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delling of Transfer Impedance of Urban Rail Station

도시철도역사의 환승저항 모형 구축 연구

  • 김황배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최진희 (남서울대학교 공간정보특성화대학원 지리정보공학)
  • Received : 2009.05.18
  • Accepted : 2009.07.23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ransfer impedance of Urban Rail Station station users in order to increase the usage of public transportation. This study constructed a model for calculating transfer impedance based on bodily sensational transfer time in Urban Rail Station stations and calculated transfer impedance on major Urban Rail Station stations in Korea.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addition of 100 meter exterior walking distance increases 2 minute travel time, 100 meter interior walking distance increases 3 minute travel time, 100 stairways increase 4 minute travel time, and escalators decreases 1 minute travel time. The calculated transfer impedance based on bodily sensational transfer time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objective criteria to compare transfer conditions of different Urban Rail Station stations and to prioritize them for facility improvement. The calculated transfer impedance also can be used as facility guidelines for designing a new transit center.

본 연구는 도시철도 이용자가 환승센터에서 경험하는 불편함을 개선함으로써 대중교통 체계의 경쟁력을 높이고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국의 주요 도시철도 역사를 대상으로 시설여건 물리적 요소들에 대한 보행자 편의성을 계량하여 환승저항을 산정하는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요 도시철도 역사에 대한 환승저항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환승센터 외부보행거리 100m의 증가(감소)는 통행시간 2분의 증가(감소)와 같으며, 환승센터 내부보행거리 100m의 증가(감소)는 3분, 계단 100개의 증가는 약 4분의 통행시간 증가, 에스컬레이터 1대 설치는 약 1분의 통행시간 감소와 같음을 알 수 있었다. 체감시간으로 산출된 환승저항은 환승센터의 환승 여건을 비교하고 시설개선의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데에 객관적 지표로 활용될 수 있으며, 신규 환승센터 설계 시 시설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데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2007) 교통시설 투자평가지침.
  2. 김혜란, 김황배, 오재학, 최진희(2009) KTX역사 및 일반철도역사의 환승저항 산정,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7권 제5호.
  3. 양창화, 손의영(2000) 서울시 지하철 이용객의 환승 관련 변수의 가치 추정(선호의식 및 현시선호 분석을 이용),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8권 제4호.
  4. 이경재(2004) 환승역사의 동선체계를 고려한 환승패널티 추정 : 서울시 지하철 사례,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5. 조남건(1999) 승용차 보유자의 출근통행에서 혼잡통행료 부과가 교통수단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P 조사기법의 적용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6. 차동득, 박완용, 박선복(2008) 환승센터의 두 수단간 환승거리의 적정성 평가, 제59회 대한교통학회 학술발표회, 대한교통학회.
  7. Guo (2009) Transfer behavior and transfer planning in public transport systems: A case of the London Underground,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Systems for Public Transport, Hong K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