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계획시설기준

Search Result 13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대구지역 대기환경용량평가에 관한 연구

  • Choe, Geun-Sik;Kim, Hae-D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90-91
    • /
    • 2010
  • 우리나라는 산업화와 도시화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한 대기오염물질배출시설, 자동차 통행량, 에너지 사용량의 증가 등으로 대기오염물질배출원의 수와 규모가 증대되어 광역도시를 중심으로 대기질이 악화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수도권대기질은 선진국의 주요 도시에 비해 대기오염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됨에 따라 정부는 대기질을 OECD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으나, 지역의 대기상태 및 그 동안의 대기질 개선을 위해 이행된 정책의 효율성 측면에서 볼 때 사후적인 규제위주의 농도규제 방식으로는 급증하는 대기오염배출시설의 배출량총량 관리가 어렵고, 지자체별로 개별적인 분산관리로는 광역적으로 이동되는 대기오염물질의 관리가 불가능하다. 또한 대기오염과 상관성이 큰 에너지정책, 산업정책, 도시계획 등 관련 정책과의 통합적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사전에 이를 예방하는 총량관리가 요구되어 진다. 총량규제란 특정지역의 기상, 지형조건 등을 이용하여 대기환경용량을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지역별 배출허용총량을 할당하여 궁극적으로는 오염원별로 대상오염물질의 삭감량을 정하는 제도로 선진국에서는 대기환경용량을 바탕으로 1970년대부터 사업장을 중심으로 배출농도 규제와 함께 총량규제를 병행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동차에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대기환경보전법 제9조에서 환경기준을 초과하여 사람의 건강이나 재산, 동식물의 생육에 중대한 위해를 가져올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동 지역 또는 특별대책지역 중 사업장이 밀집되어 있는 구역에 대하여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총량으로 규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환경부는 2003년도에 서울, 인천, 경기도내 19개시 지역을 대상으로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총량을 관리하는 대기오염총량제 실시를 포함한 '수도권대기질개선에관한특별법'을 제정하였고, 현재는 사업장에게 연도별 배출허용총량을 할당하고, 할당량 이내로 오염물질을 배출하도록 관리하는 사업장 대기오염물질총량관리 제도로 시행 중에 있다. 그러나 수도권대기질개선특별대책을 수립하면서 총량관리의 본격 이행 및 배출권 거래제도 도입에 대한 특별법안이 제정되고 부분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 총량관리를 본격 이행하는데 있어서의 필요한 준비여건은 아직 초기 단계이고, 관련 연구의 수행실적 또한 수도권에 제한되어 적은 편이다. 따라서 현재는 총량관리가 수도권에 국한하여 실시되고 있으나, 점차 타 도시까지 광역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에 필요한 제반 사항들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하여 정책방향을 설정하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을 대상으로 대기오염농도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에 대한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고농도가 자주 발생되거나 그러할 가능성이 높은 $NO_X$을 대상으로 대기오염기여도를 평가하고 대기확산모델을 통한 대기환경용량을 산정하였다. 대기오염농도 현황을 살펴본 결과, 대구지역의 대기오염은 $NO_2$, $SO_2$, CO는 전형적인 1차오염물질의 변화경향을 보였으며, $PM_{10}$는 봄철에 황사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나 실제 대구지역에서 배출되는 양을 추정하기 힘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NO_2$는 공업, 상업지역에서 $SO_2$$PM_{10}$는 공업지역, CO는 상업지역, $O_3$은 교외지역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구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현황은 CO가 47%, NOX가 43%로 전체 배출량의 90%를 차지하였고, 2005년 이후 $NO_X$는 감소하고 $SO_X$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배출원대분류 중도로 및 비도로이동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선 오염원이 75%로 대구지역에서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SCST3 대기확산모델을 이용하여 대기환경용량을 산정하기위하여, 먼저 대구지역의 대기환경용량평가는 가시적인 위해성이 높고 개선정책이 용이한 $NO_X$을 대상물질로 선정하였고, 배출량과 오염농도간의 상관도가 0.659로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배출량을 삭감하였을 때 대기오염농도의 개선이 명확히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단위격자 당 한계배출율을 알아내는 작업을 실시하여, 대구지역을 동일하게 장기환경기준 80%수준인 22.4ppb를 만족시키기 위한 한계배출율은 2.23g/s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고, 산출한 한계배출율을 이용하여 장기환경기준치 80%수준 달성을 목표로 하는 경우의 대기환경용량을 산정하고 실제 배출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구지역 전체의 환경용량은 약 3만 톤으로 실제 배출량 2만2천 톤에 약 8천 톤 이상의 여유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구역별로 상이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에 따른 구역별 개선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기환경용량을 파악한 후 단위격자 당 한계배출율을 초과하는 대상 지역을 추출하여 삭감한 결과 초과배출량의 80%를 삭감해야 대구지역 전체에서 50ppb이하 농도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실제로 초과배출량의 80%를 삭감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어, 대구지역을 동일한 %율로 삭감한 결과 30% 삭감했을 때 50ppb수준을 달성하였고, 50%삭감했을때 2007년 환경기준인 30ppb수준을 달성하였다. 또한 배출원대분류 중 기여율이 높은 도로와 비도로오염원을 50%삭감한 결과 도로이동오염원의 삭감만으로도 상당한 고 배출지역의 농도저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비도로오염원을 포함하여 삭감하였을 때는 대구지역 전체에서 50ppb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총량규제의 실시에 맞추어 대구지역의 실제적인 환경용량의 정확한 파악과 고배출지역에 대한 삭감방법에 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 연구 결과는 앞으로 시행될 지역총량규제에 대한 기초적인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Characteristic of Laws on the Kind of Urban Green Spaces and the Legal Requirements for the Green Spaces of Urban Habitat in China (중국의 도시녹지 종류와 도시거주구 녹지의 설치 기준에 관한 법제도의 현황과 특성)

  • Shin, Ick-S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3
    • /
    • pp.1-11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Chinese Laws on the kind of urban green spaces and the legal requirements for the green spaces of urban habitat and analyzed the specificities of them intending to provide basic data to suggest bringing in or not the relevant Chinese Laws to Korea.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Chinese urban green spaces(g.s.) classified by 5 kinds(park g.s., production g.s., protection g.s., attachment g.s., the others g.s.) placed the park and green spaces in the same category unlike the Korean urban green spaces that only distinguishes between park and green spaces. The Chinese Urban Park is classified by 4 kinds(composite park, community park, special park, linear park) at the 'Standard for urban green spaces classification' which is below in rank of the legal system. Second, in case of calculation for green spaces ratio of urban green spaces in China, the green rooftop landscaping area should not be included as a green spaces area except the rooftop of a basement or semi basement building to which residents have easy access. The green spaces requirements and compulsory secure ratio by 3 habitat kinds(habitat, small habit, minimum habitat) of when to act as a residential plan is regulated. Third, the green spaces system is obligated to establish at habitat green spaces plan and is specified to conserve and improve existing trees and green spaces. The green spaces ratio on reconstruction for old habitat is relaxed to be lower than for new habitat and a gradient of green spaces is peculiarly clarified. The details and requirements for establishment and the minimum area intending for each classes of the central green spaces(habitat park, children park, minimum habitat's green spaces) are regulated. Especially at a garden style of minimum habitat's green spaces, interval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houses and a compulsory security for green spaces area classifying into two groups(closing type green spaces and open type green spaces) by a middle-rise or high-rise building are clarified. System of calculation for green spaces area is presented at a special regulation. Fourth, a general index(area/person) of public green spaces within habitat to achieve by 3 habitat kinds is determined, in this case, the index on reconstruction for a deterioration zone can be relaxed to be lower to the extent of a specified quantity. A location and scale, minimum width and minimum area per place of public green spaces are regulated. A space plot principle including adjacent to a road, greening area ratio against total area, security of open space and the shadow line boundary of sunshine are also regulated to intend for public green spaces. Fifth, the minimum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underground cables and the surrounding greening trees are regulated as the considerable items for green spaces when setting up the underground cables. The principle to establish green spaces within public service facilities is regulated according to the kind of service contents. It shall be examined in order to import or not the special regulations that only exist in Chinese Laws but not in Korean Law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gain the domestic landscape architect's' sympathy of the research related to Chinese urban green spaces laws requiring immediate attention and will be a good chance to advance into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al Laws.

An Analysis of Process-oriented Design in the Invited Entries of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the Master Plan of the Yongsan Park, Korea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 출품작에 나타난 프로세스적 설계 분석)

  • So, Jin;Sung, Jong-Sang;Pae, Jeong-Han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2
    • /
    • pp.11-26
    • /
    • 2013
  • Designing large parks such as Yongsan Park requires the open-ended process-oriented design approach in complex layers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self-completed master plan metho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oriented design in the eight invited entries of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the Master Plan of the Yongsan Park, Korea"(2012). For this purpose, it analyzed each entry according to three criteria: objects of process-oriented approach, time factor and its features of phasing plan, and presentation method of the process. This analysis can not only critically review the current level of the process-centered design methodology but also suggest strategic future directions for Yongsan Park. The objects of process-oriented design in the eight works were order of physical space development, restoration process of ecosystem, recovering process of publicity, and economic operation and management. Main considerations in the objects were connections to adjacent urban fabrics, links to regional green and water system, reuse of existing buildings and infrastructures in the site. The temporal criteria of the phasing plan had two aspects. One was planning a certain time and period, and the other was just establishing an order of phases. Most of the presentation method of process was the phasing plan, but some of the entries suggested a scenario plan. The eight works of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the Master Plan of Yongsan Park" did not attempt process-oriented designs entirely and completely. Rather, they tried to introduce the phasing plan as part of a process-centered design. Also, they took an eclectic approach between master plan and process-oriented design instead of rejecting the conventional master plan approach.

Characteristics of Unsold Land and Sites Needing Value Enhancement (미매각 토지의 원인진단 및 가치제고 사업지구 선정 방안)

  • Jeong, Yeun-Woo;Lee, Sang-Jun;Seong, Jang-Hwa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4 no.3
    • /
    • pp.259-270
    • /
    • 2013
  • This paper defined the concept of unsold land and diagnosed the cause of unsold land of LH business site. The results are showing as follows. First, unsold land is defined as land could not be sold until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and plan to sell the unsold land can be changed partially. Second, the status of unsold land in the 226 project sites were analyzed. $146km^2$ area corresponding to 74.8% of the total capital area($195km^2$) are unsold. By purpose, co-residential($38km^2$), industry($21km^2$), exclusive residential($16.4km^2$), commercial business($12.5km^2$), education($10.2km^2$) was larger in order. Third, value enhancement target project sites were selected and its symptoms and the cause of unsold land were analyzed. For the project site over average unsold rate, 6 sites located in province and 2 sites located in capital region were selected through collecting the practitioners and expert opinion. These 8 sites are characterized that sale of land for medium and large co-residential, urban support facilities, block-shaped house and attached house was inactive. Also, these sites commonly experienced economic fluctuations, changes in market demand, supply and demand mismatch, inflexible planning standards.

Estimating the Level-Of-Service for Walkways by Using Fuzzy Approximate Reasoning (퍼지근사추론을 이용한 보행 서비스수준 산정)

  • Kim, Kyung Whan;Park, Sang Hoon;Kim, Daehy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2D
    • /
    • pp.241-250
    • /
    • 2006
  • Although walking is an important transport mode which should be promoted, realistic studies about walking is not sufficient. Especially, due to the transportation planning oriented toward automobile, there is not realistic analysis method for walking in the Highway Capacity Manua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uzzy approximate reasoning was employed to build a model for the analysis of walkways service level. For the input variable the noise level and brightness as well as the pedestrian flow rate were employed and the output variable was the walking satisfaction degree. The fuzzy models were constructed for daytime and nighttime separately. The forecastability analysis for the models were conducted using $R^2$, MAE and MSE. The values of them for the daytime model are 0.802, 0.729 and 0.735 respectively and the values for nighttime are 0.893, 0.878 and 0.860 respectively, so it can be said that the models explain the real situation well.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noise level has stronger effects to walking satisfaction then the brightness in night.

The Annual Runoff Estimation of Namchun Using SWMM (SWMM을 이용한 남천의 연유출량 추정)

  • Kim, Nam-Uk;Lyu, S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09-1113
    • /
    • 2010
  • 창원시는 경제성장에 따른 도시화 현상으로 경작지나 녹지와 같은 투수지표면이 대단위 주택단지나 도로, 상업지구, 공장시설과 같은 불투수지표면으로 변화되어 전형적인 도시 유역특성을 띠고 있어 SWMM 모형의 적용에 적합하다. 적용대상인 남천은 창원시를 관류하는 유로연장 14.7 km의 하천으로 지류인 창원천을 포함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환경부 지원 시범사업으로 생태하천복원사업이 계획되어 실시설계 완료 후 공사가 진행 중이나, 복원 후 하천관리를 위한 유지유량 산정 등의 타당성과 관련한 문제가 지역사회에서의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천 유역의 특성을 적절히 고려한 유지유량 산정을 통해 향후 복원된 남천의 하천관리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실측된 남천과 창원천의 유량자료와 SWMM 유출량 모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남천의 유량자료는 2008년 5월 6일부터 8월 20일까지 실측하였으며, 남천의 지류인 창원천은 유량자료 취득구간이었던 창원천교 지점에서 생태하천복원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유량자료를 취득할 수 없었으므로 남천의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비유량법으로 추정하였다. 유출량 산정을 위한 강우자료는 기상청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마산과 창원의 강우자료를 이용한 분석 결과 강우 패턴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고 마산기상대의 자료 대신, 창원시에서 제공한 5년간 (2005년~2009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SWAT을 이용하여 남천 유역을 39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하고 Arc View를 이용하여 지형인자들을 추출하여 SWMM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입력자료 중 유출량 추정에 큰 영향을 끼치는 매개변수들은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매개변수들을 결정하고 연유출량 추정을 위한 모의를 수행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남천의 연유출량을 추정함으로써 하천관리를 위한 유지유량 산정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Domestic Water Consuming Pattern and Metered Water Use (생활용수 소비패턴 및 실사용량 분석)

  • Kim, Ju Hwan;Cho, Im Young;Park, Noh Heuk;Woo, Hyoung Min;Ahn, Hyo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310-1315
    • /
    • 2004
  • 용수수요 추정의 기본은 수도계획에 사용할 수 있는 실사용량에 대한 조사로 이에 대한 자료가 거의 없기 때문에 각 수도사업별로 제시되는 추정방법이 조금씩 상이하며, 추정방법의 진위를 가릴 수 없이 수요추정의 악순환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물사용량 예측은 급수량 기준의 도시 전체에 내한 평균 LPCD를 이용함에 따라 물사용 특성을 충분히 고려찬 수 없어 지역별 실제 물사용량과 큰 오차가 유발되었다. 그러므로 수도계획 및 설계에 사용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설계인자를 도출하기가 불가능하여 물수요 관리정책 수립, 수도요금체계 조정 및 누수방지계획 수립 등 경제적인 수도시설의 건설에 애로를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용수 중 가정용수에 대하여 세탁기, 변기, 싱크대 등 수도전에 유량계를 설치 실제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도별 사용량을 실측, 파악하였으며, 이로부터 얻은 용도별 사용량에 대한 기간별 소비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생활용수 사용량의 소비패턴 및 시간대별 부하율 산정이 가능하며, 각종 용도별 사용수량의 소비형태를 찾아낼 수 있었다. 또한 가정용수 중 용도별 물 사용비율은 세탁용수, 변기, 주방, 목욕용수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 단독주택의 순으로 단독주택에서의 물사용량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생활용수 공급량에 내해서는 시간별, 주별, 월별 그리고 계절변동 총량을 파악하였으며 시간대별로는 오후 3시경이 최대 소비량을 보였고, 주별로는 월요일 그리고 월별로는 7월의 용수사용량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 되었다.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용도별 실측 물사용량 자료 및 분석결과로부터, 지금까지 공급량 기준의 계획수립이 이루어져왔던 파종 수도시설 규모결정시 합리적인 용수수요예측 및 수요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용수수요의 과다예측 오해 해소 등 경제적, 과학적 물관리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경제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하천수 등의 상호 관계 분석을 통해 장기간의 유역 물순환체계 변화를 분석할 수 있었다.골풀과, 닭의장풀과가 각 1종씩으로, 조사지점( I )보다 좀 더 많은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어류는 조사지점( I )에서 3회에 걸쳐 총 396개체가 채집되어 3목 8과 21종이었다. 이 중 한국 고유종은 11종이었고, 외래 어종은 검정우럭과 2종이 조사되었으며, Zacco platypus(피라미), Zacco temmincki(갈겨니), Acheilongnathus koreanus(칼납자루), Odontobutis platycephala(동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쉬리) 순으로 분포하고 있었고, Acheilognathus signifer(묵납자루)는 댐 건설 전에는 많이 분포하였으나 현장조사에서 서식을 확인 할 수 언어 개체수의 큰 감소내지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었다.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특히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를 강조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HSP 환자군에서도 $IL1RN^{*}2$ allele 빈도와 carriage rat

  • PDF

Analysis of User Behavior for the Revitalization of Small Parks near Stations by the Location Types in Influential Subway Area (역세권내 역 인접 소공원의 유형별 이용행태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 Lee, Joo-Hee;Park, Jin-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3
    • /
    • pp.9-20
    • /
    • 2008
  • The government is planning to link a small park with the soon to be ready subway line 9 as a part of Seoul's policy, "The standard or plan for making a water-friendly space by water use" (2007). However, the specified concepts and instructions of the small parks need further work. Therefore, the policy is expected to expand to neighboring small parks near the subway station, but these are not supported by research or data which suggests the needs or actual user behavior and utilization of small parks. our country added the specified concept of small parks and theme parks to the classification of urban parks in the Urban Park Act Revision (2005.3.31), but the concept of small parks is not clearly settled in the law in the scopes of its function, scale, promotion nor particularly defined plans for small park projects. This study examines as small park near a subway st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re region and users vary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ion and region. In the "directions for concrete standards under the types of urban parks and green zones" (2007.2) the types of small parks are classified by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user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s the subject of neighboring small parks near subway stations as the neighborhood and small urban parks according to the Urban Park Act. The study was paralleled with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s on the analysis of the neighborhood and small urban parks. The actual conditions of park utilization and user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deducted by observation, while the questionnaire determined actual user utilizatio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as well as the small park environment. This study largely focused on three aspects: park facility, design of this sentence isn't even complete. The second aspect isn't finished and the third isn't here.

Installation Standards of Urban Deep Road Tunnel Fire Safety Facilities (도심부 대심도 터널의 방재시설 설치 기준에 관한 연구(부산 승학터널 사례를 중심으로))

  • Lee, Soobeom;Kim, JeongHyun;Kim, Jungsik;Kim, Dohoon;Lim, Joonbum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1 no.6
    • /
    • pp.727-736
    • /
    • 2021
  • Road tunnel lengths are increasing. Some 1,300 tunnels with 1,102 km in length had been increased till 2019 from 2010. There are 64 tunnels over 3,000 m in length, with their total length adding up to 276.7 km. Safety facilities in the event of a tunnel fire are critical so as to prevent large-scale casualties. Standards for installing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are being proposed based on the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but they may be limited to deep underground tunnel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provide guidelines for the spacing of evacuation connection passages and the widths of evacuation connection doors. Evacuation with various spacing and widths was simulated in regards to evacuation time, which is the measure of safety, using the evacuation analysis simulation software EXODUS Ver.6.3 and the fire/smoke analysis software SMARTFIRE Ver.4.1. Evacuation connection gates with widths of 0.9 m and 1.2 m, and spacings of 150 m to 250 m, were set to every 20 m. In addition, longitudinal slopes of 6 % and 0 % were considered. It was determined to be safe when the evacuation completion time was shorter than the delay diffusion time.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all occupants could complete evacuation before smoke spread regardless of the width of the evacuation connection door when the longitudinal slope was 6 % and the interval of evacuation connection passage was 150 m. When the evacuation connection passage spacing was 200 m and the evacuation connection gate width was 1.2 m, all occupants could evacuate when the longitudinal slope was 0 %. Due to difference in evacuation speed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slope, the evacuation time with a 6 % slope was 114 seconds shorter (with the 190 m connection passage) than with a 0 % slope. A shorter spacing of evacuation connection passages may reduce the evacuation time, but this is difficult to implement in practice because of economic and structural limitations. If the width of the evacuation junction is 1.2 m, occupants could evacuate faster than with a 0.9 m width. When the width of a connection door is 1.2 m with appropriate connection passage spacing, it might provide a means to increase economic efficiency and resolve structural limitations while securing evacuation safety.

Exploring the Priority Area of Policy-based Forest Road Construction using Spatial Information (공간정보를 활용한 산림정책 기반 임도시공 우선지역 선정 연구)

  • Sang-Wook, LEE;Chul-Hee, LI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5 no.4
    • /
    • pp.94-106
    • /
    • 2022
  • In order to increase timber self-sufficiency, Korea's 6th Basic Forest Plan aims to increase the density of forest roads to 12.8 m ha-1 by 2037. However, due to rapid re-forestation, current management infrastructure is insufficient, with just 4.8 m ha-1 of forest roads in 2017. This is partly due to time and cost limitations on the process of forest road feasibility evaluation, which considers factors such as topography and forest conditions.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n eco-friendly and efficient forest road network planning method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which can evaluate a potential road site remotely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To facilitate such planning, this study identifies forest road construction priorities that can be evaluated using spatial information, such as topography, forest type and forest disasters. A method of predicting the optimal route to connect a forest road with existing roads is also derived. Overlapping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GIS-MCE (which combines GIS with multi-criteria evaluation), targeting the areas of Cheongsong-gun and Buk-gu, Pohang-si, which have a low forest-road density. Each factor affecting the suitability of a proposed new forest road site was assigned a cost, creating a cost surface that facilitates prioritization for each forest type. The forest path's optimal route was then derived using least-cost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process were 30 forestry site recommendations in Cheongsong-gun and one in Buk-gu, Pohang-si; this would increase forest road density for the managed forest sites in Cheongsong-gun from 1.58 m ha-1 to 2.55 m ha-1. This evaluation method can contribute to the policy of increasing timber self-sufficiency by providing clear guidelines for selecting forest road construction sites and predicting optimal connections to the existing road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