누었다. 관찰조(觀察組) 30례(例) 중(中)에는 남성(男性)이 19례(例)이고 여성(女性)이 12례(例)이며, 年齡(연령)은 25세(歲)에서 68세(歲)까지로 평균연령(平均年齡)이 49.8세(歲)이다. I형(型) 당뇨병(糖尿病)이 10례(例)이고 II형(型) 당뇨병(糖尿病)이 20례(例)이며, 당뇨병(糖尿病)의 병정(病程)은 6개월(個月)에서 17년(年)사이로 평균(平均) 7.1 년(年)이다. 주위신경병변(周圍神經病變)의 병정(病程)은 2주(周)에서 3년(年)까지로 평균(平均) 1년(年)이다. 대조조(對照組)는 15례(例)로 남성(男性)이 8례(例)이고 여성(女性)이 7례(例)이며, 연령(年齡)은 20세(歲)에서 65세(歲)까지로 평균(平均) 49세(歲)이다. I형(型) 당뇨병(糖尿病)이 7례(例)이고 II형(型) 당뇨병(糖尿病)이 8례(例)이며, 橋民病의 병정(病程)은 3개월(個月)에서 12년(年)까지로 평균(平均) 7.5년(年)이다. 주위신경병변(周圍神經病變)의 병정(病程)은 1개월(個月)에서 3년(年)까지로 평균병정(平均病程)은 11.6개월(個月)이다. 양조(兩組)사이의 병정(病程)은 현저(顯著)한 차이는 없으나 서로 비교(比較)해 볼만하다. 당말녕(糖末寧)은 주(主)로 삼궁(三芎),원호(元胡), 당귀(當歸), 계혈승 등(等)의 약물(藥物)로 조성(組成)되었고, 약제실(藥劑室)에서 濃縮液(농축액)(매(每) ml당(當) 생약량(生藥量) 2.5g 함유(含有))으로 제조(製造)하였다. 관찰조(觀察組)는 매차례(每次例) 당말녕(糖末寧) 50ml를 하루 세번씩 복용(服用)하였고; 대조조(對照組)는 비타민 $B_1$, 비타민 $B_6$을 각각(各各) 20mg씩 하루 세차례 복용(服用)하였다. 양조(兩組) 모두 사주(四周)를 한번의 치료료정(治療療程)으로 하였다. 우리는 모두 45례(例)의 환자(患者)를 관찰(觀察)하였는데, 그 중(中) 관찰조(觀察組)가 30례(例)이고 대조조(對照組)가 15례(例)이다. 임상표현(臨床表現) 분급(分級)과 신경근전도(神經筋電圖)(운동신경(運動神經)과 감각신경(感覺神經)의 전도(電圖) 속도(速度))를 치료(治療) 전(前)과 후(後)의 대조지표(對照指標)로 하였고. 매(每) 4주(周)를 한개의 료정(療程)으로 총(總) 1-2개(個)의 료정(療程)을 진행(進行)하여 比較硏究(비교연구)하였다. 총유효율(總有效率)은 96.7%이고 총현효율(總顯效率)은 50%로써 대조조(對照組)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치료전(治療前) MNCV와 SNCV를 측정(測定)한 것은 당말녕(糖末寧)이 당뇨병(糖尿病) 주위신경병변(周圍神經病變) 환자(患者)의 신경전도속도(神經電圖速度)를 명확(明確)하게 개선(改善)하였음을 표현(表現)하고 있다. 신경근전도(神經筋電圖)에서 자발전위(自發電位)는 눈에 띄게 감소(減少)되고 소력수축(小力收縮)의 평균시한(平均時限)은 명확(明確)히 연장(延長)되었으며 다상전위(多相電位)는 명확(明確)하게 증가(增加)되었는데, 이는 신경지측(神經支測)이 재생(再生)되고 회복(恢復)하였음을 설명(說明)하고 있다. 중약복방제제(中藥復方制劑) "당말녕(糖末寧)"이 본병(本病)을 치료(治療)하는 기전(機轉)은 여러 방면(方面)일 것이다. 그 중(中) 微循環(미순환)을 개선(改善)하고 적혈구(赤血球)의 변형성(變形性)을 향상(向上)하여 신경세포(神經細胞)에 혈액(血液)과 산소공급(酸素供給) 및 영양공급(營養供給)을 향상(向上)함으로써 神經損傷(신경손상)의 수정(修整)과 회복(恢復)을 촉진(促進)하는 것이 주요(主要)한 일환(一環)이 될 것이다.

  • PDF

A Case of Lymphocytic Interstitial Pneumonitis (임파구형 간질성 폐렴 1예)

  • Jung, Hee-Jin;Cho, Eun-Rae;Shim, Jae-Jung;In, Kwang-Ho;Yu, Sae-Hwa;Kang, Kyung-Ho;Won, Nam-Hee;Choi, Young-Ho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40 no.5
    • /
    • pp.602-609
    • /
    • 1993
  • Lymphocytic interstitial pneumonitis (LIP) is one of parenchymal pulmonary infiltrative diseases first described at 1966 by Carrington and Liebow. In LIP, there is a predominance of mature small lymphocytes in the interstitium of the lung which form germinal centers. The disease process surrounds, but dose not invade lung parenchyme, tracheobronchial tree and vascular structures. The etiology remains still unknown and the clinical features of this disorder have not been clearly defined. Therefore, the therapeutic modality is obscure. Development of LIP association with AIDS is often reported currently and possibility of progress to malignant lymphoma is emphasized. We experienced a case of primary LIP with pnemomediastinum. She was adimitted due to chest and anterior nuchal pain with chronic coughing, and diagnosed as pneumomediastinum with LIP. Medication with steroid was begun and some improvement of symptoms was observed, but an X-ray film of the chest remained same without improvement. We report above case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s.

  • PDF

Fundamentals of Ultrasonic Welding (초음파 용접의 기초)

  • ;Jeong, H. S.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5 no.6
    • /
    • pp.24-31
    • /
    • 1997
  • 2매의 금속을 맞대어 그 한 쪽에 접촉면과 평행하게 고주파진동을 가하면 단 시간에 접합된다. 이공정을 초음파 용접이라고 하며 그 물리적인 본질은 아직 불분명 하지만, 첫째로는 강한 마찰에 의해 금속 자유면의 산화물층이 제거되기 때문이라는 점과 둘째로는 마찰에 의해 금속 표면이 강하게 가열되어 이에 따른 연화에 의해 접합 이 된다고 하는 점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열된다고 하더라도 가열은 표면부에만 국한되고 다른 부분은 가열되지 않는다. 따라서 초음파용접은 냉간접합이라고도 한다. 또 가압력과 진동에 의한 힘이 동시에 작용하기 때문에 용접할 면을 미리 청정하게 할 필요는 없고 용접전의 단계에서 자연적으로 청정화가 이루어진다고 하는 사실이 간접 적으로 증명되고 있다. 초음파 용접(Ultrasonic welding)의 특징을 요약하면 고상용접 의 일종으로서 용접중에 국부적으로 고주파 진동에너지와 압력을 가하여 용접하는 방법이다. 이 때 모재를 용융시키지 않고 건전한 야금학적 결합부가 얻어진다는 데에 큰 특징이 있다. 또한 초음파용접은 다른 용접법에 비해 경제성이 매우 높고, 초음파 용접에 필요한 출력이 전기아크 용접에 필요한 출력의 5 - 10%로 충분한 경우가 많다. 초음파 용접은 통상의 방법으로는 용접하기 어려운 동종 금속이나 이종 금속의 용접에 널리 사용된다. 이 용접법은 반도체, 미세회로, 전기 접점의 형성에 대한 생산기술 로서 사용되고 있는데 소형 모터, 알루미늄 박의 가공, 알루미늄 합금의 조립 등에 이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자동차, 우주항공산업 분야의 구조제 용접용으로도 채용되고 있다.출함이 바람직하다.분비되는 배설-분비 항원의 자극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넌트 명세서를 대한 XML DTD(Document Type Definition)를 정의하고, HTML 기반 검색 방법과 XML 기반 검색 방법에 대한 컴포넌트 검색 성능을 비교한다.따라 NO 생산 및 세포독성이 증가하였고. NO 생산을 저하시키는 약제들은 활성화된 복강 대식세포 및 RAW264.7 세포에 의한 질편모충에 대한 세포독성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아 NO는 질편모충에 대한 대식세포의 숙주 방어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감당할 것으로 생각된다.nction index) 와 최대개구시 동통의 정도는 시술전과 시술 4주후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피부온도는 검사자간에는 특정부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높은 재현성을 보여줌으로서 향후 교근 및 측두근의 임상연구 평가에 피부온도조사는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lactobacilli의 양은 peroxidase system을 함유하거나(p < 0.01) 함유하지 않은(p < 0.05) 치약을 사용한 군 모두에서 양치전에 비해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6. 양치후 30분에 채취한 구강건조증 환자의 자극성 전타액내 S. mutans 양은 peroxida system을 함유한 세치제를 사용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낮았다(p < 0.05). 7. 양치후 30분에 채취한 구강건조증 환자의 자극성 전타액내 lactobacilli양은 peroxidase system을 함유한 세치제를 사용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p = 0.067)

  • PDF

Congenital Bronchoesophageal Fistula of Adult in Korea (한국내 성인에서의 선천성 기관지 식도루)

  • Yum, Ho-Kee;Choi, Soo-Jeon;Kim, Dong-Soo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44 no.4
    • /
    • pp.907-913
    • /
    • 1997
  • Background : Congenital bronchoesophageal fistula(BEF) presented in adult life is a rare disorder and has characteristic clinical findings such as paroxysmal cough after water ingestion and recurrent respiratory infections. It usually manifested recurrent pneumonia and chronic cough with purulent phlegmon which was mis-or under-diagnosed as chronic bronchitis, bronchiectasis or lung abscess so forth. Methods : We reviewed retrospectively 13 cases of congenital BEF in adult of Paik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including 22 cases of congenital BEF previously reported in literature of Korea from 1979 through 1995. Results : The mean age at diagnosis was $40.2{\pm}14.3$.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x ratio(Male : Female 18 : 17). The most common symptom was cough(91.4%), followed by chronic sputum(74.3), hemoptysis(25.7), and paroxysmal nocturnal cough at specific position(20%). Twenty one of 31 patients who were able to review have the most specific sign, Ono's sign presented as paroxysmal cough after liquid ingestion. By classification of Braimbridge-Keith, Fourteen(45.1%) of 31 patients were group I (associated with esophageal diverticulum), 15(48.4%) were group II (simple fistula), and group Ill and IV was one case in each. The opening of fistula confined to right lower lobe in 26(76.5%), left lower lobe in 6(17.6%), and left main bronchus in 2(5.9%) cases. Conclusion : Congenital bronchoesophageal fistula is uncommon disorder which has characteristic histories and specific symptoms such as chronic and recurrent lower respiratory infections, and paroxysmal cough after liquid ingestion. Medical attention and careful history should be done in patients who have localized recurrent lower respiratory infections in right lower lob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