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 구조

Search Result 2,06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EQUENTIAL LAND USE / TRANSPORTATION MODEL WITH EXTERNALITIES : LINKING THE DYNAMICS OF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URBAN SPATIAL STRUCTURE (도시토지이용과 교통에 관한 연속적 모형 : 지역경제성장과 도시공간구조와의 동태적 접근)

  • 서종국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3 no.2
    • /
    • pp.19-42
    • /
    • 1995
  • 1980년대 후기부터 교통정책의 우선 목표는 지역경제성장 자체가 교통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의 관리 중시의 정책은 다시 토지이용 정책으로 변화를 초래하엿다. 오늘날 대도시는 개개 졍제활동 주체들의 동적인 경제 행태에근거하여 분산구조를 띠고 있다. 이러한 동적인 경제행태에 미치는 요소들은 교통체계와 토지이용과 상호연관성의 연구에 필수적인 지가, 인구분포, 통행행태등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단핵도시 모형은 대도시의 분산구조형태의 동적인 과정을 설명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대도시의 변천과정을-도심 및 부심의 출현·소멸현상-설명함으로써 도시교통정책 필수적인 입지와 통행패턴에 대한 새로운 동태적 이론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역경제 성장과 도시공간구조와의 동태적관계를 통합하는 토지이용과 교통의 연속 모형을 개발·응용하였다. 개발된 모형에서는 교통량에 따른 교통비용, 도시공간구조로 인한 외부효과들, 경제활동주체들의 비동질성, 이주비용, 그리고 집적 이익등이 매기마다 내생적으로 결정되어 대도시의 공간구조 변화를 설명한다. 경제 호라동주체들간의 ? 호물리적 교류는 소득 증대에 의하여 경제구조가 변함에 따라 새로이 결정된다. 가상적 도시와 자료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 비동질적인 경제주체들의 불균형적 성장이 장기적으로 도시구조에 영향을 미치며, 기본적인 경제행위에 따라 장기동태적인 과정을 통하여나타나는 도시의 분산구조형태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교통비용의 변화에 따른 민감도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실용성을 검정하였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tructure and Urban Restructuring of the Incheon City (인천시 공간구조의 특성 변화와 체계적 도시구조 운영 방향)

  • Kim, Da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9 no.1
    • /
    • pp.24-34
    • /
    • 2003
  •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tructure and to provide the strategies of urban restructuring in Incheon. While old urban center has tended to decline, urban central functions have concentrated towards new suburban centers, outer regions of Incheon. The urbanization of Incheon to outer regions is continuing, together with the population growth. The basic directions of urban restructuring are the formation of network urban structure, the establishment of development designation district, the formation of development, and axises for urban regeneration.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systematic strategies of urban restructuring need to consider the district development for globalization, the formation of new growth pole and development axises,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theme street, and development to network city for global city.

  • PDF

Landuse Analysis by NIR Spectral data (NIR 방사자료에 의한 피복분석 연구)

  • Kim, Dong-Mo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404-407
    • /
    • 2011
  • 도시공간은 도시민의 안정적인 경제/문화/기타 활동 유지를 위해 개발 및 관리되어진다. 최근 도시공간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에 대한 안전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도시 구조물에 대한 신속 정확한 형태학적 특성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시 구조물에 대한 모니터링에 대한 관심에 못지 않게 주변의 다양한 식생이나 피복에 대한 분석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도시공간내 존재하는 다양한 식생의 피복을 분석하기 위해 NIR 방사 자료를 활용하는 기초적 연구를 통해 근적외선 방사자료를 통한 피복분석을 효과적으로 실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City Size Distribution and Spatial Structure - with Korean Metroplitan Statistical Areas (MSA) (한국 도시의 규모분포와 도시공간구조 분석 - 광역도시통계권을 중심으로)

  • Kim, Dong-Soo;Huh, Mun-Gu;Lee, Doo-Hee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1 no.4
    • /
    • pp.549-56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urban structure in Korea. Though there is research regarding urbanization, there is little regarding the urban structure of the Korean economy. In this paper, two issues will be discussed: the measurements of inter-city and intra-city structure in Korean Metropolitan Statistical Areas (MSAs), which is newly defined. First, the city size rank rule, widely known as Zipf’s Law, will illustrate Korean the inter-city structure. The city size rank rule gives an idea whether Korean MSAs are balanced or not. In general, Korea has a heavy concentration in the Seoul MSA in terms of population. It could be either that the Seoul MSA is too big or that the Busan MSA is too small or both. If this is the primacy problem, a decentralization policy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if it is a second city problem, development policies for the Busan MSA and Daegu MSA are more important. Next, the Korean intra-city structure will be discussed. The evolutions of the MSAs explain intra-city structure by analyzing population density function and the housing price function. Some large MSAs such as Seoul and Busan have experienced urban sprawl, while other MSAs have experienced urban concentration. The population density gradient by the distance from the ARC GIS shows the growth rate of a city. According to the Spatial Mismatch Index between population and employment, the Ulsan MSA, Gwangju MSA, and Suwon-Hwaseong-Osan MSA are more mismatched, while the Daejeon MSA and Incheon MSA are less mismatched. Therefore, these analyses of Korean urban structure are meaningful in developing regional policy.

  • PDF

A Spatial Pattern of An Optimal Transportation Pricing Structure; -Based on the result of a local solution- (도시공간상에서 교통시설에 대한 최적가격(요금) 구조에 관한 연구 -부분 최적해의 결과-)

  • 정성용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2 no.4
    • /
    • pp.65-88
    • /
    • 1994
  • 교통수요와 공급은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교통수요는 교통시설 서비 스수준 및 교통시설의 이용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교통시설 공급비용과 서비스수준은 교통수요에 영향을 준다. 또한, 교통수요와 공급간의 상호작용은 도시공간상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교통시스템의 공간적 구조 및 도시의 공간적 특성은 공급, 가격 및 수요를 통합한 교통균형모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영향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제까지 개발된 교통균형모형에서는 통행인의 통행시간가치 및 교통체증의 도시공간상 변화가능성을 적절하 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상에서 통행인의 통행시간가치 변화패턴 을 반영한 수 도시공간상에서의 교통시설의 최적 서비스 수준, 교통수단별 최적요금체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단핵도시구조를 지닌 도시공간상에서의 최적버스요금은 통행거리에 따라 할증되는 체계를 가져야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승용차에 대한 통행혼잡세 부과는 소득역분 배적인 효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버스의 요금구조나 서비스 수준이 최적수 준에서 제공된다면 통행혼잡세는 소득역분배적 결과를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pace Syntactic Study on Urban Expansion and Decline of the Old City Center: Focusing on Jeju City (도시확장과 원도심 쇠퇴에 관한 공간구문론적 고찰: 제주시 동(洞) 지역을 중심으로)

  • Kim, Seonghun;Oh, Byeong-Sam;Choei, Nae-Young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2 no.4
    • /
    • pp.81-92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urban expansion can act as a cause of the decline of the original city center through the Space Syntax methodology. The urban spatial structure analysis was conducted targeting the downtown area of Jeju-eupseong. The time points for longitudinal analysis were set at five points between 1914 and 2021 includ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the cadastral map was drawn up in Jeju City, and the urban spatial structure was analyzed and compared for each time point. ASA (Angular Segment Analysis) was used as a technique for urban spatial structure analysis. This study shows that urban expansion is a cause of the decline of the original downtown. The original city center has moved away from the center as the urban structural change due to the urban expansion. The urban structure of the eastern part of Jeju City has undergone a major transformation between 1914 and 2021. As the old Jeju area where the original city center was located is geographically in contact with the sea, urban sprawl has been made toward Halla Mountain and further to the south of Jeju. Accordingly, the city center has transformed from a monocentric to a polycentric structure. Due to the dynamics of the urban sprawl, the old downtown of Jeju became one of the peripheral neighbourhoods in the Greater Metropolitan of Jeju.

Development of 2D Urban Inundation Analysis Model using Adaptive Mesh Refinement Method (메쉬 세분화 기법을 이용한 2차원 침수해석 모형의 개발)

  • Lee, Se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93-93
    • /
    • 2016
  • 최근 증가하고 있는 기후변화에 의해 설계빈도를 상회하는 강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도시유역의 내수범람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도시유역에서 발생하는 침수 피해의 경우 인적 물적 자원이 집중되어 있는 도시의 특성으로 인해 침수로 인한 직접적 피해 규모가 상당할 뿐만 아니라 침수 발생 후 세균 및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 수인성 전염병의 유행 등과 같은 2차적 피해 또한 심각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할 수 있어 도시유역의 침수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어지고 있다. 도시유역의 침수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은 구조적 비구조적 대책으로 구분되어 질 수 있으며 구조적 대책의 경우 침수 피해 예방에 직접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대규모 사업예산 및 사업 기간으로 인해 직접적 효과를 보기까지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사업 진행 중 대상지역 거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한 갈등 조정 등으로 인해 사업실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비구조적 대책의 일환인 수치해석을 통한 침수피해 재현 및 침수원인 파악을 통한 구조개선 제안은 구조적 대책의 단점을 보완할 수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도시유역의 경우 비도시유역과 대조적인 차이점으로는 높은 비율의 불투수층, 복잡한 지형, 다수의 인공 구조물 및 배수관망 시스템 등을 들 수 있으며, 침수해석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복잡한 지형의 효율적인 처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2차원 침수해석 모형들은 직교구조 격자 또는 비구조 격자를 이용하여 지형을 묘사하고 있으며 DEM 자료를 직접 사용하는 직교구조 격자의 경우 지형 데이터 생성이 상대적으로 쉽다는 장점이 있으나 복잡한 지형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지역까지 높은 해상도를 이용해야 하며 이로 인하여 모의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비구조 격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복잡한 도시 유역을 잘 묘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격자망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가 많고 격자망 생성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방법의 장점만을 취할 수 있도록 메쉬 세분화 기법을 이용한 2차원 침수해석 모형을 개발 하여 복잡한 지형은 고해상도 메쉬를 이용하여 보다 자세히 묘사하고 상대적으로 복잡하지 않은 지형은 저해상도 메쉬를 이용하여 계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수치해석 기법으로는 엇갈림 격자를 이용하는 Leap-Frog 기법과 유한차분 (Finite difference Method)기법을 이용하였다.

  • PDF

Urban industrial and structure and diversification:converging trend among urban economies (도시산업구조와 다변화:도시경제간의 수렴성향)

  • Kim, Hak-Ho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28 no.4
    • /
    • pp.356-378
    • /
    • 1993
  • This study examines the competitiveness of urban industrial structure and its changing characteristics. Cluster analysis of Arizona towns based on economic functions revealed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urban functions over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of urban functions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was confirmed through shift-share analysis. The level of industrial specialization has become more closely related to urban size in terms of both population and employment,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metropolitan location and specialization level is not clear. Also, it is validated that the economies of Arizona towns have become more diversified and, consequently, have tended to converge toward the state average in industrial structure over time.

  • PDF

The Study on Regarding the Bimodal Tram Positioning Considering Urban Planning (도시계획을 고려한 바이모달 트램의 위상정립에 관한 연구)

  • Lee, Jun;Park, Jin-Kyung;Eom, Jin-Ki;Kim, Hyun-Woong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28-1838
    • /
    • 2009
  • This study will analyze what is favorable of urban structure in order to introduce new transit system like bi-modal tram. As a reasonable transport mode in a city, the bi-modal tram needs to be considered with respect to the space structural pattern and city growth process.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provide the basic resource that helps transport decision makers to decide how to introduce bi-modal tram by considering the urban structural characteristics. Also, the results that analyzed a functional characteristic of a bi-modal tram with a effective urban polices will be informative for practical use.

  • PDF

A Spatial Analysis of Transit Centers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for Developing Transit Oriented Urban Environments (대중교통중심형 도시로의 개편을 위한 역세권 도시공간구조 분석)

  • Park, Se-Hoon;Sohn, Dong-Wook;Lee, Jin-H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1D
    • /
    • pp.111-120
    • /
    • 2009
  • Restructuring urban land use patterns from the motor-oriented to transit-oriented ones is a contemporary trend in urban planning and transportation. It is expected that transforming urban land use patterns to be transit and walking friendly would resolve various urban problems such as heavy energy consumptions, air pollutions, and traffic congestions. Korean cities have much potentials for developing transit-oriented urban environments in terms of its density and civil service levels, but the level of transit usage levels and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cities are not good enough for supporting such tran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rban transit center areas and identify the problems to be solved to create transit-oriented urban environments. Case studies of four urban transit center areas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transit center areas and identify their problems. Development density, land use diversity, walk-ability and transit connectivity were the primary feature of inter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