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독서 교육

검색결과 464건 처리시간 0.028초

독서교육 정책수립을 위한 전라북도교육청 독서교육 담당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urvey on the Reading Education for Policy Development in Jeollabukdo, Korea)

  • 김성준;서진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5-70
    • /
    • 2013
  • 이 연구는 전라북도교육청의 효과적인 독서교육 정책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단위학교 독서교육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주요 조사내용은 그동안의 독서교육 사업평가, 단위학교 독서교육 현황, 독서교육 정책개발의 고려요소이며, 전라북도교육청 소속 전체 학교의 31%에 해당하는 239개교 독서교육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현 독서교육 지원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도와 효과성은 비교적 높고, 단위학교는 연간 4개 정도의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초등학교의 독서교육 수준이 중 고등학교에 비해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향후 독서교육 정책수립시 고려해야 할 우선순위로는 사서교사와 같은 독서교육 전문인력의 충원과 학교도서관 시설 및 장서와 같은 독서환경의 개선이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현 독서교육 지원사업의 기조유지와 개선, 학교도서관 환경개선 사업의 지속추진, 초등학생 대상의 전문화된 정책개발, 독서교육 전문인력의 배치와 전문성 신장, 독서교육 정보의 공유체계 마련을 독서교육의 주요 정책방향으로 제안하였다.

독서과학의 학문적 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ademic System of Science of Reading)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7-50
    • /
    • 2016
  • 이 연구는 미국과 일본의 독서과학의 학문적 체계와 우리나라 대학의 학부와 대학원의 독서학과와 독서교육전공의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독서과학의 학문적 체계에 대한 원칙을 수립하여 독서과학의 학문적 체계를 제안한 것이다. 미국의 독서과학 연구영역은 독서사회학, 독서생리학, 독서심리학, 독서교육학의 4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일본의 독서과학 연구는 미국의 영향을 받아 독서과학의 연구영역을 독서사회학, 독서생리학, 독서심리학, 독서교육학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실복무(室伏武)는 독서과학 교육과정을 기초분야, 독서자료분야, 독서교육의 방법분야, 독서교육 관리분야, 독서과학 인접학문 분야로 구분하고 있다. 우리나라 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독서과학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분석한 결과 독서과학의 영역은 독서사회학, 독서심리학, 독서교육방법학, 독서자료학, 독서와 관련된 인접과학의 5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내용을 기초로 새로운 독서과학의 학문적 체계를 제시해 보면 독서과학의 기초, 독자 영역, 독서자료 영역, 독서지도자의 교육 영역, 독서과학의 인접학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국제독서협회(IRA)의 독서교육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 Instruction Standards of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85-205
    • /
    • 2014
  • 이 연구는 국제독서협회에서 제시한 독서교육자 전문성 기준, 언어교육 기준, 읽기 쓰기 평가기준을 살펴보고, 이 기준이 우리 문헌정보학과 도서관의 독서교육에 비추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고찰하였다. 국제독서협회는 언어교육의 관점에서 독서교육을 접근하고 있는데, 이 협회는 독서교육자를 7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별 전문성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언어교육 기준은 독서를 포함한 언어교육의 내용과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문서이며 독서교육을 계획, 전개, 실천하는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기준이다. 그리고 읽기 쓰기 평가기준은 언어평가의 목적과 방법을 규정함으로써 학생의 독서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기준들이 우리 상황에서 지니는 의미는, 독서교육자 기준은 독서교육자의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이들에게 책무성을 강화시키며, 양성과정을 정비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언어교육 기준은 일관된 독서교육을 실천하고 구체적 교육방법을 구상하는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읽기 쓰기 평가기준은 독서능력을 측정하고 대상자의 수준에 맞는 독서교육을 실시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독서교육 지도자의 자질과 양성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Training Program of Reading Education Professionals)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87-212
    • /
    • 2008
  • 본 연구는 독서교육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자질을 살펴보고, 미국, 일본, 우리나라의 독서교육 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비교하여 독서교육 지도자 양성프로그램 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미국의 독서교육지도자 양성프로그램은 교육학과 국어교과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문해교육을 중시하고 있으며, 일본은 독서교육의 학문적 체계를 중시하고 여러 가지 독서활동을 강조하며, 독서교육과 관련된 인접학문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국어교과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읽기와 독해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독서교육 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독서의 3요소인 독자, 독서자료, 지도자를 중심으로 하고, 여기에 이론과 철학을 포함시키고, 교육경험과 실습을 강조하며, 독서교육과 관련이 있는 인접학문을 포괄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되어야 한다.

  • PDF

독서교육지원시스템의 구성요소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nents of Web-Based Reading Education System)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95-318
    • /
    • 2010
  • 최근 컴퓨터를 이용한 웹 환경에서 독자의 독서활동과 이력을 누적해서 관리하는 독서인증시스템과 종합적인 독서교육이 가능한 독서교육지원시스템이 개발되어 일선 학교에 적용되고 있다. 독서교육지원시스템의 독서기록은 독자에게 독서생활의 향상, 독해의 심화, 사고력 신장 그리고 자기통찰과 인격형성에 기여할 수 있으며, 지도자에게는 독자의 독서량, 독서영역, 독서수준, 독해의 깊이 등의 독서실태를 파악하여 체계적인 독서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독서교육지원시스템은 개개인의 독서이력을 누적해서 기록할 수 있고,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 특징이 있으며, 아동과 학생의 독서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독서교육지원시스템의 메뉴는 독서수준 검사, 독서자료, 독후활동, 독서인증, 독서이력 관리, 교사의 지도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 PDF

웹기반 독서교육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Reading Education System)

  • 황미숙;장민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791-794
    • /
    • 2003
  • 현재까지 수행되던 전통적인 독서 교육 방법이 컴퓨터 기술과 정보통신 발전으로 인해서 그 방법의 전환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독서 교육 영역에서도 웹 상의 독서 교육 시스템이 필요해졌다. 웹 기반의 독서 교육에 있어서 시ㆍ공간적 제약 없이 다른 학습자들과 의사소통할 기회를 많이 제공하여 서로간의 생각이 교환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웹 상의 독서 교육시 다양하게 자료가 제시되어야하고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이 고려되는 시스템일 때 독서 교육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교육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여 실생활과 연결된 독서 교육을 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웹을 이용하여 MS-SQL7.0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사용자의 원활한 정보 공유와 제공을 위해 IIS5.5 웹 서버와 ASP를 연동시켜 초등학교 독서 교육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학교 독서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School Reading Instruction Policy)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9-234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교육당국이 주도하는 독서교육 정책의 현황을 점검하고 독서교육 정책을 둘러싼 논란과 비판의 실체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독서교육 정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독서교육 정책 및 독서교육의 바람직한 방향과 대안을 모색하였다.

  • PDF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ope and Sequence of Reading Education in School of Library)

  • 변우열;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11-141
    • /
    • 2006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을 위한 내용체계 즉, 범위와 계열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독서교육 내용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공통적인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독서교육의 내용체계 즉, 범위와 계열을 설정하였다.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독서 교과의 교육과정은 물론 미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독서 관련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10개 영역, 45개 요소의 독서교육 내용(요소)을 1차적으로 설정하였다. 초 중등학교 현장의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1차적으로 설정한 독서교육의 범위(요소)에 대한 타당성과 지도하기에 적합한 학교 급별 수준을 조사한 후 최종적으로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 내용체계 즉, 범위와 계열을 제안하였다.

  • PDF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을 위한 독서전략 범주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of Reading Strategies for Reading Instruction in School Library)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39-159
    • /
    • 2008
  • 독서교육에 관한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독립적인 기능 중심의 교육보다는 독서전략을 중심으로 지도해야 한다는 주장이 폭넓게 수용되고 있다. 독서전략은 독자가 능숙하게 독서를 하는데 동원하거나 지도교사가 효과적인 독자가 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방법이나 의도적인 계획을 말한다. 그동안 학교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독서촉진 혹은 행사에 치중해 왔다. 따라서 학교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독서교육은 독서촉진이나 행사보다는 독서전략 중심의 교육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종류, 텍스트의 구조, 독서의 과정, 인지전략 등 4개의 요소로 구분하여 독서교육에 필요한 독서전략을 범주화하였다.

  • PDF

웹 기반의 학교도서관 독서교육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Web-Based Reading Instruction System in School Library)

  • 이병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26
    • /
    • 2003
  • 지금까지의 독서교육은 교수-학습 활동과 연계되지 못한 채 별개의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독서의 본질적인 측면보다는 독서자료의 제공이나 책을 다 읽고 난 후의 표현 활동에 치중하여 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교과학습과 독서 활동을 연계하고, 독서자료의 접근은 물론 실제 책을 읽는 인지적 활동 그리고 책을 읽고 난 다음의 표현 활동을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웹 기반 독서교육 시스템을 설계, 제안하였다. 북어드벤처, 썬링크등 기존의 독서교육 시스템을 분석하여 웹 기반독서교육시스템의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을 설계, 제안하였다. 제안한 웹 기반의 독서교육시스템은 독서안내, 나의 독서수준, 책 고르기, 독서 전략, 독서표현, 독서토론 등 6개의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