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User Behavior for the Revitalization of Small Parks near Stations by the Location Types in Influential Subway Area

역세권내 역 인접 소공원의 유형별 이용행태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 Lee, Joo-Hee (MAP HANTERIN Architects & Engineers Co., Ltd) ;
  • Park, Jin-A.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 Hanyang University)
  • 이주희 ((주) MAP한터인종합건축사사무소) ;
  • 박진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The government is planning to link a small park with the soon to be ready subway line 9 as a part of Seoul's policy, "The standard or plan for making a water-friendly space by water use" (2007). However, the specified concepts and instructions of the small parks need further work. Therefore, the policy is expected to expand to neighboring small parks near the subway station, but these are not supported by research or data which suggests the needs or actual user behavior and utilization of small parks. our country added the specified concept of small parks and theme parks to the classification of urban parks in the Urban Park Act Revision (2005.3.31), but the concept of small parks is not clearly settled in the law in the scopes of its function, scale, promotion nor particularly defined plans for small park projects. This study examines as small park near a subway st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re region and users vary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ion and region. In the "directions for concrete standards under the types of urban parks and green zones" (2007.2) the types of small parks are classified by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user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s the subject of neighboring small parks near subway stations as the neighborhood and small urban parks according to the Urban Park Act. The study was paralleled with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s on the analysis of the neighborhood and small urban parks. The actual conditions of park utilization and user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deducted by observation, while the questionnaire determined actual user utilizatio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as well as the small park environment. This study largely focused on three aspects: park facility, design of this sentence isn't even complete. The second aspect isn't finished and the third isn't here.

2005년 3월 31 일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도시공원 분류체계에서 소공원과 주제공원을 세분화하여 추가하였으나, 기능, 규모, 유치거리가 명확한 개념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특히, 조성 과정상의 확실한 설계되어 있지 않으며, 최근 법제화된 '도시공원 , 녹지의 유형별 세부기준 등에 관한 지침'(2007.2)에서도 유형을 공원의 설치위치 빛 성격에 따라 근린, 도심소공원으로 구분하였으나, 유형별 공원의 지정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 보고자 하는 역세권내 위치한 소공원은 설치위치 및 지역의 성격에 따라 그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유형에서의 설치위치 및 지역적 특징을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유형별 특성에 따른 공원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유형화를 위한분석기준은 각각의 공원은 인접한 역의 성격과지역의 성격이 다르므로 첫째, 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정의에서의 지역적 특성과 이용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로서 근린소공원과 도심소공원의 분류체계에 따라 공원유형분류 한다. 소공원 주변 용도배분비율과 기존의 소공원 설치 당시 공공에서의 설치목적을 각 구청의 담당자의 문의를 통하여 파악하고, 이용자의 거주특성의 경우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거주지와 거주동에 대한 질의응답을 통하여 각 공원의 주 이용자의 거주특성을 파악하여 최종 대상지 근린소공원 3개소, 도심소공원 3개소를 선정하였다. 둘째, 각 유형 관찰조사를 통하여 이용자들의 이용행태특성을 파악하고, 설문조사를 행하여 유형별 대상지의 이용실태 및 이용특성의 차이점과, 어떤 측면에서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이용실태 및 공원시설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 공원 환경적 측면의 만족도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다. 셋째, 관찰조사와 설문분석에 따른 결과와 관리 공무원과 공원설계자와의 인터뷰 결과를 종합하여 추후 계획시 고려하여야할 점으로 공원이용 활성화를 위한 시설 및 설계적 측면과 이용행태적 측면, 관리 및 운영적 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한(1998) 성남시 도시소공원 계획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김한도(1996) 도시공원 이미지와 이용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박문호, 정석, 양진희(1996) 도시소공원의 확보 및 조성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4. 박상진(2005) 성남시 도시소공원의 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백경무(2004) T.O.D이론을 이용한 개발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0(3): 139-149
  6. 안건혁, 온영태 역(2000) 뉴 어바니즘 헌장. 한울아카데미
  7. 임희지(2002) 서울시 역세권 도시조직 분포유형별 역중심 생활권 형성을 위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S. S. Y. Lau, Giridhan. S, Ganesan(2005) Multiple and intensive land use: case studies in Hong Kong. Habitat International 29(3): 527-546 https://doi.org/10.1016/j.habitatint.2004.04.007
  9. T. Nirarta Samadhi, Niwat Tantayanusorn(2006) Reinventing religious land as urban open space: The case of Kuang in Chiang Mai (Thailand). Habitat International 30(4): 886-901 https://doi.org/10.1016/j.habitatint.2005.03.003