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심거주자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8초

대도시 도심지역의 거주환경과 거주요인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도심지역의 아파트 거주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Factor of Downtown Area in Big Cities - Apartment house residents in Gwangju City -)

  • 김명호;이봉수;유창균;조용준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67-172
    • /
    • 2002
  •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residential environment and factors with partial region of Chungjang-dong, Dong-gu, Gwangju based on land register and questionnaire. Consequently, most of residents are in their forties or over and working at downtown or place near it. It is found that rate of their own house is high and they live in the current house over 10 years. Residential factors at downtown area include its convenience, distance to workplace, 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easy use of cultural and commercial facilities, but their consciousness of residence shows a low satisfaction with children education, air pollution, noise, parking facilities, green zone for making community, resting place, sunshine, view and privacy.

  • PDF

도심 거주의향과 지역 내 소비지출에 관한 실증분석; 내포신도시 주변도시 도심거주민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Empirical Analyses on Intention to Live and Consumption Expenditure of Urban Residents in Neighboring Counties of Naepo New Town)

  • 임준홍;홍성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678-686
    • /
    • 2017
  • 본 연구는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서는 타 지역으로부터의 인구유치도 중요하지만 이보다는 원주민들을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이루어 졌다. 실증분석은 내포신도시와 인접하여 도심공동화 현상이 우려되는 홍성군과 예산군의 원도심 주민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원도심에서 계속 거주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고령자와 단독주택 거주자였으며 반면, 내포신도시로의 이주를 희망하는 사람은 30대와 고소득자였다. 이에 우선적으로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주거정책 개발, 단독주택을 중심으로 한 주거지 정비가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활발한 경제주체인 30대와 고소득자의 주거이탈을 줄이기 위한 전략도 요구된다. 특히, 이탈자 1인당 연간 55.3만원에 해당하는 원도심에서의 소비지출이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주민 이탈이 계속될 경우 상권약화는 물론 지역경제를 근본적으로 위협할 수 있다. 이에, 지방정부는 인구감소 및 인구구조 변화, 한정된 예산의 적절한 배분,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에 대한 고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도시재생정책 방향을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울산시 도심거주자의 생활양식과 주거만족 (Lifestyles and Housing Satisfaction of Residents Living in Center of Ulsan City)

  • 김선중;권명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1-13
    • /
    • 2007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housing plan responding to lifestyles of residents living in Center of Ulsan city. A total of 230 date sets were analyzed after collecting questionnaire from 284 households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 For dat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ss analysis, One-Way ANOVA,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by SPSS program. The research centered on the possibility of categorizing lifestyles of residents based upon their living awarene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four major categorizes of residents's lifestyle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their lifestyles, This study tried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based up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s, housing satisfaction. The analysis instrument of the lifestyle concept will be useful to develop the new strategies and to plan the new multi-family houses.

울산시 도심거주자의 생활에 대응한 주택계획 (Housing Plan Responding to Lifestyles of Residents Living in Center of Ulsan City)

  • 김선중;권명희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41
    • /
    • 2005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housing Plan responding to lifestyles of residents living in Center of Ulsan city. The survey used questionnaire from 230 household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ross analysis, One-Way ANOVA,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The research centered on the possibility of categorizing life styles of residents based upon their living awareness and housing awarene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two major categorizes of residents's lifestyle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their lifestyles, This study tried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about housing preference, housing development opinion, housing satisfaction, etc. The application of the lifestyles variable in classifying residents will be important in such activities as large-scale housing supply planning or in the preliminary research and understanding of actual conditions for the housing improvement industry.

  • PDF

지하공간을 위한 자연광 변화 기반 LED 제어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ED Control System based on Natural Light Change for Underground Space)

  • 이화수;권숙연;임재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07-1310
    • /
    • 2012
  • 최근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도심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지하공간의 개발이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지하공간은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상 자연채광의 유입이 불가능한 구조로서 지하 거주자의 심리적, 환경적 문제를 초래하므로 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간의 질적 제고가 선행되어야 한다. 빛과 조명은 공간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거주자를 위해 건강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거주자의 생체리듬과 부합하는 자연광과 유사한 광 환경(색온도, 조도)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본 논문은 지하공간을 대상으로 인공조명의 광 환경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자연의 빛과 유사하게 서비스하기 위한 LED제어시스템을 개발한다.

협소거주공간 진화를 위한 EO/IR카메라 구현 (Implementation of EO/IR Camera for Fire-fighting of Narrow Space)

  • 박현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28-629
    • /
    • 2018
  • 최근 도심지내 주거공간은 다세대 거주공간으로 변화하여 화재 발생시 연기 충전이 발생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피난경로와 연기의 유출 방향이 동일하여 피난자의 연기 흡입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도심지 주거공간과 같은 협소거주공간에서 화재를 진압할 때는 화점 탐색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위해 소방관 헬멧에 장착하여 화점 탐색에 활용할 수 있는 EO/IR센서를 구현하고 이에 대한 동작시험을 함으로서 향후 화점탐색센서 연구 및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도심거주 고령자의 주거환경 만족도 분석: 천안시를 사례로 (Analysis of Content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among the Downtown Residents, the Aged: Taking Cheonan City for example)

  • 임준홍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14-122
    • /
    • 2015
  • 본 연구는 천안시 도심에서 생활하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충남사회지표 자료를 이용하여 분산분석, 군집분석 등 통계적 분석방법을 통해 주거환경 만족도를 분석하고, 향후 도심을 고령자가 선호하는 주거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어떤 주거환경 항목을 우선적으로 정비하여야 하는가를 제시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심에서 생활하는 고령자의 주거이동 의향은 전체 응답자의 6.9%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거이동 의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심에서 거주하는 고령자의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는 6.09점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높아 도심을 고령자 친화 공간으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성과 고졸이상, 100만원 이상의 소득자, 1세대 가족형태를 가진 사람의 도심주거환경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주거환경 요소 중 문화와 교육요인, 근린 간의 교류와 신뢰, 교통사고 등의 만족도가 낮아 이를 개선하여야 한다. 특히 우선적으로 이웃 간의 신뢰와 교류가 확대될 수 있는 커뮤니티 기반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도심주거환경에 불만족하고 있는 여성들을 도심으로 끌어 들이기 위해서는 교통사고와 범죄 등 일상생활 속에서의 안전성을 보다 강화하여야 한다.

제주시 거주자우선주차제 문제해결 요소 탐색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Analyzing Factors to Resolve Problems of Jejusi Residential Parking Permit Program)

  • 황경수;임수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7-10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거주자우선주차제 사례를 통하여 최근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에서 주로 채택하고 있는 거주자우선주차제도의 문제점을 찾고, 그에 대한 성공요인을 모색하는 것이다. 제주시는 2005년 10월부터 거주자우선주차제를 시범운영하였고, 2007년 10월부터는 본격적으로 도심 지역에서 실시하고 있다. 그 도입 배경을 보면 첫째, 주택가 이면도로의 무분별한 주차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재난사고의 확산 방지로 주민의 안녕 유지, 둘째, 쾌적한 주차환경 조성으로 주민의 생활 영위권 보장을 위한 것이다. 거주자우선주차제 성공을 위한 방안을 물어본 결과 "의사결정시부터 지역주민의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에 대한 설문에서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87.5%로 가장 높았다. 가장 우려하는 내용은 "친척들이 방문해도 유로로 주차가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라는 질문에 있었다. 응답자의 36%가 부정적인 의견이었으며 이는 친척들이 무료로 방문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우려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겠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특히 중요시해야 할 요소는 "단속을 철저히 해야 한다", "친척들이 방문해도 유료로 주차가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인근 상권 주민의 매출감소를 해결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등으로 정책적 제언을 하자면 첫째, 단속강화, 둘째, 친지방문을 위한 주차공간 확보, 셋째, 주변 상권에 대한 영향 최소화, 넷째, 소방도로의 기능과 거주자우선주차제와의 조화유도, 다섯째, 주차공급 확보를 위해 회전율 높이기라고 할 수 있다.

도심지역의 거주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 대구 도심 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Dwelling Environment in the Types of Residential Area)

  • 신소영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1994년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상
    • /
    • pp.29-36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design elements for dwelling environment planning of downtown in Taegu.The evaluation of the dwelling environment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satisfaction and the cognitive of the residents, that are based on their desire and various values on the conditions of residential area. This paper concerns the satisfaction and the congnitive image structure of the residents in the various dwelling types, from which design elements for dwelling environments can be derived. The results are as folIows: 1) The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of dwell ins environment shows lots of displeasure about the lack of open-spaces and the housing low-quality, neighborhood in Mun-hwa, Korean style housing and the low-rise apartment areas. In order to make the variety types of dowelling in downtown district, the improvement of housing qualities and the expantion of the urban facilities for the open-spaces and communities are need. 2) The design elements of dwelling environments in downtown find out the important planning elements for urban design. The evaluation of the cognitive image structures about the safety and affection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 for urban dwelling areas.

  • PDF

맨체스터의 노동계층의 공간 구조: 『메리바튼』과 『영국 노동계층의 상태』를 중심으로 (Spatial Structure for Laboring Classes in Manchester: Mary Barton and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Class in England)

  • 이협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209-214
    • /
    • 2024
  • 본 연구는 19세기의 맨체스터의 노동 계층의 생활 공간 구조를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맨체스터에는 대표적인 노동 계층이 집단 거주하는 구역이 있었다. 엘리자베스 개스켈의 『메리바튼』은 노동자 계층의 비좁고 비위생적인 거주 여건을 묘사함으로써 그들의 비참한 생활환경을 드러낸다. 영국의 산업지대에서의 노동 계층의 생활을 분석한 엥겔스의 『영국 노동계층의 상태』는 특히 맨체스터를 주로 분석한다. 획일적으로 형성된 노동계층의 거주 구역은 부르주아의 거주 지역과는 분리되어 있었다. 도심의 상업 지구를 둘러싼 열악한 구시가지에 노동자 거주지역이 있었고, 그 주변에 중산층 거주 지역이 있었으며, 외곽에는 상류층의 주거지가 있었다. 분리와 차별로 특징지어지는 산업도시로서의 맨체스터의 형성을 추동한 것은 지배이데올로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