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시색채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7초

건설안전표지 색채기준의 의미적·기능적 적절성 판단 및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국가 간 비교법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mantic and Functional Appropriateness of the Safety Sign Color Standards in Construction Sites)

  • 장예은;이준성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22-30
    • /
    • 2018
  • 건설안전 강화를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시인성 높은 색채를 사용한 안전표지는 근로자가 다른 주의집중 상태로 인해 위험을 인지하지 못할 때, 즉각적으로 장기기억에 내재된 정보를 불러일으킴으로써 건설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건설안전표지가 건설현장에서 효과적이고 국제적인 의사소통수단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안전표지색채에 대한 명확하고 통일된 기준과 더불어 건설현장이 갖는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 미국, 영국 및 호주의 4개국의 건설안전표지 색채기준을 분석하고, 건설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표지 색채기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4개국 모두 파란색을 안전색상으로 지정하고 있는데, 오늘날 건설산업에 많은 고령 근로자가 종사하는 것을 고려한다면, 고령 근로자에게 있어 구분이 어려운 푸른색 계열의 안전표지사용은 부적절하다. 또한, 건설현장은 장소에 따라 밝기가 상이할 뿐만 아니라 야간이나 지하 작업의 경우 충분한 밝기 확보가 어려우므로, 시공간의 변화에 따른 빛 조건을 보정하기 위한 허용오차나 색상 팔레트가 필요하다.

파사드의 공간적 사인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Study on the Space Signal of Facade)

  • 송인호;신수길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261-270
    • /
    • 2000
  • 사인은 도시의 이미지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임에 불구하고 자기 주장과 강조를 우선으로하고 있어 환경을 저해하는 요소로 평가되고 있으며 그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논문의 주제는 인간의 생환경 공간에서 사인이 존재하도록 하는 현상에 대한 연구이다. 문자나 색채를 위주로 하는 시각디자인적 측면 흑은 스트리트퍼니추어 범주에서의 제품디자인적인 측면에서는 최근 일련의 연구가 진행되고있다. 본 연구는 보다 본질적인 측면에서 사인환경을 공간적인 해석과 접근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이에 문헌연구 및 사례조사를 통해 사인성에 관한 기능적인 측면을 파악하고, 사인이 갖는 기본적인 조형성의 추구보다는 도시환경의 구성요소라는 차원에서 그 접근방법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 이 있다. 현재와 같이 강렬한 색채와 과대포장으로 일관되어 있는 사인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개선방안의 일환으로서의 공간적인 측면에서 각 디자인요소별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도시 가로변 고층 아파트 색채 이미지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Color Image Evaluation of high-rise apartment on Urban Street)

  • 정가영;이향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67-74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grasped the present state of high-rise apartment on Urban Street color, through the color image estimation effect of primary factor on color image preference. The range of study were high-rise apartment on Urban Street color of land for housing, Sangmu, Woonnam, Shinchang, Pungam, Ilgok, Moonheung district. The method of study put out a model of reference after photography a spot colorimeter BIB test. And the data analyzing was factor analysis, multi regression through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questionnaire. The result of study, the present state of color was used predominate, support color is YR, Y, and stress color is YR, R. Predominate color showed distribution of high luminosity, low freshness and assistance, stress color is middle luminosity, low freshness. And effects of primary factor on color image preference were 'unification', 'comfortableness', 'sophisti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need high luminosity color for comfortableness to improve of high-rise apartment on Urban Street color, harmony of color, harmony of vertical horizontality color scheme pattern, consult square rate of stress color.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색채 인지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버스정류장 쉘터를 중심으로 - (Study on color perception improvement for universal design - In respect of bus station in Seoul -)

  • 김은애;박경진
    • 감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371-380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시 개선사업으로 인해 변경된 공공시설물 중 버스정류장 쉘터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현재 버스정류장 쉘터의 색채는 서울시에서 지정한 대표색 중 기와진회색과 고궁갈색이 주조색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도시환경과의 조화에 있어서는 자연스럽게 어울리지만 유니버설 디자인의 이론에 입각하여 볼 때 사회적, 신체적 약자에 속하는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이 이용하고 인지하는 데는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의 특성 및 환경에 대해 분석하고, 서울시에 거주하는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을 대상으로 일반의식, 색상 선호도, 버스정류장 쉘터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시설물에 적절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색채 영역에 적용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공공공간의 영역을 하나의 시설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시설물을 포함한 환경과의 조화 속에 시설물을 쉽게 인지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것이 앞으로 공공시설물이 나아가야 할 방향임을 인식하고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색채 인지 방향에 관한 연구를 위해 참고자료로 활용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가로 건축물 색채 이미지 평가 연구 -업무·상업용도 건축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lor Image Evaluation of Buildings on Urban Street)

  • 정가영;이향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83-9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olor situation of buildings on Urban Street, through the color image evaluation to research primary factors have an effect on color image preferences. A scope of this study is district of Sang Mu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 method of study put out evaluation model after BIB test by photography, spot color. And performed Factorial Desig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D questionnair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color situation exceedingly used YR predominates, support, stress color, in the second place used predominate, support color is B, stress color is R. Luminosity showed middle luminosity 4.1~7.0, low freshness distribution. Color image was evaluated modern and cold image and appeared affirmative aspect clean, order, neat image and showed negative aspect stiff, flat image. And 'comfortableness', 'unification' had an effect on color image preferenc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color plan need to improve comfortableness, unification bring control into line color at building color image of urban street.

지방도시 아파트단지의 외부색채실태 (The case study about the exterior colors used in the apartment complex)

  • 조재경;이지숙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68-271
    • /
    • 2009
  • The apartments rapidly has developed since 1960's in South Korea. Nevertheless, peoples take no interest in the exterior colors used in the apartments. For this reason, purpose of this study surveies the colors used in the main buildings, public facilities, playgrounds and the main entrances, and knows differences of each brand and areas in Jeonju and Gunsan. According to the research, YR was higher than any other color, we recognize differences from the brands and the areas. A distinction of brands is variety of materials and colors in the apartments by the small or medium businesses than in those by the big businesses. A difference of area is more diverse both colors and materials in Gunsan than in Jeonju. It is found that Gunsan is more various backgrounds than Joenju. This study researches the harmony of the colors in the apartment complex; however, the cases used in this study are limited numerically.

  • PDF

한국의 빌린도시 현상의 유물화로서 옥외광고 확장을 제한하는 융복합적 탐색 (A Convergence Exploration to Restrict Extension of OOH Advertising as Materialization of Borrowed City Phenomenon in Korea)

  • 문윤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9-20
    • /
    • 2015
  • 본 논의는 단락분석법을 차용하여 한국의 빌린도시 현상의 유물화로서 그 점검사항의 추출을 목적으로 두 도시지하철출입문면을 융복합적으로 해석하였다. 본 논의의 주제와 근접하다고 사료되는 논의들을 정리 요약하였다. 또한 '신뢰', '생활세계', '과잉커뮤니케이션'이론을 기반으로 빌린도시 현상의 재정의를 시도하였다. 그 정의에 입각하여 가장 대표적인 서울 런던지하철 차량의 내부 출입문면에 조성된 옥외광고의 시각 물리적 비중을 해석하였다. 해석결과 서울지하철의 경우는 공공정보(노선도, 대피요령, 수화기 위치, 비상시출입문, 등)와 상업정보(옥외광고)의 경계가 매우 모호했으며, 그런 만큼 빌린도시 현상이 매우 일반적인 사회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런던지하철의 경우는 한국지하철과는 매우 다른 양상으로 해석되었다. 결국 본 논의는 두 도시지하철 차량의 출입문을 통하여 높이, 크기, 색채, 간격, 여백, 그리고 영구성이라는 한국의 빌린도시 현상의 점검사항을 추출하게 했으며, 난립된 한국의 옥외광고를 제한해야 하는 제안기여도를 갖는다.

한·중 전통을 주제로 한 가로경관색채 비교연구 - 서울 인사동, 상해 신천지(新天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mparison of the Color Characteristics in Traditional Streetscape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 Focused on Insadong Seoul and Xintiandi Shanghai-)

  • 서주환;주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97-105
    • /
    • 2011
  • 본 연구 대상지는 한국의 전통과 문화를 상징해 줄 수 있는 공간인 서울 시 인사동과 중국의 역사적 가치가 많이 나타나는 전통거리인 상해 시 신천지를 선정하였다. 경관구성요소인 건축입면, 옥외광고물, 바닥포장, 가로시설물을 4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정량적 색채 분석을 시도한 결과, 전체적으로 인사동의 색상은 Y(Yellow), YR(Yellow)계열에 가장 높은 분포를 보이는 것에 비하여, 신천지는 무채색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색조에서는 인사동의 경우 Dk(Dark) 색조의 사용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신천지는 고명도인 P(Pure), L(Light) 색조와 중명도, 저채도인 Gr(Grayish) 색조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런 색채 특성을 종합해 보면 전통적 의미의 상징보다는 도시 전체적 이미지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이를 통해 향후 양국의 도심지 가로경관의 색채특성에 개선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한국과 중국 전통적 가로경관의 배색 차이점은 두 나라 건축공간의 배경, 나아가서 양국 문화의 차이점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며, 추후 이러한 비교연구가 더욱 폭 넓게 진행된다면 현대적 문화표현을 이해하는 데에도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