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독성 식물

검색결과 583건 처리시간 0.035초

브로모벤젠으로 유도된 간독성 흰쥐에서 생열귀나무 뿌리의 간보호활성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Rosa davurica Root Extract in Rats Intoxicated with Bromobenzene)

  • Park, Jong-Cheol;Hur, Jong-Moon;Hwang, Young-Hee;Choi, Myeong-Rak;Kim, Suk-Nam;Choi, Jong-Won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30-235
    • /
    • 2003
  • Bromobenzene으로 간독성을 유발한 흰쥐에 생열귀나무 뿌리를 투여하여 bromobenzene 대사계에 미치는 효소활성을 관찰하였다. Bromobenzene은 bromobenzene 2,3-oxide와 bromobenzene-3, 4-oxide로 전환되며, 3,4-oxide는 독성물질로서 epoxide hydrolase에 의해 무독성 bromobenzene-3,4-dihyrodiol로 대사 또는 glutathione S-transferase에 의하여 배설되기도 한다. 중국 민간에서 강장제로 사용하는 생열귀나무는 한방에서 소화불량, 위통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용식물이다. 생열귀나무의 뿌리 추출물은 흰쥐의 간 epoxide 생성계에 관여하는 aminopyrine N-demethylase, aniline hydroxylase 활성과 epoxide를 대사시키는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에는 변화를 주지 않았다. 그러나 생열귀추출물 500 mg/kg 경구투여군은 eporide를 무독화시키는 epoxide hydrolase 활성에서 bromobenzene 투여로 효소활성이 저하된 대조군보다 33% 활성을 회복시켰다. 따라서 생열귀나무 뿌리는 간독성물질인 bromobenzene 대사에 관여하는 epoxide hydrolase 활성 증가로 인해 간보호작용이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몇 가지 식물추출물이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의 세포생존율과 세포부착률에 미치는 세포독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ytotoxic Effects of Several Plant Extracts on the Cell viability and Cell Adhesion Activity in Cultured NIH3T3 Fibroblast)

  • 임요섭;송원섭;서영미;박승택;김신무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16-124
    • /
    • 2010
  • This study was aimed to clerify the cytotoxicity of some plant extracts such as Hosta longissima HONDA (HL), Hemerocallis fulva var. Kwanso REGL (HFVK), Hemerocallis fulva L (HF), Macrocapium officinale NAKAI (MO) and Mentha canadensis var. piperascens HARA (MCVP), the cultured NIH3T3 fibroblasts were treated with 25, 50, 100, 150 and $200{\mu}g/mL$ of five kinds of plant extracts for 48 hours, respectively. The cytotoxicity of plant extracts was measured by MTT and NR assays for the cell viability, and XTT assay for the cell adhesion activity. In this study, HL, MO and FHVK extracts showed the range of midtoxic-non toxic by the criteria of chemical cytotoxicity. While, the HF and MCVP extracts showed midtoxic. In the extract cytotoxicity, HL, MO and FHVK extracts showed non-toxic by the criteria of extract cytotoxicity. While, HF extract was determined as lower-toxic. In the responsive sensitivity of each plant extract on colorimetric assays, HF extract was sensitive to mitochondrial enzyme by MTT assay, lysosomal enzyme by NR assay and mitochondrial nucleus by XTT assay. While, MCVP extract was sensitive to mitochondrial enzyme by MTT assay and lysosomal enzyme by NR assay than other assays. While, HL, HFVK and MO extracts were most sensitive to NR assay. Cell culture is one of useful materials in the screening of cytotoxic and recovary effect on the putative chemical agents or plant extract. And also, colorimetric assay is regarded as very useful tools for quantitative measurement of cytotoxic effect on plant extracts in vitro.

  • PDF

해당화 뿌리에서 분리한 Catechin의 간보호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 of Catechin Isolated from the Root of Rosa rugosa Thunb)

  • 허종문;김인호;박종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1-25
    • /
    • 2007
  • 해당화 뿌리는 우리나라 민간에서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되는 약용식물이다. Bromobenzene으로 간독성을 유발한 흰쥐에 뿌리에서 분리한 화합물인 (+)-catechin을 경구투여하여 bromobenzene대사계에 미치는 효소활성을 간독성 물질인 bromobenzene 3,4-oxide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aminopyrine N-demetylase와 aniline hydroxylase와 독성 epoxide 대사중간체를 무독화 시키는 epoxide hydrolase와 glutathione S-transferase에 활성을 관찰하였다. (+)-Catechin의 투여가 aminopyrine N-demetylase, aniline hydroxylase 및 glutathione S-transferase에 활성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epoxide hydrolase는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ascorbic acid에 미치지 못하지만, bromobenzene 처리군 보다 39% 효소활성을 회복 시켰다. 따라서, (+)-catechin은 간독성 물질을 무독화시키는 epoxide hydrolase의 활성을 회복시켜 간보호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해당화에서 분리한 사포닌 성분인 rosamultin도 이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 인해 보호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

간기능 개선용 복합 식물 추출물(Hepa-1000)의 tert-butyl hydroperoxide(t-BHP)로 유도한 간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Poly Herbal Formulation (Hepa-1000) on t-BHP Induced Toxicity in Human Hepatoma Cells)

  • 이유진;김경범;정종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121-1126
    • /
    • 2006
  • In the present study, the potential hepatoprotective effects of poly herbal formulation, Hepa-1000, against oxidative damages induced by t-BHP were evaluated in HepG2 cells in order to relate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with cytoprotective effects. The t-BHP induced considerable cell damage in HepG2 cells was shown by significan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leakage, and increased lipid peroxidation. Hepa-1000-treated cells showed an increased resistance to oxidative challenge, as revealed by higher survival capacity than the one of control cells against t-BHP induced oxidative stress and hepatotoxicity. In addition, the Hepa-1000 had hepatoprotective effects lowering the activity of GOT and LDH, simultaneously. That is, it could inhibit the cell membrane damages resulting in the increased activities of GOT and LDH in the cell culture media. Furthermore, the Hepa-1000 could reduce t-BHP enhanced lipid peroxidation, which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production of malonedialdehyde. Based on the data described above,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Hepa-1000 has significant hepatoprotective effects and plays a protective role against lipid peroxidation by free radicals.

WHO VigiAccess에 수록된 식물성 독성주의한약재 관련 이상사례 보고 현황 (Status of reports of adverse events related to botanical herbal medicines with toxic precautions officially managed by Korean government: A descriptive analysis from WHO VigiAccess)

  • 김미경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65-181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review the global status of adverse event (AE) repor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orted AEs of plants managed as herbal medicines (HMs) with toxic precautions in Korea. Methods: This is a cross-sectional quantitative study that analyzed information available through VigiAccess, a website that provides summarized statistical information from the WHO's global AE database to the public. VigiAccess was searched in 8 Jan, 2024. Information on the total number of reports, number of reports by year and continent, and the age and gender of patients were obtained, and the types of frequently reported AEs were also reviewed. Results: Data on the status of report submissions were obtained for a total of 9 HMs including Aconitum ciliare, Aconitum carmichaeli, Arisaema japonicum, Pinellia ternata, Euphorbiae Lathyridis, Croton tiglium, Strychni Ignatii, Strychnons nux-vomica, and Linum usitatissimum. The number of reports per HM was from 1 to 137. The most commonly reported type of AEs were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most of the HMs, followed by neurological disorders. Serious adverse events were reported only in Strychni Ignatii, Strychnons nux-vomica, and Linum usitatissimum, including one case of death.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e status of reported AEs of botanicals considered as HMs with toxic precautions in Korea based on real world data. However, when interpret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aders should consider the significant limitations of this study mainly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source.

Cd$^{2+}$ 에 의한 닭의장풀의 식물 독성에 Indole acetic acid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ole Acetic Acid (IAA) on Cd$^{2+}$_induced Physiological Toxicities in Commelina communis L.)

  • 이준상
    • 환경생물
    • /
    • 제21권3호
    • /
    • pp.234-239
    • /
    • 2003
  • 3주간 정상적으로 생장한 닭의장풀을 Hoagland용액 ($\pm 100 \mu M \;Cd^{2+}, 100 \mu M \;Cd^{2+}+10 \mu M\;IAA,100 \mu M\; Cd^{2+}+100 \mu M \; IAA,100 \mu M \; Cd^{2+} +1 \mu M \; IAA)$에서 3주간 수경재배 한 후 생장, 기공개폐, 엽록소 함유량, 엽록소 형광 및 수분퍼텐셜을 조사하였다. Hoagland용액에 $Cd^{2+}$ 처리시 3주 동안 2.0 cm 생장했으나, 대조구는 7.0 cm생장했다. 반면에 카드뮴에 10$\mu$M IAA를 같이 처리한 경우는 3주 동안 3.7 cm자랐으며, 100 $\mu$M IAA를 같이 처리하면 3주 동안 5 cm그리고 1mM IAA의 경우는 3.3 cm 생장하였다. $Cd^{2+}$은 기공열림을 촉진하였으며, 아울러 IAA첨가는 $Cd^{2+}$을 단독처리 한 경우보다 기공열림을 더 촉진하였다. 엽록소 함량의 변화는 $Cd^{2+}$ 처리구에서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Cd$^{2+}$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3주 때 엽록소 함량이 13%억제되었다. $Cd^{2+}$과 IAA를 함께 처리한 경우는 10 $\mu$M과 100 $\mu$M에서는 뚜렷한 엽록소 함량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1 mM IAA 처리구에서는 약 9% 엽록소 함량이 감소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정상적인 엽록소 a/b비율을 보여주었으나, $Cd^{2+}$처리구에서 3주 배양한 경우 2.38을 보여주었다. Fv/Fm 측정 결과 $Cd^{2+}$ 처리는 Fv/Fm값에 영향을 주었다. 카드뮴 처리 1주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2주와 3주 처리시에는 대조구에 비해 각각 9%와 11% 억제되었다. $Cd^{2+}$처리시 약 3주 후에 약 67%가 수분퍼텐셜이 감소하였다. 반면에 $Cd^{2+}$에 IAA를 다양한 농도에서 첨가하면 수분퍼텐셜의 변화는 미미하였다. 위의 결과들로부터 IAA는 식물의 생장, 엽록소 함량,Fm/Fv그리고 수분퍼텐셜에서 $Cd^{2+}$에 의한 심각한 독성을 뚜렷하게 완화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Kinetin 침종처리가 벼 발아중 구리 독성 경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Soaking of Kinetin on Alleviating Copper Toxicity during Germination in Rice)

  • 김상국;이상철;민기군;이승필;최부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65-474
    • /
    • 1996
  • 중금속가운데 필수 미량 원소인 동을 볍씨에 처리한 후 식물생장조정제인 kinetin을 침종 처리하여 발아중 동 독성에 대한 벼의 생육 특성, 붕소의 활성, 발아율 향상과 중금속 장해의 경감을 위하여 몇 가지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독성 경감을 위한 농도별 klnetin처리에 따른 생육은 일품벼, 향미벼 001 모두 초장은 kinetin l0$^{-3}$M 처리가 무처리와 동 60ppm 처리에 비해 생육이 양호하였고 뿌리의 생장도 우세하였다. 2. 엽록소 함량은 두 품종 모두 동 60ppm 처리보다 무처리가 높았으며, kinetln 처리에서는 kinetin l0$^{-3}$M, kinetin l0$^{-4}$ M, kinetin l0$^{-5}$M의 처리 순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3. Kinetin처리농도에 대한 식물체 부위별 동의축적량은 kinetin의 농도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동 60ppm처리에서 동 함량은 일품벼는 잎에서 1,797n 종자에서 1,340ng이었고 향미벼 001에서는 잎과종자에서 동 함량이 각각 1,590ng, 1,260ng으로 일품벼가 더 높았다. 4. 동 60ppm처리에 따른 품종간 단백질 밴드의 패턴은 발아 후 3일째 두 품종 모두 35, 40kDa.부위에서 다소 약한 밴드가 보였으며 일품벼의 경우 발아후 kinetin l0$^{-3}$M 처리에서 54.4 kDa에 새로운 단백질 밴드가 나타났다. 5. 동 처리에 따른 발아일수별 SOD활성도는 일품벼의 경우 무처리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동 60ppm처리에서 발아 후 3일째 1,299EU로 가장 높은 활성도를 보이다가 발아 후 5일째부터 점차 감소하였으며, 향미벼 001에서는 발아 후 3일째 동 60ppm 처리에서 1,260 EU의 활성도를 나타내다가 발아 후 5일 째부터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kinetin l0$^{-3}$M 처리에서는 가장 낮은 활성을 보여 어느 정도 동 stress 경감의 효과가 인정되었다. 6. 유리 proline함량은 품종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SOD 활성과 마찬가지로 발아 후 3일 째 동 60ppm 처리에서 큰 차이를 보였지만, 발아일수가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Murine Macrophage RAW 264.7 세포에서 누은분홍잎(Acrosorium yendoi Yamada)의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n 80% Eth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Fraction of Acrosorium yendoi Yamada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 고창식;현우철;김지현;고영종;송상목;고미희;이종철;김창숙;윤원종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74-581
    • /
    • 2015
  • 본 연구는 누은분홍잎(Acrosorium yendoi Yamada) 80% 에탄올를 가지고 추출한 후 추출물을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용매분획을 실시하여, 80% 에탄올 추출물 및 그 분획물들의 염증반응의 주체가 되는 대식세포 계열인 RAW 264.7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NO의 생성억제 효과, 그리고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 억제효과, PGE2 생성 억제 효과 및 TNF-α와 IL-6등과 같은 pro-inflammatory cytokines 생성 억제효과 등을 알아보았다. 대식세포 계열인 RAW 264.7 세포에 LPS로 자극을 주고 누은분홍잎 80%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을 처리하여 확인해본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NO와 PGE2 생성 억제 활성이 가장강하게 나타났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NO 및 PGE2 생성억제 활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세포독성평가(LDH)에서는 누은분홍잎 80%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에 50㎍/㎖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누은분홍잎의 80% 에탄올 추출물,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iNOS 및 COX-2 발현 억제 활성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경우는 뚜렷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iNOS 및 COX-2 발현 억제 활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누은분홍잎에 대한 효능, 이화학적 성분 및 유효성분등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여 본 결과를 통해 누은분홍잎 추출물 및 활성 분회물을 이용한 항염증 효능을 갖는 유효성분 분리 및 이를 통한 작용기전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되고, 또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염증 관련 의약품, 의약외품 및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조팝나무 뿌리 열수 추출물이 RAW264.7 세포에서 미치는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Spiraea prunifolia Sieb. et Zucc. var. simpliciflora Nakai in RAW 264.7 Cells)

  • 심미옥;이현주;장지훈;이효은;정호경;김태묵;노종현;정자균;정다은;조현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35-34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LC IT TOF MS를 이용하여 조팝나무 뿌리의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 caffeic acid와 p-coumaric acid가 주성분으로 검출되었으나,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열수 추출물에서 검출되지 않은 저극성 물질들이 다수 검출되었다. 조팝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바가 있으나, 열수추출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팝나무 뿌리 열수 추출물(SSN)의 항산화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항염증 활성을 탐색하기 위해 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로부터 분비되는 NO함량을 측정하였다. SSN은 LPS로 유도한 염증반응에서 세포 독성 없이 NO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다음으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SSN은 강한 유리라디칼 저해능을 나타냈으며, 이는 SSN이 폴리페놀(56.7 mg/g)과 플라보노이드(15.1 mg/g)와 같은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강한 항산화능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식세포에서 $H_2O_2$로 유도한 세포독성을 완화시켰으며, 세포내 ROS 생성을 억제함에 따라 천연물 유래 항산화제로서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때SSN이 항산화와 항염증 효과와 관련된 건강보조식품 및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리쟁이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Antioxidative Activity of Rumex crispus L. Extract)

  • 임태진;최무영;박희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68-57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소리쟁이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소리쟁이 추출물의 농도는 2.15 mg/mL으로 ${\alpha}$-tocopherol의 $IC_{50}$(0.43 mg/mL)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총항산화능은 ABTS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으로 측정하였다. 소리쟁이 추출물 0.1 및 1 mg/mL의 총항산화능은 각각 0.47 및 2.33 mM Trolox와 동등한 수준이었으며, ${\alpha}$-tocopherol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소리쟁이 추출물 0.1 및 1 mg/mL의 superoxide 소거활성은 각각 21.5 및 78.9%이었으며, catechin에 비해 차이가 없었다. 소리쟁이 추출물 20 및 100 ${\mu}g/mL$의 pe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은 각각 62.5 및 156.4 ${\mu}M$ Trolox와 동등한 수준이었으며, ascorbic acid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소리쟁이 추출물 0.1 및 1 mg/mL의 구리이온 환원력은 각각 0.28 및 1.88 mM Trolox와 동등한 수준이었으며, ${\alpha}$-tocopherol에 비해 유사하거나 높게 나타났다. 소리쟁이 추출물은 hydroxyl 라디칼 및 peroxyl 라디칼로 유발된 supercoiled DNA strand 절단을 억제시켰다. 소리쟁이 추출물 0.5 및 5 mg/mL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0.58 및 3.85 mM gallic acid와 동등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HepG2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배양에서 소리쟁이 추출물 0.1 및 0.5 mg/mL 농도의 첨가는 0.2 mM tert-butyl hydroperoxide로 유도된 세포독성을 각각 38.5 및 63.5%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은 소리쟁이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세포독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능은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 억제와 높은 총페놀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