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작위치

Search Result 1,24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EEE 802.11-based Power-aware Location Tracking System (저전력을 고려한 IEEE 802.11 기반 위치 추적 시스템)

  • Son, Sang-Hyun;Baik, Jong-Chan;Baek, Yun-Ju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 no.7B
    • /
    • pp.578-585
    • /
    • 2012
  • Location tracking system through GPS and Wi-Fi is available at no additional cost in an environment of IEEE 802.11-based wireless network. It is useful for many applications in outdoor environment. However, a previous systems used for general device to tag. It is unsuitable for power aware location tracking system because general devices is more expensive and non-optimized for tracking. The hand-off method of IEEE 802.11 standard is not enough considering power consumption. This thesis analyzes the previous location tracking systems and proposes power aware system. First,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ag to optimize location tracking. Next, we propose low-power hand-off method and low-power behavior model in implemented tag. The proposed hand-off method resolve power problem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behavior model minimize power consumption of tag through power-saving mode and the concept of duty cycle. To evaluating proposed methods and system performance, we perform simulations and experiments in real environment. And then, we calculate tag's power consumption based on the actual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of each operation. In a simulation result, the proposed behavior model and hand-off method reduced about 98%, 59% than the standard's hand-off and default behavior model.

MPEG Video Segmentation using Hierarchical Frame Search (계층적 프레임 탐색을 이용한 MPEG 비디오 분할)

  • 김주민;최영우;정규식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215-218
    • /
    • 2000
  •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브라우징 하는데 필요한 비디오 분할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 데이터를 Shot단위로 분할하고, Shot내부에서 카메라 동작과 객체 움직임 분석을 이용한 sub-shot으로 분할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I-frame의 DC 영상을 이용하여 픽쳐그룹을 Shot(장면이 바뀐 경우), Move(카메라 동작,객체움직임), Static(영상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경우)로 세분화하고 해당 픽쳐 그룹의 P, B-frame을 검사하여 정확한 컷 발생 위치, 디졸브, 카메라동작, 객체 움직임을 검출하게 된다. 픽쳐그룹 분류에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계층적 신경망과 다중 특징을 이용한다. 정확한 컷 발생위치 검출하기 위해서 P, B프레임의 메크로블럭 타입을 이용한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고, 디졸브, 카메라 동작, 객체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해서 P, B-frame의 메크로블럭 타입과 움직임 벡터를 이용한 신경망으로 검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계층적 탐색을 이용하여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계층적 신경망과 다중 특징을 이용하여 픽쳐 그룹을 세분화 할 수 있고, 메크로 블록 타입과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컷 검출을 할수 있고, 신경망을 이용하여 디졸브, 카메라 동작, 객체움직임을 검출 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 PDF

Development of Sensor Data-based Motion Prediction Model for Home Co-Robot (가정용 협력 로봇의 센서 데이터 기반 실행동작 예측 모델 개발)

  • Yoo, Sungyeob;Yoo, Dong-Yeon;Park, Ye-Seul;Lee, J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552-555
    • /
    • 2019
  • 디지털 트윈이란 현실 세계의 물리적인 사물을 컴퓨터 상에 동일하게 가상화 시키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물리적 사물이나 시스템을 모델링하거나 IoT 기술에 접목되어 활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디지털 트윈 기술은 가상의 모델을 무한정 시뮬레이션을 통해 동작을 튜닝하고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을 미리 실험하여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최근 인공지능이나 기계학습에 관련된 기술들이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이와 같은 물리적인 사물의 모델링 작업을 데이터 기반으로 수행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산업현장에서 많이 활용되는 인더스트리 4.0 공장 자동화의 핵심인 협력 로봇의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로봇의 동작을 인지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 협력 로봇의 동작을 인지하기 위한 시도는 미비하며,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작을 역으로 예측하는 기술은 더욱 그렇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로봇의 동작을 인지하기 위해 가정용 협력 로봇에서 전류 및 관성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실험 환경을 구축하고, 수집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동작 예측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로봇의 동작 명령어를 조인트 위치 기반으로 분류하고 전류와 위치 센서 값을 사용하여 학습을 통해 예측하는 방식이다. SVM 을 이용하여 학습한 결과, 모델의 성능은 평균적으로 정확도, 정밀도, 및 재현율이 모두 96%로 평가되었다.

Motion Recognition by Frame Difference in Video (동영상에서 프레임간 차를 이용한 동작인식)

  • Kim, Hyeng-Gyun;Oh, Teh-Seok;Oh, Moo-S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97-200
    • /
    • 2001
  • 동작 인식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각종 장비를 이용하여 직접 측정함으로써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일정한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작업자의 동작을 촬영한 동영상에서 프레임을 추출하고, 연속된 프레임간의 차를 기반으로 고정된 배경과 움직이는 대상을 분리한다. 다음으로, 에지 검출을 이용하여 동작의 중심 위치를 추정하여 동작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The Kinetic Analysis of Arabesque Turn Motion in Modern Dance by Upper Extremity Usage (상지이용유무에 따른 현대무용 아라베스크 턴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 Park, Yang-Sun;Kim, Ji-Hye
    • Korean Journal of Applied Biomechanics
    • /
    • v.19 no.3
    • /
    • pp.457-466
    • /
    • 2009
  • This study puts the purpose in providing the scientific basis of dance motion as an artistic expression by analyzing the kinematic variable and the distribution factor of power affecting the mo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turn, right after the arabesque motion according to the existence and non existence of using the arm in the arabesque motion of modern da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arabesque turn motion, not using the upper limbs, used more turning force of head and body than the arabesque turn motion, using the upper limbs, and arabesque turn using the upper limbs obtained the turning force, using the right shoulder. The range of the hip joint on the left and the position change of left tiptoe in the Arabesque turn motion using the upper limbs is largely ascended to the vertical axis, while, the position of tiptoe in the Arabesque turn motion, not using the upper limbs is dropped to the lower part of each event. In the replacement of body center, Arabesque turn motion using the upper limbs is moved more to the turning axis than arabesque turn motion not using the upper limbs. As a result of maximum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Arabesque turn motion using the upper limbs appeared to be a lower value than the Arabesque turn motion not using the upper limbs.

Deforming the Walking Motion with Geometrical Editing (주 관절 경로의 변형을 통한 걷기 동작 수정)

  • Kim, Meejin;Lee, Sukwo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7 no.1
    • /
    • pp.1-8
    • /
    • 2021
  • This paper proposes a simple deformation method for editing the trajectory of a walking motion with preserving its style. To this end, our method analyzes the trajectory of the root joint into the graph and deforms it by applying the graph Laplace operator. The trajectory of the root joint is presented as a graph with a vertex defined the position and direction at each time frame on the motion dataThe graph transforms the trajectory into the differential coordinate, and if the constraints are set on the trajectory vertex, the solver iterative approaches to the solution. By modifying the root trajectory, we can continuously vary the walking motion, which reduces the cost of capturing a whole motion that is required. After computes the root trajectory, other joints are copied on the root and post-processed as a final motion. At the end of our paper, we show the application that the character continuously walks in a complex environment while satisfying user constraints.

The Development of Reenactment System (사건 재연 시스템 개발)

  • 윤여천;변혜원;전성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1.11b
    • /
    • pp.45-49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실제 카메라 영상으로 획득하기 어려운 화재, 살인 등의 뉴스 사건을 시청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다수의 가상캐릭터가 등장하는 애니메이션을 신속,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는 사건 재연 시스템의 개발 기법을 소개한다. 본 시스템은 미리 구축된 동작 및 모델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다수의 가상캐릭터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고가의 동작 포착 장비와 연기자가 없어도 신속한 가상캐릭터 애니메이션 제작이 가능하다. 사건 재연 시스템의 가상 캐릭터 동작 제어는 동작 지정, 동작 생성, 동작 편집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동작 지정 단계에서는 사건 시나리오에 따라 모델 라이브러리부터 가상캐릭터와배경 모델을 선택하고, 동작 라이브러리부터 가상캐릭터의 동작을 선택한다. 동작 생성 단계에서는 지정된 특정 사건을 기술하는 동작에 이동 동작을 연결함으로써 가상캐릭터의 부드러운 동작을 생성한다. 동작편집 단계에서는 가상캐릭터 사이의 상호 작용 또는 가상캐릭터와 가상환경의 상호작용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 특정한 시간에서의 가상캐릭터 위치와 자세 등을 조정한다. 본 시스템은 편리한 사용을 위해 대화형과 스크립트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적용하였으며, 3차원 그래픽 소프트웨어인 Maya의 플러그인(Plug-in) 소프트웨어 형태로 개발하여 Maya의 고성능 그래픽 기능을 활용하였다.

  • PDF

Dragging Body Parts in 3D Space to Direct Animated Characters (3차원 공간 상의 신체 부위 드래깅을 통한 캐릭터 애니메이션 제어)

  • Lee, Kang Hoon;Choi, Myung Geol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1 no.2
    • /
    • pp.11-20
    • /
    • 2015
  • We present a new interactive technique for directing the motion sequences of an animated character by dragging its specific body part to a desired location i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via a hand motion tracking device. The motion sequences of our character is synthesized by reordering subsequences of captured motion data based on a well-known graph representation. For each new input location, our system samples the space of possible future states by unrolling the graph into a spatial search tree, and retrieves one of the states at which the dragged body part of the character gets closer to the input location. We minimize the difference between each pair of successively retrieved states, so that the user is able to anticipate which states will be found by varying the input location, and resultantly, to quickly reach the desired states. The usefulness of our method is demonstrated through experiments with breakdance, boxing, and basketball motion data.

Motion Capture System using Integrated Pose Sensors (융합센서 기반의 모션캡처 시스템)

  • Kim, Byung-Yul;Han, Young-Joon;Hahn, Hern-S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4
    • /
    • pp.65-74
    • /
    • 2010
  • At the aim of solving the problems appearing in traditional optical motion capturing systems such as the interference among multiple patches and the complexity of sensor and patch allocations, this paper proposes a new motion capturing system which is composed of a single camera and multiple motion sensors. A motion sensor is consisted of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to detect the motion of a patched body and the orientation (roll, pitch, and yaw) of the motion, respectively. Although Image information provides the positions of the patches in 2D, the orientation information of the patch motions acquired by the motion sensors can generate 3D pose of the patches using simple equations. Since the proposed system uses the minimum number of sensors to detect the relative pose of a patch, it is easy to install on a moving body and can be economically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The performance and the advantages of the proposed system have been proved by the experiments.

Generation of Running Motion on Complex Terrain (복합 지형에서의 달리기 동작 생성에 대한 연구)

  • Song, Mi-Young;Cho, Hyung-J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53-156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동작 포착 데이터에서 최적의 동작을 얻기 위한 비용과 시간을 줄이고, 캐릭터의 체형 크기에 무관하게 복합 지형에서 적응적인 이동 동작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캐릭터의 신장이나 걷는 속도, 걸음폭 등의 매개변수들을 사용하여 평지면, 경사면, 계단면 그리고 굴곡면 등 다양한 지형에서의 달리기 동작을 생성하며 역운동학(Inverse Kinematics) 개념을 적용하여 관절들의 위치나 각도를 산출하고 관절의 이동 궤적을 계산하기 위해 큐빅 스플라인 곡선을 활용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