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철도역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3초

도시철도역 이용수요 추정 및 이동편의시설 규모 예측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stimation of Demand for Urban Railway Stations and Forecast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Size Prediction)

  • 김황배;이상화;배춘봉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6호
    • /
    • pp.877-886
    • /
    • 2019
  • 도시철도 출입구 규모는 이용자의 수요에 따라 산정되어야 하나, 우리나라는 일률적인 값을 적용, 출입구 위치에 따라 이용자의 편차가 많이 발생하여 불편을 겪는다. 최근 교통약자편의증진법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등의 이동편의시설의 설치가 의무화되고 있지만 기존 역의 경우 이용자 수요와 상관없이 설치 가능한 곳에 주로 배치가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용이 많이 불편하다. 이동편의시설 위치 및 규모가 역 설계 또는 건설시 반영될 수 있도록 본 연구에서는 역 출입구별 이용수요를 예측하여 출입구의 이동편의시설 규모 산정 모형을 정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역별 승하차 이용수요, 철도역 주변 용도별 건물 연상면적을 활용하여 1일 수요 예측을 위한 다중회귀모형식을 수립하였다. 추정된 모형의 검증을 위해 동대문역과 종각역의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국내외 에스컬레이터 산정식을 활용하여 출입구별 에스컬레이터 설치 규모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일역을 대상으로 이용수요를 추정하는 것이 좀 더 정확하였으며, 종각역은 1번 출구에 상하행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나, 4번 출구에 설치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2018년 게재한 도시철도역 출입구 유출입 이용자 추정 모형 수립 논문의 발전된 형태로 향후 역 신설시 또는 이동편의시설물 설치 및 확장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더불어 현재 무분별하게 설치하는 에스컬레이터 설치 기준의 기초가 될 것으로 보인다.

도시철도역 시설의 피난에 대한 제도적 한계점 분석과 가이드라인 (Analysis of Institutional Limitations on Evacuation of Urban Railway Station Facilities and Guidelines)

  • 신예경;여옥경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1-9
    • /
    • 2022
  • 본 연구는 도시철도 지하역의 '피난' 및 '소방'에 관련한 제도적 현황을 분석하여 현행 도시철도 지하역에서의 '피난'에 대한 제도적 한계점을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건축공간적 측면에서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이 도출되었다. 첫째, 유사 기준이 개별법령에 분리 제정되어 기준 파악이 어렵고 서로 이원화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철도에 한정하여 도시철도 이용객의 이동 동선에 따라 머무는 공간을 표준화하여 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열차 이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티켓팅' 이라는 특수한 절차를 고려해야 하며 대합실과 승강장 사이에 피난안전구역, 피난계단에 대한 규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지하 30m이상 깊이의 대심도에서 승강장이 있는 경우, 현행 건축법과 유사한 기준에 따라 피난층을 설치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시철도 역사의 환승 편의성 평가지표 연구 (A Study on Transfer Convenience Evaluation Indicators for Urban Railway Stations)

  • 김황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6호
    • /
    • pp.793-799
    • /
    • 2023
  • 본 연구는 도시철도역의 입지특성, 역사의 구조, 형태, 이용객 수 등을 반영한 도시철도역사의 유형을 분류하고 역사 유형별 이용자들의 환승이동 동선의 불편정도, 환승정보 수 및 연계성, 환승 이동편의시설의 설치 수, 이용자 간의 상충성, 환승안내정보 표지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도시철도이용자들이 환승할 때 가장 불편을 주는 요소들은 환승동선의 길이와 굴곡도, 환승 통로의 보행밀도와 상충자 수, 이동편의시설 설치 유무, 환승안내 문자의 크기나 높이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 환승 불편요소들을 객관화, 지수화하고 도시철도역의 환승 편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 지표로 제시하였다. 또한, 각 평가지표별 서비스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척도를 개발하였다. 각 지표별 평가척도는 현장조사를 통해 도출된 자료들의 최대 및 최소값을 기준으로 직선 보간법을 적용하여 6단계를 제시하였다. 다만, 편의성 평가지표별 중요도와 가중치을 하나로 묶은 환승편의성 종합평가는 추후 연구을 통해 정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철도역사의 환승저항 모형 구축 연구 (Modelling of Transfer Impedance of Urban Rail Station)

  • 김황배;최진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D호
    • /
    • pp.11-15
    • /
    • 2010
  • 본 연구는 도시철도 이용자가 환승센터에서 경험하는 불편함을 개선함으로써 대중교통 체계의 경쟁력을 높이고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국의 주요 도시철도 역사를 대상으로 시설여건 물리적 요소들에 대한 보행자 편의성을 계량하여 환승저항을 산정하는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요 도시철도 역사에 대한 환승저항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환승센터 외부보행거리 100m의 증가(감소)는 통행시간 2분의 증가(감소)와 같으며, 환승센터 내부보행거리 100m의 증가(감소)는 3분, 계단 100개의 증가는 약 4분의 통행시간 증가, 에스컬레이터 1대 설치는 약 1분의 통행시간 감소와 같음을 알 수 있었다. 체감시간으로 산출된 환승저항은 환승센터의 환승 여건을 비교하고 시설개선의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데에 객관적 지표로 활용될 수 있으며, 신규 환승센터 설계 시 시설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데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도입에 따른 철도역 영향권 산정 연구 (Analysis of Catchment Area of Seoul Metropolitan Express Train)

  • Lee, Jang-Ho;Lee, Inhee;Jin, Woo-Jeong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49-60
    • /
    • 2014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사업의 추진에 따라 해당 사업의 수요분석에 있어서 철도역의 영향권 설정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의 특성에 부합하는 철도역 영향권 설정방안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 및 접근통행 실태조사를 통해 노선의 특성 및 접근수단에 따라 영향권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광역급행철도를 별도의 수단으로 하는 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하고 수단별 접근시간 모수추정치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광역급행철도의 영향권이 기존 광역도시철도에 비해 2.5배 가량 확대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는 수요분석에 있어서 10% 이상의 차이를 낼 수 있어서 향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의 합리적 수요분석을 위해서는 확대된 영향권의 설정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주성분해석을 통한 철도이용객수요에 미치는 사회경제지표 분석 (Analysis of Socio-economic Factors for Predition of Railrolad Trip Generation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정찬묵;김효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437-44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호남선과 같은 간선철도노선의 열차이용객을 합리적으로 추정하기 위하여, 호남선측의 10개 도시의 인구지표 및 경제지표, 지리적지표등 사회경제지표를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결과는 통상적으로 인구, 두 지역간의 거리, 자동차대수라는 외생변수를 이용하여 간선철도 열차이용객의 수치를 추정하였으나, 도시면적이 커질수록 철도역으로 접근성이 불리해지기 때문에 철도수송수요예측의 외생변수로써 도시면적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연구에서 수행된 주성분분석결과 인구, 두 지역간의 거리, 도시면적을 고려한 결과가 실제 이용객 수치와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호남고속철도가 개통되면 일반철도와 고속철도가 병행하여 운행되므로 두지역의 역간거리보다는 역간소요시간과 철도역까지의 도착시간이 더욱 중요한 변수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명절기간 중 서울역 철도 이용객의 접근통행 특성 연구 (Access and Egress Patterns of Travel to a Regional Railway Station Based on Transit Smart Card Data (Case study: Seoul Station during Chuseok Holiday))

  • 엄진기;이준;이광섭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59-64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교통카드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 간 철도역(서울역)을 중심으로 유입과 유출통행에 이용된 대중교통 수단을 중심으로 지역별 통행패턴을 분석하고 이들 통행에 대한 대중교통 수단선택의 문제를 도시철도와 버스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서울역으로의 유출입 통행특성을 분석한 결과, 서울역으로의 유출입통행은 1번 이내의 환승으로 통행한 경우가 99%로 나타났다. 유출입 통행수단으로는 버스보다 도시철도를 이용한 비율이 높았으며 서울역에서 가까운 지역에서 버스의 이용율이 높게 나타났다. 버스와 도시철도의 수단선택 행태분석을 위해 이항로짓모형을 구축했으며, 그 결과 지역간 철도역유출입통행 수단선택에 있어 통행요금보다는 통행시간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유출통행에서 매우 큰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김포 도시철도역 사인시스템 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Improvement of Sign System in Gimpo Urban Railway Station)

  • 양근영;손광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785-794
    • /
    • 2021
  • 본 연구는 수도권 도시철도역 사인시스템에 대하여 사용자가 이용하는데 어떠한 어려움이 있는지 디자인 현황 및 개선 방향에 대하여 연구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도시철도 사인시스템의 문헌 이론적 고찰, 둘째, 수도권 김포골드라인의 사인 디자인 현황조사, 셋째, 사인의 사용실태, 이용자 문제점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안내사인의 폰트는 위치사인은 중앙정렬로 되어져 있으며, 유도사인은 입출구 위치에 따라 앞/뒤 정렬로 되어져있다. 폰트는 이용자에게 잘 보이기 위하여 배경은 하얀색과 문자는 진한 검은색으로 제작되어져있다. 유도사인은 반대로 문자색은 하얀색과 배경색은 회색으로 제작되어져 있다. 사인에 대한 이용자 조사결과 역의 종합적인 인상에서 혼잡하지 않고 큰 불편은 없다. 그리고 유도안내사인 이용에 대하여 장애인, 외국인의 교통약자가 일반인에 비해 사인 의존도가 높다. 또한 안내사인의 부착 위치와 관련하여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설계와 관련하여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많다. 현재 김포도시철도 안내사인시스템은 새롭게 제작 설치되었지만 사용자 설계가 부족하고 이용자에게 명확하게 정보 전달 할 수 있는 디자인 정비가 필요 하다. 역내 사인시스템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고, 안전을 확보하며 각종 위험으로부터 벗어 날 수 있는 안내 사인이 될 수 있도록 디자인 정비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시철도역사 유형과 통행패턴과의 상관관계 분석 (An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ypes of Urban Railway Stations and Users' Travel Patterns)

  • 김황배;오동규;이상화;진상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553-1558
    • /
    • 2014
  • 도시철도역은 역사의 위치 및 기능에 따라 해당역의 이용객 수, 첨두집중률, 승강장 형태 등이 상이하고 이용행태도 서로 달라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역사 유형 구분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도시철도역사 유형은 각 연구의 목적에 따라 분류하고 있으며, 법적 기준 또한 단순히 보통역, 간이역으로 구분하고 있고, 열차유형, 승강장 형태, 설치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의 역사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기준을 정립하고, 그 기준에 따라 수도권의 모든 도시철도역사에 대한 전수조사를 수행하며,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향후 다양한 정책 수립 및 연구개발에 활용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역사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역사의 물리적 지리적 특성과 이용자의 통행 패턴간에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혀내었고, 상대적인 통계값을 이용하여 정책수립 및 연구 개발에 반영한다면 향후에 그 활용성이 더욱 클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철도 역사 내 철도안전사상사고 위험도 평가 및 저감방안 (A Study on Risk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for Urban Railway Casuality Accident)

  • 김진태;김시곤;오재경;고승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503-51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도시철도역사 내 철도안전사상사고의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위험도분석을 위하여 9가지 역사 내 시설물의 위험도를 단순 평균한 값과 시설물별 가중치를 감안한 가중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하는 도시철도역중 위험도가 높은 상위 10개역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위험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으로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에서 역사 내 사상사고와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는 60명의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역사시설물별로 크게 사고확률을 낮추는 방안과 피해규모를 낮추는 방안으로 정리하였다. 각 대안별 위험도저감 효과를 5개 척도로 나누어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최종적으로 각 대안별 효과는 가중평균값으로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